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verall Attitude

Search Result 550, Processing Time 0.078 seconds

A cross-sectional survey of clinic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mo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Lee, Hye-Yoon;Yun, Young-Ju;Yu, Sun-Ae;Park, Yo-Han;Park, Byung-Wook;Kim, Bu-Young;Hwang, Man-Suk
    • Integrative Medicine Research
    • /
    • 제7권4호
    • /
    • pp.333-340
    • /
    • 2018
  • Backgrou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is widely used to treat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in Korea; however, studies investigat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 of TKM are scarce. Thus,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factors that might influence the use of TKM. Method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multicenter survey was performed from August 2014 to May 2016. The history of TKM use, type and severity of CP, current treatment characteristics, presence of accompanying disabilities or other health problems not directly related to CP, and monthly cost for the treatment of CP were surveyed. Results: In total, 182 children were recruited, and 78 children (42.9%) had used TKM. Among these 78 children, 50 (64.1% of the TKM-use group) had used both acupuncture and herbal medication, 15 (19.2%) had used acupuncture only, and 13 (16.7%) had used herbal medication only. Children with non-typical CP, accompanying disabilities and general health problems tended to use TKM. The monthly cost of treatment for C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KM-use group than that in the no-TKM-use group, suggesting that economically disadvantaged children may have difficulty in accessing TKM. Dietary supplements, conventional pharmacological treatments, and rehabilitation therapies did not affect TKM use. Conclusion: Children with non-typical symptoms or those with poor overall health status are likely to use TKM. Additionally, TKM use leads to increased treatment costs. Studies investigating the motivation for starting or ceasing TKM therapy, socioeconomic factors and the attitude of parents towards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should be performed.

Survey of the real-world re-use of disposable dental supplies in dental offices

  • Park, Bo-Young;Mun, So-Jung;Chung, Won-Gyun;Choi, Eun-Sil;Noh, Hie-Jin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1-149
    • /
    • 2019
  •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al-world re-use of disposable dental supplies (DDS) in dental offices and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ists and reuse of DDS, with respect to infection control characteristics. Method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77 dental hygienists to assess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DDS management, and re-use of DDS. Nine DDS we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based on their purpose: Critical, Semicritical, Noncritical,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The associ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ists and re-use of DDS, with respect to infection control characteristics, was assessed using the chi-squared test. Results: All 9 DDS were re-used to different extents. The highest reuse rate of supplies were for masks (64.6%), prophylaxis cups (61.0%) and plastic saliva ejectors (30.0%). Overall, 89.5% of the participants re-used DDS; subgroup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proportions of specific DDS re-use: PPE 66.4%; Semicritical DDS 63.9%; Noncritical DDS 19.5%; and Critical DDS 1.8%. Based on the type of clinic, the rate of re-use was higher in dental clinics than dental hospitals. Thus, the re-use of DDS may be caused by inappropriate or nonexistent guidelines or habitual practice, rather than the awareness or attitude of dental hygienists. Conclusions: In order to ensure a safe environment within the dental clinic, DDS classifications must be clearly outlined in the dental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moreover,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regarding the regulations for DDS re-use and disposal.

한국과 에스토니아의 과학 교육과정 비교 연구: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Science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Estonia: Focusing Chemistry Domain)

  • 김현정;김성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65권5호
    • /
    • pp.347-357
    • /
    • 2021
  • 이 연구는 우리나라와 에스토니아의 과학과 교육과정을 화학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교육과정 설계와 두 나라의 공통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과목에서 다루어지는 화학 영역의 핵심 개념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로, 에스토니아는 총론에서 제시한 핵심역량이 과학 교과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연결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탐구 기능 및 태도와 가치를 교육과정 문서에 구체적으로 제시한 특징이 있었다. 둘째로, 화학의 핵심 개념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서 다루어지는 개념이 대부분 에스토니아에서도 다루어졌다. 다만, 에스토니아는 더 광범위한 개념을 보다 정성적으로 다루는 경향이 컸다. 화학 과목에서 다루어지는 개념은 우리나라의 공통 교육과정 수준을 넘었으나, 이 과목도 정성적인 접근을 시도한다는 특징이 있었다.

AI기반 디지털 광고효과 연구 : 맞춤화광고와 개인화광고를 중심으로 (AI-based Digital Advertising Effects : focus on Customization Advertising and Personalization Advertising)

  • 진홍근;김민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115-122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AI 기반의 프로그래매틱 광고 전략 중 개인화 광고와 맞춤화 광고전략이 소비자의 광고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광고 전략을 선행변인으로 설정하여 행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총체적 감정 경험인 트랜스포테이션을 거쳐 광고태도에 이르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일반인 1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개인화 광고는 소비자의 트랜스포테이션에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맞춤화 광고 전략이 정(+)적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트렌스포테이션은 광고태도에 정(+)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의 적극적 선택으로 만들어진 맞춤화 광고 상황은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 경험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기계적인 분석과 노출 중심의 광고 전략보다는 소비자를 적극적으로 광고 선택 상황 즉, 맞춤화 광고상황으로 유도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Educational Contents for Concepts and Algorithms of Artificial Intelligence

  • Han, Sun G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37-44
    • /
    • 2021
  •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소양을 신장하기 위한 교육 콘텐츠의 설계와 개발에 관한 것이다. 우선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를 설계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콘텐츠는 8개의 인공지능 영역에서 총 15차시로 구성되었다. 콘텐츠는 지식-기능-태도의 내용을 함께 담고 있으며 학습단계는 5단계로 구성하였다. 콘텐츠의 개발은 온라인 자료의 형태로 구성하고 시뮬레이션과 워크시트를 포함하였다. 또한 교수학습방법을 제공하고 각 콘텐츠별로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콘텐츠의 적합성을 살펴보기 위해 전문가 대상으로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계 내용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사 결과 전체 평균은 .71이상을 나타냈고, 개발된 콘텐츠의 수업 적합도의 CVI값은 .82로 타당성이 높게 나왔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콘텐츠들이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공지능 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치매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in older Koreans enrolled in senior welfare centers)

