• 제목/요약/키워드: Ownership-based Consumpt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접속 기반 디지털 제품과 소유 기반 디지털 제품의 차이에 관한 연구 (Streaming Vs. Download - Are They Similar Digital Goods? The Difference between Access-Based Digital Goods and Ownership-Based Digital Goods)

  • 이민형;최한별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3호
    • /
    • pp.161-176
    • /
    • 2020
  • 디지털 시대를 맞아 다양한 제품들이 디지털 형태로 출시되어 왔다. 디지털 제품 등장 초기에는 개별 디지털 파일 형태의 제품들이 등장하였고 사용자들은 각각의 제품을 개인 디바이스에 다운로드하는 방식으로 소비하였다.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소비자들은 '스트리밍'이라는 형태의 디지털 제품을 소비하기 시작했다. 스트리밍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하는 '접속 기반 소비 형태'로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스트리밍 서비스의 등장으로 소비자들은 개별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고 개인 디바이스에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제품과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영구적인 소유가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접속 기반의 디지털 제품들은 다운로드 기반 컨텐츠와 같은 전통적인 소유 기반 디지털 제품과 구별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들의 디지털 제품에 심리적 소유감이 소비 방식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들은 소유 기반 디지털 제품에 비해 기반 디지털 제품에 더 낮은 심리적 소유감을 느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관련 분야에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분할소유 미술시장의 현황과 과제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를 중심으로 - (Exploring Fractional Ownership in Korean Art Market: Based on Business Model Canvas)

  • 이윤진;구자준
    • 예술경영연구
    • /
    • 제58호
    • /
    • pp.179-204
    • /
    • 2021
  • 코로나 19 이후 변화한 소비 트렌드와 저금리 기조가 맞물려 재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술을 재테크의 수단으로 보는 '아트테크'가 주요 관심사로 떠올랐다. 최근 2~3년간 급격히 떠오른 아트테크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2030 젊은 세대가 참여하며 하나의 예술작품의 가치를 조각으로 나누어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하는 분할소유의 형태를 띤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분할소유 미술시장 플랫폼인 아트투게더, 아트앤가이드, 테사, 피카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고객집단, 가치제안, 채널, 고객관계, 수익구조, 핵심자원, 핵심활동, 핵심파트너, 비용구조 등 9개의 핵심요소를 시각화한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에 입각하여 살펴본다. 분석결과 분할소유 미술시장 플랫폼은 유사한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으나 수익구조에서 차이를 보이며 핵심적인 수익원은 작품의 매매차익과 매매수수료이다. 작품의 매매차익을 최대화하는 것이 수익구조의 핵심이며, 따라서 수익률이 높은 작품을 선별하고 구입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분할소유 플랫폼이 장기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이 보완되어야 한다. 첫째, 아트테크를 자산의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수 있는 장기투자로 접근해야 한다. 둘째, 기업 신뢰도를 높여 충성도 높은 고객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플랫폼 운영자의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Mapping Poverty Distribution of Urban Area using VIIRS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ries in D.I Yogyakarta, Indonesia

  • KHAIRUNNISAH;Arie Wahyu WIJAYANTO;Setia, PRAMANA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13권2호
    • /
    • pp.9-2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s to map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overty using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s as a proxy indicator of economic activities and infrastructure distribution in D.I Yogyakarta, Indonesi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uses official poverty statistics (National Socio-economic Survey (SUSENAS) and Poverty Database 2015) to compare satellite imagery's ability to identify poor urban areas in D.I Yogyakarta. National Socioeconomic Survey (SUSENAS), as poverty statistics at the macro level, uses expenditure to determine the poor in a region. Poverty Database 2015 (BDT 2015), as poverty statistics at the micro-level, uses asset ownership to determine the poor population in an area. Pearson correlation is us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and construct a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model to estimate the poverty level at a granular level of 1 km x 1 km. Results: It is found that macro poverty level and moderate annual nighttime light intensity have a Pearson correlation of 74 percent. It is more significant than micro poverty, with the Pearson correlation being 49 percent in 2015. The SVR prediction model can achieve the root mean squared error (RMSE) of up to 8.48 percent on SUSENAS 2020 poverty data.Conclusion: Nighttime light satellite imagery data has potential benefits as alternative data to support regional poverty mapping, especially in urban areas. Using satellite imagery data is better at predicting regional poverty based on expenditure than asset ownership at the micro-level. Light intensity at night can better describe the use of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conomic activities at night, which is captured in spending on electricity financing compared to asset ownership.

