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er all diameter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34초

심외도관 폰탄수술후 중단기 성적 및 심외도관의 내경의 변화 (Early and Midterm Results of the Extracardiac Fontan Operation and the Change of Internal Diameter of the Conduit)

  • 성시찬;김시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177-181
    • /
    • 2002
  • 배경: 폰탄 술식의 여러 변형에 대한 술후 성적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향상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본 교실에서는 향후 폰탄 수술의 변형법의 재고를 위해 최근 실시한 심외도관 폰탄수술의 조기 결과를 분석하고 자기공명촬영술을 이용해 술 후 심외 도관의 내경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상및 방법: 1997년 4월부터 2000년 7월까지 본원에서 심외도관 폰탄 수술을 시행한 1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남녀 각각 6명이었고 수술당시 평균연령과 체중은 각각 42.04$\pm$12.43개월(26.5~~65개월)과 13.80$\pm$1.94kg(11.0~l7.9kg)이었다. 평균수술시간은 455$\pm$89.51분(360~615분)이었으며, 평균 체외순환시간은 109.7$\pm$26.99(67~165)분이었다. 모든 례에서 대동맥차단은 필요치 않았으며 10례(83.3%)에서 4mm 혹은 5mm의 Gore-Tex도관을 이용한 심방과의 개통(Fenestration)을 만들어 주었다. 결과: 수술사망 및 술후 사망은 없었으며 술후 모든 환자에서 정상동율동이 유지되었다. 지연 흉막 삼출(Prolonged pleural effusion)은 4례(33.3%)에서 발생하였으며 이 중 4주이상 흉막삼출이 지속되었던 경우가 1례(8.3%)였다 술 후 혈전전색증은 없었으며 단백 소실성 장염이 1례(8.3%)였다. 자기공명혈관촬영(MR angiography)상 전 환자에서 심외도관의 협착이나 혈전은 발견되지 않았고 자기공명촬영술Magnetic resonance image)로 측정한 심외도관의 내경은 평균 17.5$\pm$0.66mm(16.6~18.6mm)로 실제도관의 내경보다 평균 1.9$\pm$0.88mm(9.84$\pm$3.84%)로 좁아져 있어 비교적 매우 넓은 내경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적기간과 내경의 감소의 정도는편상관분석한 결과 상관계수(r)이 0.019로 도출되어 통계학적으로 상관이 없었다(p=0.955). 결론: 심외 도관 폰탄 술식이 단심실의 생리학적 기능을 가진 여러 가지 다양한 복잡 심기형 환자에게 여전히 유용한 수술적 고려가 될 수 있으며 중 단기 추적조사 결과 도관 내경의 감소는 술 후 기간과는 통계학적 상관관계가 없었다.

Sodium Amylosulfate의 Salmonella typhi 증식에 대한 영향 (Effect of Sodium Amylosulfate on the Growth of Salmonella typhi)

  • 정윤섭;김성옥;이삼열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2
    • /
    • 1976
  • Sodium amylosulfate(SAS) has been reported to be an effective substance to inactiv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blood in blood culture media. The advantage of the use of SAS over sodium polyanethol sulfonate(SPS) is that it does not inhibit the growth of some bacteria! species which are known to be inhibited by SPS. As to S. typhi, SPS is reported to enhance the growth, however the effect of SAS on this organism is not known as yet. Using 43 strains of S. typhi, isolated from clinical materials, the authors tri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AS on this organism. The methods used for this study were : the SPS and SAS paper disk I sensitivity test, tests on the growth in trypticase soy broth(TSB) with SPS and with SAS, and experimental blood culture in SPS and SAS incorporated TSB.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ined. 1). S. typhi strains with the turbidity of No. 0.5 tube of MacFarland nepherometer were inoculated onto Mueller-Hinton plate and 1mg disk of SPS and SAS were applied. After 24-hour incubation, none of the 43 strains showed inhibition zone by SPS disk, but all of them showed zones by SAS disk with a mean zone diameter of 9.5mm(Table 1). 2) Inocula consisting of one to 54 viable counts of 37 strains were inoculated into three different media; TSB with 0.05% SPS, TSB with 0.05% SAS and TSB alone. After 24-hour incubation the mean of the optical densities of each medium were 0.483, 0.482 and 0.459 respectively, showing that SAS does not inhibit the growth of S. typhi. Moreover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inocula and growth(Table 2 and Fig. 1). 3). Each set of media in 5 ml amounts consisting of one tube of TSB with 0.05% SPS, one tube of TSB with 0.05% SAS and two tubes of TSB were inoculated with 8, 64. 640 and 6400 viable counts of bacteria. Then 0.5 ml of fresh normal blood was added to all tubes except for one tube of TSB. Macroscopic observation after 24 hour incubation showed a heavy growth in all tubes except for the tube of TSB plus blood, which showed only a light growth in the tube of the heaviest inoculum. This result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 growth of S. typhi is inhibited by som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resh blood, which are counter acted by SPS and SAS(Table 3). Between SPS and S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und(Table 4 and Fig. 2). With all these results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 addition of SAS into a rountine blood culture media may raise the positivity of S. typhi isolation and shorten the incubation period.

