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Fertilization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8초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Nitrogen Concentration in Pre-planting Fertilizers for the Cultivation of Tomato Plug Seedlings

  • Lee, Dong Hoon;Park, Myong Sun;Lee, Chiwon W.;Choi, Jong My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4호
    • /
    • pp.431-438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e-planting nitrogen (N) fertilization levels added to a soilless root medium on the growth of 'Dotaerang Dia' tomato seedlings. The N levels were varied for a total of 7 treatments: 0, 100, 250, 500, 750, 1,000, or $1,500mg{\cdot}L^{-1}$. The pH of the root media gradually rose in all treatments as the seedlings grew;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 pH were not significant among the treatment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EC) of the root medi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from sowing to week three, then drastically decreased after week four, which diminished the differences in the EC among the treatments. At week six,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ves, and fresh and dry weights of the shoot were highest for the treatment with $500mg{\cdot}L^{-1}N$. In contrast, the treatment with $1,500mg{\cdot}L^{-1}N$ had the lowest results for all growth measurements. The fresh weight was 67% heavier in the $500mg{\cdot}L^{-1}N$ treatment compared to the $1,500mg{\cdot}L^{-1}N$ treatment. The total N content in the tissues was lowest in the treatment with $0mg{\cdot}L^{-1}N$ and highest in the treatment with $1,000mg{\cdot}L^{-1}N$. The contents of calcium (Ca), magnesium (Mg), and metal micronutrients in the tissues were highest in the $250mg{\cdot}L^{-1}N$ treatment. A previous study demonstrated that adjusting the fertilization level to promote growth to over 90% of the maximum growth is a good strategy for lowering production costs and preventing damage due to excessive fertilizer absorption by crop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al pre-planting N fertilization level for tomato plug seedlings should be lower than $500mg{\cdot}L^{-1}$ and the optimum tissue N contents should be around 3.21% to 4.60%.

바위돌꽃(Rhodiola rosea L.)의 촉성재배시 질소 시비에 따른 수량과 Salidroside 함량 (Comparison of Yield and Content of Salidroside with Application Rates of Nitrogenic Fertilizer under Forcing Culture of Rhodiola rosea L.)

  • 이강수;최선영;이용근;황선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4-13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질소비료의 종류 및 처리량 차이가 바위돌꽃의 뿌리 수량 및 유효성분인 salidroside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고품질의 바위돌꽃을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시비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요소비료와 유안비료 모두 48kg N/10 a까지는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바위돌꽃 뿌리의 건물 생산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그 이상의 처리량부터는 오히려 건물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요소비료와 유안비료 모두 화학비료 성분 처리량 48-8-20-10-10 kg/10a에서 가장 높은 salidroside 함량을 나타내었다. 곡선회귀 방정식에 기준한 요소와 유안비료의 적정 시비량은 45-8-20-10-10 kg/10 a로 나타났으나, 요소비료와 유안비료의 처리후 토양중 질소 축척과 토양 산성화, 식물체로의 질소 흡수이행량, 바위돌꽃 뿌리의 건물생산량 그리고 바위돌꽃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약리성분인 salidroside의 함량 등 제반사항을 고려하였을 때, 요소비료는 질소성분량으로 40 kg/10 a, 유안비료는 질소성분량으로 35 kg/10 a가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어미 크기 및 복부팽만도에 따른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배란유도 효과 (Ovulation Induction Effect of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in Size and Abdomen Inflation Degree of Mother Fish)

  • 조재권;홍창기;박종연;손맹현;박재민;한경호;김경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60-266
    • /
    • 2016
  •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의 우량 수정란을 생산할 수 있는 어미 선별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해상가두리에서 6년간 키운 시험어의 현태적 특징을 관찰하고 호르몬 처리하여 난질을 관찰 분석하였다. 시험어는 4개의 체중 범위(3.0~4.0, 4.0~5.0, 5.0~6.0, 6.0~7.0 kg)와 뒷지느러미를 기준으로 복부팽만한 정도를 I~IV 단계로 나눈 후 산란빈도, 채란량, 부상률, 수정률, 난발생 생존율 및 부화율을 조사하고, 수정란과 유구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또한 생식소 발달을 확인하기 위하여 복부팽만도 단계별 생식소 중량지수(GSI)를 구하고,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어체중이 5.0 kg 이상일 때 모든 개체에서 배란이 유도되었다. 또한 복부팽만도 I, II 단계에서는 배란이 유도되지 않고, III, IV 단계에서만 배란이 유도되었다. 난질은 III 단계가 우수하였고 그 때의 GSI는 $4.68{\pm}0.40%$였다.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여성의 연령이 수정란의 질과 다태 임신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aternal Age on Embryo Quality and the Frequency of Multiple Pregnancy in IVF-ET Program)