지속가능한 신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ive Study on the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of Sustainable Shoes Consumers)

  • 임소라;신은정;고애란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389-399
    • /
    • 2023
  • Sustainable fashion produc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ypical fashion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shoes while exploring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fashion consumption as well as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sustainability approaches practiced by shoe compani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4 consumers, who had purchased sustainable shoes,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and consumption characteristics, using the seven stages of the EBM model. In the "need recognition" stage, the survey participants' social background and family influences were categorized as macro factors, while their personal background influences were categorized as micro factors. In the "evaluation of alternatives" stage, participants reconfirmed whether or not to make a purchase based on the product's properties, such as price, brand value, and offered services. In the "purchase" stage, participants' purchase channels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 as well as the selection pattern they followed until the final purchase within the chosen channel. In the "consumption" stage, the start of product ownership coincides with the start of using the products after making a purchase. In the "post-purchase assessment" stage, higher positive experiences led to a higher repurchase intention of sustainable shoes, while negative experiences caused participants to defer consumption and made them experience a sense of guilt for failing to consume sustainably. During the "post-purchase behavior" stage, which focused on the categories that the customers prioritized, many participants spread information about sustainable fashion to specific individuals through active online WOM behavior.

주거환경특성이 주거만족도, 주거보유의식과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코로나19 시기의 MZ세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Residential Ownership Consciousness, and Housing Movement: Focusing on MZ Generation in the COVID-19 Period)

  • 황윤희;정재호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1호
    • /
    • pp.47-66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MZ세대의 주거환경특성, 주거만족도, 주거소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2020년 한국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다. 주거환경특성 14개 항목을 3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여 주거만족도, 주거소유의식,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MZ세대의 주거환경에서 14개 항목을 대상으로 주성분분석의 Varimax로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14개 항목 중 주차시설 항목은 유효성을 저해하여 분석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그 결과 KMO는 0.925, Bartlett의 검사결과는 0.01 미만의 유의한 확률을 보여 요인분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MZ세대의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를 보면 주거환경특성의 잠재변수인 주변환경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접근용이성, 이용편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셋째, MZ세대와 같은 젊은 세대일수록 소비에 대한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상업시설 접근용이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주거보유의식은 유의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넷째, MZ세대의 전반적인 주거만족도는 주거이동에는 유의하게 나타났지만 주거보유의식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르면 MZ세대는 산업화세대, 베이비붐세대, X세대와 다른 주거환경특성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고, 그 요인은 주거만족도와 주거보유의식 및 주거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거실태조사의 주거환경특성 항목들을 시대의 흐름에 맞게 개선하고 보완해야 하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주거양극화를 줄이기 위하여 세대의 환경과 특성에 맞는 주택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그리고 앞으로 코로나19와 같은 특수한 시간적 상황에서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차이가 나타나는지 주거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라오스 주민의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통제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health behavior of residents in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health locus of control)

  • 이미선;이건정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68-28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health behavior (HB) and its affecting factors based on Anderson's behavioral model in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PDR). Also, it attempted to identify the mediation of the health locus of control (HLC) between HB and the affecting factors. Methods: Secondary data from 694 people without noncommunicable diseases (NCDs) from a survey conducted by the Ewha Womans and the Laos University were used. The measurements included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s factors, HLC, HB (current non-smoking, low-risk drinking, physical activity,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medical checkup).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using Baron and Kenny's method and the Sobel test. Results: Predisposing (gender, educational level, ethnic), enabling (social support, item ownership in household) and the needs factors (body mass index) were affecting HB. Internal HLC had a positive influence on HB. The stronger the others and chance HLC, the lower the HB. Chance HLC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level and HB.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hance HLC as a mediator between the educational level and HB. Through this result, high-quality nursing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NCDs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impact of chance HLC.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에 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about Value Cognition and Benefits of Consumer on Culture-Art products)

  • 이영선;신은주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4호
    • /
    • pp.27-54
    • /
    • 2011
  • 본 연구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를 위한 개념적 구조를 마련하고, 문화예술상품 생산기관 및 문화예술정책기관과 문화예술을 활용하는 기업의 문화마케팅의 효율성을 위하여 문화예술정책기관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현대소비문화 속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을 사회적 맥락에서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문화예술상품 소비자를 대표할 수 있는 10대부터 50대까지의 남녀 58명을 1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총 12회에 걸친 표적집단면접(FGI)를 실시하였다. 문화예술상품은 예술가의 정신적·관념적 창작행위나 그 결과물인 작품에 경제적 교환가치가 부여되어 소비되는 상품이다. 문화예술상품의 특성을 바탕으로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실제적·개인적 가치재', '사회적 공공재', '미학적·감각적 경험재'로 나타났으며, 경험적 소비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상품 소비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를 알아본 결과 '예술적 특성지향', '사회적 관계지향', '개인적 유익지향'의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상품 소비에 대한 이와 같은 소비자의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합리적 소비, 기호 상징적 소비, 경험적 소비, 반성적 소비라는 복합적인 현대소비문화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상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따라 추구혜택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예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의 특성을 형성하며, 소비를 결정하고 문화예술상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나타난 가치인식과 추구혜택의 개념구조는 문화예술상품 소비자 연구의 측정도구 개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기업의 효율적인 문화예술마케팅 전략 및 소비자 중심의 문화예술상품 생산과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국가기관의 정책 수립에 필요한 소비자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생애구술을 통해 본 주거의 의미와 사용 II : 주거의 사용을 중심으로 (Meaning and Use of Housing through Narrative Life History in Korea II : Focused on the Use of Housing)

