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burden pressure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4초

불연속면이 존재하는 지반에서 터널굴착에 의한 하중전이 (Load-transfer mechanism in the ground with discontinuity planes during tunnel excavation)

  • 이상덕;변광욱;유건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71-7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지반내에 뚜렷한 불연속면의 존재로 인한 하중의 비대칭 전이특성과 이완영역의 형상을 실내실험에 기초하여 고찰하였다. 가동판(trap-door)과 바닥판(reaction plates)을 토조바닥에 설치하고, 건조한 모래지반에 연직의 불연속면을 설치하여 불연속성 지반을 형성하였다. 다양한 토피고와 불연속면의 위치를 실험변수로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토층비(=토피고/가동판의 폭)가 1.5 이상이 되면, 토압비(전이응력/초기지반응력)는 일정한 값에 수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연속면이 터널 폭 내에 위치하면 불연속면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커져서 비대칭성 하중집중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터널폭 외부에 존재하면 비대칭성 하중집중이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타나났다.

  • PDF

Effect of soil overburden pressure on 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RP strips

  • Toufigh, Vahid;Bilondi, Meysam Pourabbas;Tohidi, Farshid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1권5호
    • /
    • pp.637-643
    • /
    • 2017
  •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s (CFRPs) have been recently investigated as an alternative material for Geosynthetics to improve soil properties.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fiber orient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FRP is the effect of soil overburden pressu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nsile behavior of cast-in-place CFRP. During the curing time of specimens, a wide range of normal stress is applied on specimens sandwiched between the soils. Two different soil types a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il grain siz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FRP. Specimens are also prepared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such as curing time and mixing soil in to the epoxy. In this study, tensile tests a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ch parameters on tensile behavior of CFRP.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by increasing the normal stress and soil grain size, the ultimate tensile strength and the corresponding strain of CFRP decrease; however, reduction in elastic modulus is not noticeable. It should be noted that, increasing the curing period of epoxy resin and mixing soil in to the epoxy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tensile properties of CFRP.

흙막이 벽체 배면 그라우팅 시 지반보강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und Improvement Effect with Grouting in Backside of Retaining Wall)

  • 주익찬;변요셉;백승인;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0호
    • /
    • pp.77-83
    • /
    • 2012
  • 최근 도심지에서의 대심도, 대규모 굴착공사는 인접구조물의 침하 및 다양한 제약사항으로 인해 흙막이 벽체를 이용한 굴착공사가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지반의 굴착은 평형상태를 이루고 있는 굴착 주변지반의 응력상태를 이완시켜 굴착면 주변지반 침하 및 흙막이 벽체의 변형을 유발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반보강의 목적으로 무기질계 고성능 지반안정재인 NDS공법을 적용할 경우에 흙막이 벽체 배면에 적용하여 지반의 보강 효과를 규명하였다. 최적 주입압 및 주입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주입시험을 수행하였다. 산정된 주입량과 주입압으로 대형토조모형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무보강/보강에 의한 영향 검토, 보강 시상재하중(50kPa/150kPa)에 의한 벽체 거동도 검토하였다. 흙막이 벽체 배면 그라우팅 시 지반보강 효과를 모형토조실험을 통하여 규명하였다. 주입시험 결과, 적정 주입압은 350kPa, 경제성을 고려한 각 노즐의 한 단계당 적정 주입량은 10L로 판단된다. 모형토조시험 결과, 최대변위는 흙막이 벽체 배면에 그라우팅을 실시한 경우 무보강일 때의 변위보다 약 8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강된 배면에 상재압 50kPa와 150kPa를 작용한 상태에서 단계별 굴착에 따른 흙막이 벽의 거동을 파악한 결과, 벽체 변위는 보강만한 경우에 비해 각각 약 58%와 5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쉴드 TBM 뒤채움압 산정 및 침하영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Evaluation of the backfill injection pressure and its effect on ground settlement for shield TBM using numerical analysis)