  • 임경춘;김명숙;고하나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9-4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factors influencing on the preventive behaviors of dementia in older Koreans enrolled in senior welfare center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dementia prevention. Methods: A total of 182 older Korean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ch employed a cross-sectional design.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with items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self-esteem,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of dementia, dementia management self-efficacy, and anxiety about dementia. Using SPSS WIN 23.0,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Living with a spouse (p=.013), a higher monthly income (p=.018), better nutrition (p=.010), not having a sleep disorder (p<.001), and higher number of participating programs (p=.001) were associated with better dementia prevention behaviors. Attitudes about dementia (��=.18, p=.006) and the number of programs older Koreans were participating in (��=.17, p=.006)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preventive behaviors of dementia, while depression (��=-.41, p<.001) and sleep disorders (��=-.17, p=.006) influenced negatively o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Overall, approximately 35% of the variability in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was explained by these four variables in this study (F=24.97, p<.001).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pression reduction, good attitudes about dementia, program participation, and good sleep should be encouraged to promote dementia prevention. In addition, effective and structure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older Koreans to encourage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to reduce the risk of dementia.

공공도서관 사서의 공통역량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Public Librarian's Core Competency Value)

  • 박희진;김진묵;차성종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35-360
    • /
    • 2021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공통역량 수준을 진단하는 자가진단 도구를 개발하여 실제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적용해보고 실증적 연구방법을 통해 역량가치 평가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 현장에서 사서의 역량강화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 평가 지표를 공공도서관 관점에서 수정, 보완하여 직급이나 직무에 관계없이 누구나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본적 자질인 공통역량을 중심으로 한 자가진단 도구가 제시되었다. 공공도서관 사서 역량에 대한 자기 진단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전문직 사서가 갖추어야할 공통역량의 습득 정도를 보통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의 전체 역량 중 '사서의 행동 및 태도' 영역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사서의 기량', '사서의 지식'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직무 수행에 필요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역량강화를 위해서 사서 재교육 체계 구축 및 강화가 필요하며 전문직으로서의 사서 직무에 대한 대외 홍보, 사서 전문역량 계발을 위한 체계적 제도와 전문성 계발을 위한 인사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입원경험이 환자의 만족도와 병원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patients' Experience on Patients'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commend Hospital)

  • 조명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299-305
    • /
    • 2021
  • 본 연구는 입원환자의 만족도과 병원추천의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연구하기 위해 '2018년 의료서비스경험조사' 원시자료중 입원의 경험이 있는 593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환자의 입원 경험은 의사 요인, 간호사 요인, 시설 및 행정, 보건의료제도의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의사 요인, 간호사 요인, 시설 및 행정 요인, 보건의료제도 요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건강관련 요인을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입원환자의 만족도와 병원추천의향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입원환자의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 의사, 간호사 등 의료진과 병원의 시설 및 행정지원 서비스가 총체적으로 환자중심적인 태도와 방향으로 개선하는 노력 외에도 보건의료제도에 대한 신뢰와 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마이데이터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태도와 보호의도에 관한 연구: 프라이버시 냉소주의의 영향 (A Study on Privacy Attitude and Protection Intent of MyData Users: The Effect of Privacy cynicism)

  • 정해진;이진혁
    • 정보화정책
    • /
    • 제29권2호
    • /
    • pp.37-65
    • /
    • 2022
  • 이 연구는 마이데이터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태도와 보호의도에 대한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4개 차원(불신, 불확실성, 무기력, 체념)의 영향 관계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마이데이터 이용자의 인터넷 활용능력은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차원 중 '체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라이버시 위험은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차원 중 마이데이터 사업자에 대한 '불신', 프라이버시 통제에 대한 '불확실성' 및 '무기력'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셋째, 프라이버시 염려는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차원인 '불신', '불확실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 '체념'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넷째,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차원의 '체념'은 프라이버시 보호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마이데이터 이용자의 인터넷 활용능력은 프라이버시 냉소주의를 완화할 수 있는 변인이나, 프라이버시 위험과 프라이버시 염려는 프라이버시 냉소주의를 강화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프라이버시 냉소주의 중 '체념'은 프라이버시 염려를 상쇄시키고, 프라이버시 보호의도를 낮춘다. 이는 프라이버시 노출에 대한 위험 또는 염려의 상황에서 프라이버시 냉소주의가 이러한 상황을 벗어나게 하는 인지적 메커니즘으로 기능한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뒷받침한다.

AI 사고력 코딩 프로그램이 농어촌 초등학생의 SW성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n Effects of AI Thinking Skills Coding Program on Software Development Tendency to Primary Students in Rural Areas)

  • 이재호;이승훈;정홍원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1-9
    • /
    • 2021
  • 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은 세계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19년부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SW 교육이 시작되었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지역적 소외계층은 열악한 교육 환경에 놓여 있어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핵심 역량 교육으로 간주되고 있는 SW 교육 사각지대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현재 코로나19 상황으로 대면 수업이 어려워진 농어촌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SW 교육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AI 사고력 코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경기 남·북부 지역 6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으며, 수업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인 AI 사고력 코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농어촌 학생들의 자신감, 흥미, 태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모든 AI 사고력 코딩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SW성향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