  • 이명섭;박장옥;정지학;박준숙;강희규;김동훈;이호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7권3호
    • /
    • pp.261-265
    • /
    • 2000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maternal age on embryo quality and the frequency of multiple pregnancy in IVF-ET program. Method: 86 conventional IVF-ET cycl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ge by 5 year (group A: 26-30, group B: 31-35, group C: 36-40 yrs). The in vitro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utcome (fertilization, cleavage and high quality embryo rate) and the pregnancy outcome (pregnancy, implantation, G-sac/high quality embryo and multiple pregnancy rate) were examined. And then, these results were compared among the groups. Results: The rates of fertilization (62.7, 68.5 and 65.4%, respectively) and cleavage (95.6, 97.6 and 98.0%, respectively)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And the high quality embryo (HQE) rate also was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61.8, 62.9 and 62.8%, respectively). The pregnancy rate of group C (23.3%)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roup A (41.2%) and B (48.7%). And the implantation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dvance in maternal age (group A; 17.3%, B; 12.6% and C; 6.0%). The G-sac/high quality embryo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A (70.8%) when compared to group B (32.2%) and C (40.0%). On the other hand, the multiple pregnancy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C (14.3%) when compared to group A (71.4%) and B (36.8%). Conclusion: The pregnancy ra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35 years. The G-sac/HQE and multiple pregnancy rate were significantly high below 31 years.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umber of high quality embryo transferred should be limited by the age and another criteria for embryo quality evaluation were required for single embryo transfer.

  • PDF

자외선이 산개구리 (Rana dybowskii) embryo의 시원생식세포 수에 미치는 영향 (UV Effect on the Number of Primordial Germ Cells in the Embryo of Rana dybowskii)

  • 정해문;김원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3-24
    • /
    • 1984
  • 산개구리의 germ plasm 및 축결정 세포질에 미치는 자외선의 영향을 수량적, 시간적으로 조사하였다. 산개구리 난의 식물극을 수정 후 60분경에 1,600 $ergs/mm^2$이상의 자외선을 조사하였을때 40%이상의 시원생식세포의 수가 감소하였으나, 그 이하의 양에서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1,600 $ergs/mm^2$부터는 시원생식세포 수의 감소 정도는 자외선의 양에 비례하였다. 또 신경관 형성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시원생식세포의 형성을 완전히 억제시키는 자외선의 양은 4,800 $ergs/mm^2$이었다. 이에 4,800 $ergs/mm^2$의 자외선을 수정 후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조사하여 germ plasm에 미치는 자외선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이 조사된 시기가 이를수록 시원생식세포수의 감소가 크며, 수정후 60분부터 차츰 감소율이 줄어 들다가 3분열 이후에는 자외선의 효과가 거의 없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시원생식세포와 축형성에 미치는 자외선의 영향을 시기적으로 비교한 결과 산개구리난의 축결정이 다른 무미양서류에서와 같이 수정에서 제1분열 사이의 $0.7\\sim0.8$시기 이전에 이루어지므로 그 이후에는 자외선의 감응도가 급격히 저하되었다. 그러나 germ plasm의 자외선에 대한 감응도는 훨씬 늦게까지 지속되어 8구기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이 나타났다.

  • PDF

버드나무(Salix spp.) 조림지내 벌채에 의한 년간 토양양분 수탈 (Annual Removal of Soil Nutrient by Stem Harvest in a Willow (Salix spp.) Plantation)

  • 박관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84-391
    • /
    • 1998
  • 목재에너지 공급을 위해 1987년 미국 뉴욕주립대 연습림에 조성된 버드나무(Salix spp.) 조림지를 대상으로, 매년 벌채되는 지상부 biomass와 양분의 양을 측정하여 벌채에 의한 양분수탈을 평가하였다. 5개의 버드나무 clone과 1개의 잡종 포플러가 식재되었으며, 식재지의 시비구에 매년 N($336kg\;ha^{-1}$), P($112kg\;ha^{-1}$), K($224kg\;ha^{-1}$)를 시비하였으며, 조림지에 식재된 모든 공시목은 매년 벌채되었다. 식재 후 7년동안(1987-1993) 식재지로부터 벌채에 의한 연평균 N, P, K, Ca, 그리고 Mg의 수탈은 각각 30-70, 4-10, 14-40, 19-59 그리고 $3-5kg\;ha^{-1}$이었다. 시비구에서 높은 biomass 생산과 양분수준 때문에 대조구보다는 시비지역의 수목에서 양분수탈이 높게 나타났다. 비록, 벌채로 인한 양분수탈이 대조구보다 시비지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양은 시비처리의 양보다 적기 때문에 토양의 양분 수준에 크게 영향을 주지는 않을것으로 사료 된다. 시비없이 벌채에 의한 양분수탈은 장기간에 걸쳐 토양양분의 결핍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 식재 clone중 clone SV1의 양분 유효도가 가장 높았다.

