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denture attachment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3초

Comparative study of prosthetic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bar-clip, milled bar, and Locator attachments for implant overdentures: a retrospective study

  • Yoon, Kye-Won;Heo, Ji-Ye;Hwang, Hee-Sung;Kim, Chul-Hoon;Kim, Bok-Joo;Kim, Jung-Han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12호
    • /
    • pp.1024-103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ype and frequency of prosthetic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attachment types for implant overdenture. Material and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38 patients (mean age, 63.5 years) have been treated with implant overdentures from 2007 to 2014. Ten patients received a bar-clip attachment. Eleven patients had received a milled bar with Locator attachment. Seventeen patients had received a Locator attachment.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6.9 months (range, 15-83 months). The type and frequency of prosthetic complications was recorded. The frequency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3 different attachments by using one-way ANOVA (${\alpha}=.05$) and Bonferroni post hoc method at a 5% level of significance.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rosthetic complications was higher in the bar-clip attachment (55 events) than in the milled bar with Locator attachment (39 events) and the Locator attachment (34 event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 most common prosthetic complication was the loss of retention. In the bar-clip attachment group, the average frequency of prosthetic complications was 3.0 events per prosthesis during the first year. In the milled bar with Locator attachment and Locator attachment groups, the average frequencies were 1.45 events and 2.35 events,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requency of the complication. (p = .043) Conclusions. Compared to the bar-clip attachment, implant overdentures that use milled bars with the Locator attachment have a significantly lower incidence of prosthetic complications in the first year of follow-up after placement.

  • PDF

CAD-CAM Konus type 부착장치를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보철수복 증례 (Mandibular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using CAD-CAM Konus type attachment: A case report)

  • 박종희;김인주;김경아;송광엽;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59-266
    • /
    • 2016
  •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의 보철수복에 있어 임플란트 식립 후 피개의치 제작은 첫 번째 치료 옵션으로 고려된다. 코너스 타입 부착장치를 이용한 피개의치는 견고한 지지를 제공하고 cross arch stabilization을 이루도록 하여 교합압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며, 의치에 의한 이차 고정으로 장기간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최근 소개된 팔라듐-은(Pd-Ag) 합금(Innovium)은 팔라듐, 은, 금 등의 귀금속 함량이 72% 이상인 CAD-CAM 시스템 전용 귀금속 합금으로 코너스 타입 부착장치를 제작하는데 적합한 물성을 가지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에는 통상적인 총의치, 하악에는 임플란트를 4개 식립한 후에 코너스 타입 부착장치 피개의치 수복을 하였다.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팔라듐-은 합금(Innovium)으로 제작된 코너스 타입 부착장치를 장착하였으며 이를 통해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향상시켰으며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Parallel guide KIT®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 및 Locator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The implant retained overdenture by Locator attachments on the edentulous mandible using Parallel guide KIT® : a case report)

  • 김혜란;김준엽;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박찬;신진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1호
    • /
    • pp.55-62
    • /
    • 2017
  • 무치악 환자를 수복할 때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이용한 치료법은 전통적인 총의치의 문제점인 저작시 동통, 의치의 부족한 유지와 안정을 포함하는 기능저하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Locator^{(R)}$ (Zest Anchors LLC, Espandido, USA) 어태치먼트는 임플란트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 중 수직적으로 필요한 공간이 가장 적고, 나일론 부품에 따라 유지력 조절이 용이하다. 하지만 Ball이나 Bar에 비해 기능시 부품의 마모로 유지력이 빠르게 감소하는 특징이 있어 가급적 임플란트 간 각도가 최소가 되도록 식립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2급 악간관계를 보이는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진단기술을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y in fabricating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for skeletal class II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이연이;홍성진;백장현;노관태;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64-373
    • /
    • 2019
  • 2급 악간관계를 갖는 환자는 1급 악간관계인 환자와는 달리 불안정한 교합을 가질 수 있으며, 무치악인 경우 총의치를 사용할 때 불안정한 교합을 보이면서 의치의 움직임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런 환자에 있어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사용함으로써 의치의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플란트 피개의 치에서 attachment 종류는 크게 bar type과 solitary type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 적응증이 있어 상황에 따라 적용을 달리 하여야 한다. 본 증례는 2급 악간관계를 가진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계획함에 있어 디지털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더 적합한 attachment를 선택하고 임플란트의 위치 및 깊이를 미리 계획하여 계획한 위치에 식립하였다. 상악은 국소의치로 수복하였고 하악은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여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