  • PDF

Calcium Silicate-based 재료에 대한 수 종 상아질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비교 (Shear Bond Strength Comparison of Different Adhesive Systems to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s)

  • 신현옥;김미선;남옥형;이효설;최성철;김광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45-45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Calcium silicate를 기반으로 한 2종의 치수복조재 (Biodentine, RetroMTA)와 임상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상아질 접착제 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중심구를 가진 아크릴 레진 블록 80개를 제작하고 2그룹으로 나누어 Biodentine (BD)과 RetroMTA (RMTA)를 중심구 안에 채운 후, 무작위로 10개씩 4개의 하위군을 나누어 재료 상방에 4가지 상아질 접착제인 Clearfill SE (CSE), AQ bond plus (AQ), All bond universal (ABU) 자가부식, ABU 일괄부식을 도포한 뒤 그 위에 복합레진을 적용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해 전단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Kruskal-Wallis를 사용하였고 Mann-Whitney의 사후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BD - ABU 자가부식군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RMTA - AQ 군이 가장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ABU 일괄부식과 ABU 자가부식군, ABU 일괄부식과 CSE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같은 상아질접착제 적용 시, BD가 RMTA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또한, BD와 RMTA 그룹 군에서 ABU 자가부식군 도포 후, 레진 적용했을 때 향상된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Giomer의 불소 유리 양상 및 미세경도에 관한 연구 (FLUORIDE RELEASE AND MICROHARDNESS OF GIOMER ACCORDING TO TIME)

  • 김상민;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9-437
    • /
    • 2010
  • Giomer는 글라스 아이오노머의 불소 유리 능력과 복합 레진의 물리적 성질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치과용수복 재료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시판되고 있는 giomer의 실제 불소 유리 수준과 지속적인 불소 유리에 따른 물성 저하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omer의 시간 경과에 따른 불소 유리량과 미세경도를 측정하고 기존에 소개된 불소 유리 수복재료인 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및 컴포머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복합 레진을 제외한 모든 수복재에서 불소 유리가 관찰되었으며 첫째 날 유리량이 가장 높았고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7일 후부터는 완만하게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2. 31일간 누적 불소 유리량은 III군(레진 강화형 글라스 아이오노머)에서 57.941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II군(컴포머)에서 14.643 ppm, I군(giomer)에서 2.957 ppm 순으로 높은 유리량을 보였다. 3. 수복재의 미세경도는 IV군(복합 레진)에서 가장 높았으며 I군, II군, III군 순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4. 시간 경과에 따라 미세경도는 7일째 소폭 상승하였다가 31일째 다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1일째와 비교시 차이는 없었다(p>0.05). 이번 연구 결과, giomer(Beautifil II)는 컴포머(F2000 Compomer)에 비하여 낮은 불소 유리량과 유사한 미세경도를 보였다.

7년 이상 기능한 임플란트의 변연골 흡수와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urvival rate and the marginal bone loss of dental implant over 7-years loading)

  • 최정혁;고재권;권은영;주지영;이주연;김현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2호
    • /
    • pp.116-126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7년 이상 기능한 임플란트의 생존율과 평균 변연골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92명의 환자에서 178개의 임플란트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해 임플란트 관련 요인(임플란트 직경, 임플란트 길이, 상부 보철물 고정 유무), 환자 관련 요인(성별, 흡연, 치태지수, 유지 치주치료 순응도) 및 수술 관련 요인(술자 숙련도, 골재생술 시행 유무)을 조사하였다. 구내 표준 방사선 촬영 이 후 각 임플란트의 근심 및 원심 변연골 수준은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94.94%였고, 평균 변연골 흡수는 $0.89{\pm}1.05mm$였다. 임플란트 길이와 치태지수는 임플란트 생존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흡연과 골재생술 시행 유무는 변연골 흡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결론: 본 연구에서 7년 이상 기능한 임플란트는 양호한 생존율과 변연골 수준을 보였다.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유지를 위해서는 임플란트의 길이, 치태조절에 유의하며 변연골 수준의 유지를 위해서는 골재생술의 신중한 적용, 흡연의 조절이 필요하다.