  • 홍형옥;양세화;전남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7권2호
    • /
    • pp.155-171
    • /
    • 200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use of housing in modern Korea, and to draw the interrelation of people and hous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investigated various aspects of housing history among four individuals during the different phases of social and economic transitions. 4 narratives showe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life history, an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housing experiences were closely related to hometown, the relation to birth family at postmarriage, economic status, and the meaning of hom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validity to select the interviewers was proved in that the selection was based on both housing structure type and ownership, and also the research indicated that economic status and housing structure type influenced the entire housing experience of each interviewee. The use of housing varied and the implications of housing lied in social and economic contexts. The use of housing, of which the term was contrived to alternatively described housing consumption modes, and chronology were affected by such individual factors as economic status, familiar relationships, residential location, the meaning and subjectivity of housing.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에 준한 실천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 선정 및 조직 (The content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Family and Consumer Sciences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2007 revised curriculum)

  • 오경선;이기영;이수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1-119
    • /
    • 2011
  • 본 연구는 비판 과학 관점의 철학이 내재된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에 준한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을 위해,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 및 목표에 부합하는 항구적 문제와, 이와 관련한 중학생의 당면한 실천적 문제 및 사회적 이슈를 파악하여, 비판 과학 관점의 실전적 문제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및 조직 방식에 부합하는 틀을 제시하는 데에 있었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과 선도적인 미국의 주 교육과정 등을 분석하여 항구적인 본질을 갖는 실천적 문제와 사회적 이슈를 추출하였으며, 이와 함께 서울과 경기지역 6개 중학교의 3학년 4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에 부합하는 항구적인 본질을 갖는 실천적 문제는 총 6개가 추출되었다. 둘째, 6개의 항구적 문제의 하위 실천적 문제에 대해 진로 설계, 자기계발과 대인관계 등 27개의 관심사가 높은 반응(전체 평균 3.0점 이상)을 보였다. 셋째, 6개의 항구적 문제와 관련해 중학생들은 청소년 문제, 편중된 직업 선호, 적성을 고려하지 않은 진로 선택 문제, 자살, 인터넷 중독 문제, 학교폭력, 외모 지향과 돈 관리 문제, 내 집 마련 문제와 과소비,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부족 문제 등 30개의 사회적 이슈(전체 응답자의 1/3 이상)에 관심을 보였다. 넷째, 2007년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에 준한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을 위해, 항구적인 본질을 갖는 실천적 문제와 사회적 이슈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사를 반영한 비판적 관점의 교육과정 틀을 제시하였다.

  • PDF

Improved Socio-Economic Status of a Community Population Following Schistosomiasis and Intestinal Worm Control Interventions on Kome Island, North-Western Tanzania

  • Mwanga, Joseph R.;Kaatano, Godfrey M.;Siza, Julius E.;Chang, Su Young;Ko, Yunsuk;Kullaya, Cyril M.;Nsabo, Jackson;Eom, Keeseon S.;Yong, Tai-Soon;Chai, Jong-Yil;Min, Duk-Young;Rim, Han-Jong;Changalucha, John M.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5호
    • /
    • pp.553-559
    • /
    • 2015
  • Research on micro-level assessment of the changes of socio-economic status following health interventions is very scarce. The use of household asset data to determine wealth indices is a common procedure for estimating socio-economic position in resource poor settings. In such settings information about income is usually lacking, and the collection of individual consumption or expenditure data would require in-depth interviews, posing a considerable risk of bia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213 households in a community population in an island in the north-western Tanzania before and 3 year after implementation of a participatory hygiene and sanitation transformation (PHAST) intervention to control schistosomiasis and intestinal worm infections. We constructed a household 'wealth index' based housing construction features (e.g., type of roof, walls, and floor) and durable assets ownership (e.g., bicycle, radio, etc.). We employed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classified households into wealth quintiles. The study revealed that asset variables with positive factor scor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ocio-economic status, whereas asset variables with negative factor scores were associated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Overall, households which were rated as the poorest and very poor were on the decrease, whereas those rated as poor, less poor, and the least poor were on the increase after PHAST intervention. This decrease/increase was significant. The median shifted from -0.4376677 to 0.5001073, and the mean from -0.2605787 (SD; 2.005688) to 0.2605787 (SD; 1.831199). The difference in socio-economic status of the people between the 2 phases was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We argue that finding of this study should be treated with caution as there were other interventions to control schistosomiasis and intestinal worm infections which were running concurrently on Kome Island apart from PHAST inter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