  • PDF

농경지 아산화질소 배출계수의 연간 변동 특성 분석 (Annual Variability in Nitrous Oxide Emission from Agricultural Field Soils)

  • 현준기;유신이;양싱야;이종은;유가영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05-312
    • /
    • 2017
  • We aimed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N_2O$ emission factors of chemical and organic fertilizers and identifying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annual fluctuations in $N_2O$ emission. We conducted two-year experiments in 2016 and 2017 in an agricultural field planted with sweet potato (Ipomoea batatas). Treatments included chemical NPK fertilizer (NPK) and chicken compost application at $10\;ton\;ha^{-1}$, $20\;ton\;ha^{-1}$, and $30\;ton\;ha^{-1}$ rates (CK1, CK2 and CK3). Control was also employed with no addition. Results showed that $N_2O$ emission rat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soil water status and soil available N content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 water filled pore space (WFPS) and $N_2O$ emission was observed only when the %WFPS was greater than 40% and during the initial stage of the experiment (<60 d). Comparison of the emission factors in 2016 and 2017 showed us that the emission factor was greater in 2016 when the %WFPS was maintained higher by 16.5% compared to that in 2017. In 2016, the emission factor of organic fertilizer was higher than that of chemical fertilizer, while in 2017, the pattern was reversed. Annual variability in $N_2O$ emission could also be originated from the available N contents remaining in soil after being taken up by plants. If we apply excessive N fertilizer, the soil would contain excess amount of N which was not uptaken by plants, leading to a huge increase in $N_2O$ emission. This case would overestimate emission factor, which was the case for the organic fertilizer in 2016. Over-fertilization should be avoided when we set up an experiment to determine $N_2O$ emission factor.

폐탄광 산림복구지 관리방안 도출을 위한 산림복구 후 시간경과에 따른 임분탄소저장량 평가 (Assessment of Carbon Storage Capacity of Stands in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over time for its Development of Management Strategy)

  • 정문호;박관인;김지혜;지원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33-242
    • /
    • 202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anagement strategy for the recovery of carbon storage capacity of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 For the purpose, the biomass and stand carbon storage over time after the forest rehabilitation by tree type for Betula platyphylla, Pinus densiflora, and Alnus hirsuta trees which are major tree species widely planted for the forest rehabilitation in the abandoned coal mine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hem with general forest. The carbon storage in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was lower than that in general forests, and based on tree species, Pinus densiflora stored 48.9%, Alnus hirsuta 41.1%, and Betula platyphylla 27.0%. This low carbon storage is thought to be caused by poor growth because soil chemical properties, such as low TOC and total nitrogen content, in the soil of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were adverse to vegetation growth compared to those in general forests. DBH, stand biomass, and stand carbon storage tended to increase after forest rehabilitation over time, whereas stand density decreased. Stand' biomass and carbon storage increased as DBH and stand density increased, bu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and density and DBH. Therefore, after forest rehabilitation, growth status should be monitored, an appropriate growth space for trees should be maintained by thinning and pruning, and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such as fertilization must be managed. It is expected that the carbon storage capacity the forest rehabilitation area could be restored to a level similar to that of general forests.

돼지 액상정액의 정자 주입농도가 서로 다른 체외성숙배지에서 배양된 난포란의 체외수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In­Vitro Fertilization of Pig Oocytes Matured in Different In­Vitro Maturation Media according to Sperm Concentration of Liquid Boar semen)