  • 안창균;유정선;이석원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69-286
    • /
    • 2018
  • 쉴드 TBM 공사에서 뒤채움압은 지표 침하는 물론 주변 지하 구조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설계단계에서 뒤채움압을 미리 산정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7가지 뒤채움압 산정 이론을 고찰하고 비교하였다. 6가지의 가상 지반조건을 가정하여, 그에 따른 뒤채움압을 산정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토피고가 증가함에 따라 산정되는 뒤채움압이 증가하나 그 증가율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정된 뒤채움압이 지표 및 천단침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불포화 지반조건 및 포화 지반조건 모두에서 동일하게 지표 및 천단 침하는 뒤채움압 보다는 막장압에 더욱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토피고가 증가할수록 뒤채움압의 영향이 감소하고, 적용 막장압이 감소함에 따라 뒤채움압의 영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slope with overburden layer on the bearing behavior of large-diameter rock-socketed piles

  • Xing, Haofeng;Zhang, Hao;Liu, Liangliang;Luo, Yo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4권4호
    • /
    • pp.389-397
    • /
    • 2021
  • Pile foundation is a typical form of bridge foundation and viaduct, and large-diameter rock-socketed piles are typically adopted in bridges with long span or high pier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mountain slope with a deep overburden layer on the bearing characteristics of large-diameter rock-socketed piles, four centrifuge model tests of single piles on different slopes (0°, 15°, 30° and 45°)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ope on the bearing characteristics of piles. In addition, three pile group tests with different slope (0°, 30° and 45°) were also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 of slope on the bearing characteristics of the pile group. The results of the single pile tests indicate that the slope with a deep overburden layer not only accelerates the drag force of the pile with the increasing slope, but also causes the bending moment to move down owing to the increase in the unsymmetrical pressure around the pile. As the slope increases from 0° to 45°, the drag force of the pile is significantly enlarged and the axial force of the pile reduces to beyond 12%. The position of the maximum bending moment of the pile shifts downward, while the magnitude becomes larger. Meanwhile, the slope results in the reduction in the shaft resistance of the pile, and the maximum value at the front side of the pile is 3.98% less than at its rear side at a 45° slope. The load-sharing ratio of the tip resistance of the pile is increased from 5.49% to 12.02%. The results of the pile group tests show that the increase in the slope enhances the uneven distribution of the pile top reaction and yields a larger bending moment and different settlements on the pile cap, which might cause safety issues to bridge structures.

액상화 방지를 위한 진동쇄석말뚝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Vibrated Crushed-stone Pile for the Improvement of Liquefaction Resistance)

  • 천병식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Spring
    • /
    • pp.105-111
    • /
    • 2000
  • If a saturate sand is subjected to ground vibrations it tends to compact and decrease in volume. if drainage is unable to occur the tendency to decrease in volume results in an increase in pore water pressure and if the pore water pressure build up to the point at which it is equal to the overburden pressure the effective stress becomes zero the sand loses its strength completely. This phenomenon is called "Liquefaction" It is associated primarily but not exclusively with saturated cohesion soils. The attention and study on liquefaction have been growing since the earthquake in Niigita Japan in 1964. Many researchers on liquefaction effect have been carried out in many countries under the potential influence of earthquake including Japan. However little research on liquefaction has been reported in Korea because Korea has been considered to be safe from earthquake. The term "liquefaction" is only known among geotechnical engineers,. In this paper overview of liquefaction and the evaluation on the applicability of vibrated crushed-stone pile as a liquefaction prevention method are presented.ethod are presented.

  • PDF

Improvement of tip analysis model for drilled shafts in cohesionless soils

  • Chen, Yit-Jin;Wu, Hao-Wei;Marcos, Maria Cecilia M.;Lin, Shiu-Shi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5권5호
    • /
    • pp.447-462
    • /
    • 2013
  • An analysis model for predicting the tip bearing capacity of drilled shafts in cohesionless soils is improved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is based on large amounts of drilled shaft load test data. Assessment on the analysis model reveals a greater variation in two coefficients, namely, the overburden bearing capacity factor ($N_q$) and the bearing capacity modifier for soil rigidity (${\zeta}_{qr}$). These factors are modified from the back analysis of drilled shaft load test results. Different effective shaft depths and interpreted capacities at various loading stages (i.e., low, middle, and high) are adopted for the back calc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modified bearing capacity coefficients maintain their basic relationship with soil effective friction angle ($\bar{\phi}$), in which the $N_q$ increases and ${\zeta}_{qr}$ decreases as $\bar{\phi}$ increases. The suggested effective shaft depth is limited to 15B (B = shaft diameter) for the evaluation of effective overburden pressure. Specific design recommendations for the tip bearing capacity analysis of drilled shafts in cohesionless soils are given for engineering practice.