짧은 길이의 거친 표면 임프란트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SHORT ROUGH SURFACE IMPLANTS)

  • 공준하;이백수;김여갑;권용대;윤병욱;최병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41-45
    • /
    • 2009
  • Background: Reduced bone height is one of the major problems faced in restoring tooth loss with implants. By the use of short implants, it is possible to reduce complicated and invasive treatment such as bone graft, allowing more simple surgery. But short implants are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lower success rates than that of standard implants. Purpose: To assess the results of short Straumann implants by a retrospective study of short Straumann implants with TPS(titanium plasma-sprayed) and SLA(sandblasted, large grit, acid etched) surfaces. Materials and methods: 173 implants in 106 patients who received short Straumann implant surgery(${\le}8\;mm$) in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Kyunghee Dental Hospital, from February 1996 to October 2006 were selected and studied. All of the implants were followed up after prosthetic rehabilitation.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4 months with 119 months as the longest follow up period. The average follow-up period after prosthetic rehabilitation was 31 months. 64 females(60.4%) and 42 males(39.6%)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with the age range of 19 to 85(mean age 47). 20 patients(18.9%) were under 40, 85 patients(80.2%) were over 40 and under 70, and only one patient(0.9%) was over 70 years old. Results: 27 implants(15.6%) had TPS surface while 146 implants(84.4%) had SLA surface. 9 implants(5.2%) were 3.3, 108 implans(62.4%) were 4.1mm and 56 implants(32.4%) were 4.8mm in diameter. 167 implants(96.5%) were 8mm and 6 implants(3.5%) were 6mm in length. There were 24 implants(13.9%) on the maxillas and 149 implants(68.8%) on the mandibles. 119 implants(68.8%) were rehabilitated with FPD(fixed partial denture), 47 implants(27.2%) with single crowns and 4 implants(2.3%) with overdentures. Among the fixed partial dentures, 30 of them were splinted with short implants only. After over an year of follow-up period, 139 implants(96.5%) out of 144 implants showed marginal bone loss of less than 1mm. 3 out of 173 implants failed showing 98.27% survival rate. Conclusions: The use of short Straumann implants(${\le}8mm$) can be a simple and reliable treatment method in minimal residual bone height.

파킨슨환자의 자기공명영상과 미세전극기록을 이용한 담창구 파괴술 (Pallidotomy Guided by MRI and Microrecording for Parkinson's Disease)

  • 이경진;손형선;박성찬;조경근;박해관;최창락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41-46
    • /
    • 2001
  • Objective : The exact position of the lesion during the pallidotomy is critical to obtain the clinical improvement of parkinson's disease without damage to surrounding structure. Ventriculogrphy, CT(computed tomograpy) or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have been used to determine the initial coordinates of stereotactic target for pallidotom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microelectrode recording significantly improves the neurophysiologic localization of the target obtained from MRI. Methods : Twenty patients were studied. They underwent a unilateral pallidotomy. Leksell frame was applied and T1 axial images parallel to the AC-PC(anterior commissure-posterior commissure) plane using a 1.5 Tesla MRI with 3mm slice thickness were obtained. Anteroposterior coordinate of target was chosen at 2mm in front of the midcommissural point and lateral coordinate between 19 and 22mm from the midline. The vertical coordinate was calculated on coronal slice using a fast spin echo inversion recovery sequence(FSEIR)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choroidal fissure and ranged over 4-5mm below the AC-PC plane. Confirmation of the anatomical target was done on axial slices using the same FSEIR sequence . Microrecording was done at the pallidum contralateral to the symptomatic side using an electrode with a tip diameter of $1{{\mu}m}$ diameter tip and 1.1-1.4 mOhm impedance at 1000Hz. Electrophysiologic localization of the target was also confirmed intraoperatively by macrostimulation. Results : Microrecording techniques were reliable to define the transition from the base of the pallidum which was characterized by the disappearance of spike activity and by the change of the audible background activity. Signals from high amplitude neurons firing at 200-400Hz were recorded in the pallidal base. X, Y and Z coordinates of target obtained from the MRI were within 1mm from the X, Y, Z coordinates obtained with microrecording in 16 patients (80%), 15 patients(75%), 10 patients(50%)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Y coordinate between on MRI and on microrecording was 4mm in only one patient. Conclusion : The MRI was accurate to localize the target within 1mm of the error from microrecording target in 70% of the patients. 4mm discrepancy was observed only once. We conclude that MRI alone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target for pallidotomy in most patients. However, microrecording technique can still be extremely valuable in patents with aberrant anatomy or unusual MRI coordinates. We also consider physiologic confirmation of the target using macrostimulation to be mandatory in all cases.