  • 박창식;이영주;고현진;양창범;손동수;서길웅;이규승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
    • /
    • 2002
  • 본 연구는 mTCM-199, mWaymouth MB 752/1 그리고 NCSU-23 성숙배지에서 성숙시킨 난포란을 mTBM 수정배지에서 액상정액의 정자를 이용하여 주입정자 농도별로 체외 수정시킴으로써 액상정액을 이용한 새로운 체외수정 방법을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미성숙 난포란은 0.5 $m\ell$의 성숙배지에 각 well 당 30~40개씩 적하하였다. 액상정액 제조용 정액은 90% 이상의 운동성을 가진 농후정자부분을 사용하였으며 정액채취 후 2시간 동안에 22~24$^{\circ}C$의 실온까지 냉각시켰다. 실온까지 냉각한 정액은 BTS 희석액으로 2$\times$$10^{8}$ $m\ell$ 정자농도로 조정하여 100$m\ell$ 플라스틱병에 30 $m\ell$씩 주입하여 17$^{\circ}C$에서 5일 보관하였다. 5일 보관후 운동성이 70% 이상인 정자를 체외수정에 이용하였다. 38.5$^{\circ}C$, 5% $CO_2$, 95% 공기로 조절된 CO2 배양기에서 44시간 성숙 후 cumulus cell들이 제거된 성숙 난포란은 0.5 $m\ell$의 mTBM 수정배지에 30~40개씩 적하하고 최종정자농도를 1, 2, 4, 6 그리고 10$\times$$10^{6}$$m\ell$되도록하여 주입하고 6시간 동안 수정시켰다. 체외수정시킨 수정란들은 수정 후 6시간 동안 0.5$m\ell$의 NCSU-23 배양배지에서 배양한 후 정자침입율, 다정자침입율 그리고 웅성전핵 형성율을 조사하였다. mTCM-199, mWaymouth MB 752/1 그리고 NCSU­23 성숙배지에서 성숙시킨 난포란을 mTBM 수정배지에서 액상정 액으로 체외수정 한 결과 NCSU-23 성숙배지에서 성숙한 난포란이 웅성전핵형성율이 높았고 다정자침입율이 낮았다. NCSU-23 성숙배지에서 성숙한 난포란을 mTBM 수정배지에서 수정할 경우 최적정자농도는 2~4$\times$$10^{6}$$m\ell$이었으며, 정자침입율은 50.8~50.9%, 다정자침입율은 13.3~19.5% 그리고 웅성전핵형 성율은 43.9~45.4%였다. 결론적으로 NCSU-23 성숙배지에서 성숙되고 mTBM 수정배지에서 수정된 난포란은 mTCM-199이나 mWaymouth MB 752/1 성숙배지에서 성숙되고 mTBM 수정배지에서 수정된 난포란보다 우수한 체외수정 결과를 나타내었다. 17$^{\circ}C$에서 5일 동안 보존한 액상정액으로 NCSU-23 배지에서 성숙한 난포란을 체외수정하기 위한 최적정자농도는 2~4$\times$$10^{6}$$m\ell$이었다.

형질전환 식물체에서의 복합 단일 항체 단백질 생산 (Multiple Monoclonal Antibodies Produced in a Single Transgenic Plant)

  • 안미현;오은이;송미라;;김현순;정혁;고기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3-128
    • /
    • 2009
  • 식물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해 인간에게 유용한 치료단백질 및 백신을 생산하는 것은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식물을 이용한 유용 단백질 생산은 다른 시스템에 비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병원성 인자에 대한 안전성이 있어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암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발현하고 있는 분자 와 당 구조를 각각 인지할 수 있는 두 종류의 항체를 동시에 투여하는 면역 치료는 질병의 치료를 유도하는 데 있어서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에 본 연구팀에서 확보하고 있었던 두 종류의 항체 단백질(mAb CO17-1A, mAb BR55) 생산 형질전환 식물체를 이용하여 상호교배를 통하여 한 식물에서 두 종류의 항체 단백질을 모두 생산하는 식물 발현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이다. 각기 다른 유전자를 갖고 있는 식물체로부터 수분을 유도하여 씨앗을 얻고 이 씨앗을 배양하여 완벽한 식품 개체로 성장시켰으며, 그 식물체로부터 DNA, RNA, 단백질을 분리하여 형질전환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개체에 차이는 있지만, 한 식물에서 두 항체 유전자를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유전자는 식물체 내에서 안정적으로 transcription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 종류의 항체를 동시 생산하는 식물체에서 분리한 단백질은 한 종류의 항체 단백질만 생산하는 식물체에 비하여 수용성 단백질 단위당 항체 발현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식물을 이 용한 유용 단백질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확립하였으며 앞으로 추가적으로 생산한 항체의 생물학적 활성 및 항암 효능, 당 구조 분석 등에 대한 연구용 수행한다면, 식물 생명공학적 방법을 통한 항체 생산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