점토에서 수용성 유기물의 투수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of Water-soluble Organic Permeant in Clay)

  • 정종홍;장병욱;박영곤;우철웅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0-87
    • /
    • 1997
  • A series of tests was performed to determine a threshold concentration of water-soluble organic permeant(ethanol) for permeability to be increased in clay and to estimate long-term permeability behaviors, effects of overburden pressure and compaction conditions on permeability in clay.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 1. A threshold concentration of water-soluble organic permeant(ethanol) in clay was about 7O~8O% and its dielectric constant was 40, and dielectric constant seems to be closely related with absolute permeability. 2. Permeability of long-term tests was more or less larger than that of short-term tests. 3. Overburden pressures applied for a long time elapsed have little effects on the restriction of permeability increase. 4. Since water content has no effects of compaction capability when it is compacted with OMC or wet side of OMC, its permeability is to be estimated as same level of dry side of OMC. 5. Clays matured in the humid chamber are increased in permeability 2 times larger than unmatured ones. Thixotropy, therefor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sign procedures because field conditions of construction would be quite similar to this..

  • PDF

국내 연약지반의 선행압밀하중 추정을 위한 피에조콘 인공신경망 모델 (Piezocone Neural Network Model for Estimation of Preconsolidation Pressure of Korean Soft Soils)

  • 김영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8호
    • /
    • pp.77-87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서남해안 11개 지역에서 수행된 63회의 피에조콘 시험결과와 176개의 선행압밀하중 자료로부터 국내 연약지반의 선행압밀하중 예측을 위한 오차 역전파 알고리즘으로 학습된 피에조콘 인공신경망 모델을 구축하였다. 전체 자료 중 147개의 자료만이 인공신경망 모델 구축을 위한 학습과정에 사용되었으며 학습에 사용되지 않은 29개의 자료를 구축된 인공신경망의 검증에 활용하였다. 또한 기존의 경험모델 및 이론모델과 비교하여 제안된 인공신경망 모델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4-4-9-1의 구조를 갖는 간단한 다층 인공신경망이 구축되었으며 입력값으로는 피에조콘 선단저항력 $q_T$, 관입간극수압 $u_2$그리고 지반의 총상재하중 $\sigma_{vo}$ 및 유효상재하중 $\sigma'_{vo}$ 이 사용되었다. 제안된 인공신경망 모델은 학습되지 않은 새로운 검증자료에 대한 예측을 통하여 입력변수들과 선행압밀 하중 간의 비선형적 상관관계를 성공적으로 모델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정확성면에서는 기존의 이론모델과 국내외 경험모델과 비교할 때 월등히 향상된 예측능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제안된 모델은 국내 특정지 역에 대한 모델이 아니라 서남해안의 다양한 지반특성을 갖는 지반에서 수행된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되어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에 대하여도 매우 타당성있는 예측결과를 주어 특정지역에 국한된 지역의존적 예측이 아닌 일반화된 지역에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강보강재로 보강된 실트질 모래의 배수 및 비배수 인발력 (Drained and Undrained Pullout Capacity in Steel Strip Reinforced Silty Sands)

  • 이홍성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5-13
    • /
    • 2006
  • 지하수 급속저하와 같은 비배수 상태에서는 흙과 보강재 사이의 경계면(interface)에서 발생하는 과잉간극수압으로 인하여 유효응력이 감소할 수도 있으며, 이는 보강재의 인발력 감소로 이어지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종류의 흙(순수모래, 5, 10, 15, 35% 실트질 모래)과 상재하중(30, 100, 200kPa)을 대상으로 배수 및 비배수 실내인발시험을 실시하여 최대 배수인발력과 최대 비배수인발력을 서로 비교하였다. 시험결과 배수인발력과 비배수인발력 모두 실트 함유량에 의해 영향을 받고, 흙의 내부마찰각이 증가함에 따라 인발력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재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인발력도 증가하였으며, 최대인발력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인발거리도 증가하였다. 비배수 시험에서는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함에 따라 보강재에 작용하는 유효응력이 감소하였으며, 그 결과 배수 조건과 비교하여 인발력과 인발거리가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