  • PDF

일본잎갈나무조림지의 생태적 변화와 그 결과를 통해 확인된 복원 효과 (Ecological Changes of the Larix kaempferi Plantations and the Restoration Effects Confirmed from the Results)

  • 김세미;안지홍;임윤경;피정훈;김경순;이호영;조용찬;배관호;이창석
    • 생태와환경
    • /
    • 제46권2호
    • /
    • pp.241-250
    • /
    • 2013
  • 조성연도가 다른 일본잎갈나무조림지를 대상으로 조림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식생의 발달과정을 분석하였다. 일본잎갈나무의 높이와 직경은 조림 후 24년까지 빠르게 생장하였고, 그 이후 양 생장이 모두 둔화되는 경향이었다. 일본잎갈나무의 밀도는 8년생 식분과 17년생 식분에서는 유사한 밀도를 유지하였으나 24년생 식분에서 크게 감소하였고 그 이후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서열법을 적용하여 비교된 일본잎갈나무조림지의 종 조성은 조성연도에 따라 뚜렷한 변화경향을 나타내지 않았고, 조성연도가 다른 조림지 간의 차이가 대조구와의 차이보다 컸다. 주요 종의 직경급 별 빈도분포를 통해 분석한 결과 일본잎갈나무조림지는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자생식생으로의 천이경향을 보였다. 종 다양성은 모든 연령의 식분들이 대조구의 것보다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여지듯이 일본잎갈나무조림지에서 나타난 대조지소와 유사한 종 조성, 자생식생으로의 천이 경향 그리고 높은 종 다양성은 생태적 복원의 성공을 의미하는 조건으로서 기능적 복원으로 출발한 일본잎갈나무조림지가 성공적인 복원을 이루어낸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식재시기 및 조림지 하층식생 조건이 소나무 용기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Season and Vegetation Competition on Growth Performances of Containerized Seedlings of Pinus densiflora)

  • 조민석;김길남;권기원;이수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59-36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 용기묘(1-0묘)를 대상으로 계절별 식재시기 및 조림지 하층식생 조건에 따른 생존율과 생장 특성을 조사하여 용기묘 조림과정에서 보다 유리한 적정 식재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또4한 용기묘의 식재기간 확대 가능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식재시기는 봄, 여름, 가을의 세 처리를 하였으며, 시험지는 하층식생이 무성한 지역(A)과 그렇지 않은 지역(B)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소나무 용기묘의 생존율은 모든 시험지에서 여름 식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나무 용기묘의 근원경과 묘고 생장은 여름 식재가 가장 우수한 값을 보였으며, 식재 후 초기에는 생장이 불량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생장률이 점점 높아졌다. 대부분의 식재시기 처리에서 B 지역이 A 지역보다 생장률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질생산량에 있어서도 세 시험지 모두 여름 식재가 가장 높았으며, 하층식생이 발달하지 않은 B 지역이 가장 높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소나무 용기묘는 여름 조림이 가능하여 식재기간을 기존의 봄과 가을에서 여름까지 확대시킬 수 있으며, 높은 생존율과 생장을 위한 하층식생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Growth Performance of Teak (Tectona grandis Linn f.) and Padauk (Pterocarpus macrocarpus Kurz) Used in the Enrichment Planting for the Restoration of Degraded Tropical Forests in Myanmar

  • Oo, Thaung Naing;Lee, Don Koo;Park, Yeong Dae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5호
    • /
    • pp.540-546
    • /
    • 2008
  • Enrichment planting has been used as one of the promising restoration techniques to accelerate the natural restoration process of secondary forests or logged-over forests in Myanma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growth performances of two commercial species such as Teak (Tectona grandis Linn f.) and Padauk (Pterocarpus macrocarpus Kurz) in response to different canopy opening treatments and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these species in enrichment planting activities for the restoration of degraded tropical forests in Myanmar. In this study, split plot design was applied, and three levels of canopy openings were experimented. The survival rate and height growth of two species were measured four times with 6 month interval. The root collar diameter (RCD) was also measured in the last assessment. Although the survival rate of seedling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treatments (p>0.05) as well as between two species (p>0.05) for all consecutive measurements, height (p<0.05) and RC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among the treatments, T. grandis seedlings thrived best under complete canopy opening (i.e., 5 m width canopy opening with strip-clear cutting) while P. macrocarpus seedlings under partial canopy opening (without felling of marketable tree species). Because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only for young stage of seedlings, continuous assessment and follow-up tending activities are needed to verify the species suitability and optimum width of canopy opening for enrichment planting activities in restoration of degraded forests of Myanm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