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uchterlony tes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8초

흰쥐 조직에서의 카드뮴 결합 고분자량 단백질의 유도 (Induction of Cd-binding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 in Rat Tissues)

  • 천기정;김봉희
    • 약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52-358
    • /
    • 1997
  •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biochemical characters of Cd-BP(I) after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rotein from the liver of rat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Cd. A c ontinued study has been doing whether Cd-BP(I) could be induced by Cd or by other metals such as Zn and Cu. Antisera were made against the Cd-BP(I) from NewZealand white rabbits. Carried out were ${\gamma}$-globulin purification, then Ouchterlony test adn gel immunodiffusion test. Cd-BP(I) was also found in normal tissues of rat. It was induced up to a considerable level by Cd, whose induced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Cu or Zn treatment. The level of induction by Cu or Zn pretreatment plus Cd treatment was lower than that by simple treatment of Cu or Zn. Such a result was presumably related to the Cd toxicity.

  • PDF

흰쥐 조직에서의 카드뮴 결합 고분자량 단백질 [Cd-BP(II)]의 유도 (Induction of Cd-binding High Molecular Weight Protein [Cd-BP(II)] in Rat Tissues)

  • 천기정;김봉희
    • 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91-597
    • /
    • 1999
  • The study was carried out on the biochemical characters of Cd-BP(II) after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he protein from the liver of rat ip injection with Cd. A continued study has been doing whether Cd-BP(II) could be induced by Cd or by the other metals such as Zn and Cu. Antisera were made against the antigen of Cd-BP(II) from New Zealand white rabbits. We carried out g-globulin purification, then Ouchterlony test and gel immunodiffusion test. Cd-BP(II) was also found in normal tissues of rat. It was induced up to a considerable level by Cd, whose induced level was higher than that Cu or Zn treatment. The level of induction by Cu or Zn pretreatment plus Cd treatment was lower than that by single treatment of Cu or Zn. Such a result was presumably related to the Cd toxicity.

  • PDF

모기유충에 살충력이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darmstadiensis 73E10-2의 내독소의 용혈성 인자의 정제 (Purification of hemolysin in mosquitocidal delta-endotoxin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darmstadiensis 73E10-2)

  • 김광현;이기희;홍용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3-307
    • /
    • 1991
  • B.thuringiensis subsp. darmstadiensis 73E10-2의 내독소에 존재하는 hemolysin이 Sephadex G-100 gel filtration과 DEAE-cellulose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정제되었으며, 그 순도는 SDS-PAGE와 Ouchterlony test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정제된 hemolysin의 분자량은 64KDa 의 단백질 이었으며, in vivo 상태에서는 전혀 모기유충에 독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는 점이 28KDa 단백질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정제된 hemolysin과 B.thuringiensis subsp. israelensis의 내독소를 효소항체법으로 검토해 본 결과 양단백질 사이에는 면역학적으로 전혀 상관이 없었다.

  • PDF

간흡충 감염 가토의 면역진단에 대한 연구 2. 성충 조항원의 정제 및 발육단계별 항원 분석 (Studies on the Immunodiagnosis of Rabbit Clonorchiasis 2. Immunoamnity purification of whole worm antigen and characterization of egg, metacercaria and adult antigens of Clonorchis sinensis)

  • 이옥란;정평림;남해선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2호
    • /
    • pp.73-86
    • /
    • 1988
  • 간흡충(Clonorchis sinensis)의 조항원(WWA), 정제항원(ABA)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비교해 보는 한편, 발육단계별로 충란 항원(EGA)-피낭유충 항원(MEA)-성충 항원(WWA)의 단백질 구성물질의 차이를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로 관찰하고 이들 항원의 유용성을 효소면역반응(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으로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간흡충의 조항원으로부터 정제된 항원(ABA)은 항체와 결합한 결합항원(affinity-purified antibody(IgG) binding antigen:ABA)으로서 Ouchterlony 반응으로 간흡충 감염 가토혈청과 4개의 침모대 (WWA는 7개)를 형성하였다. WWA의 major protein들은 분자량 16,300∼18,500 및 28,000∼29,000 dalton의 Polypeptide band였고, ABA는 분자량 18,000∼21,000 및 29,000∼31,000 dalton의 단백질로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ELISA시첩에서 ABA는 WWA에 비해 현저히 민감도가 낮았다. WWA와 ABA에 대한 폐흡충 감염 사람혈청의 ELISA 정사에서 WWA는 Ouchterlony 양성자 8예중 3예에서 교차반응을 나타내었으나 ABA는 교차반응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흡충의 발육단계별 항원 단백질의 분자량 범위는 WWA 11,000∼80,000, MEA 15,000∼100,000, EGA 15,000∼200,000 dalton이었다. 주류원 단백질의 분자량은 EGA는 각각 36,600 (band No. 22), 38,500(No. 20), 64,000(No. 9), 62,000(No. 10), 54,500(No. 11), 53,000(No. 12) dalton, MEA는 각각 65,600(No. 3), 44,700 (No.7), 43,900(No. 8) dalton, WWA는 각각 16,300∼18,500(No. 31-32), 28,000∼29,000(No. 25), 11,000w13,000 (No. 35) 및 31,000(No. 24) dalton이었다. 즉, MEA와 EGA가 WWA보다 고분자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었다. 각 발육단계별 항원의 항원성은 ELISA 반응으로 볼 때 WWA가 가장 높았고, MEA는 약한 항원성만을 나타내었으며 EGA는 음성이었다. WWA와 간흡충 감염 가토혈청은 감염 4∼6주에 OD>1.0, 12주 이후 항체가의 plateau를 나타내었으나 MEA는 Ouchterlony 반응에서 EGA와 함께 음성반응을 보였다. ELISA에서도 중감염군(12∼20주)에서만 OD>0.6으로 미약한 항원성이 인정되었으며 경감염군은 전감염기간중 OD<0.6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성충 항원이 가장 강력한 함원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음이 명백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성충 조항원은 면역진단에 사용할 겹우 타흡충과의 빈번한 교차반응이 예상되므로 민감도 및 특이도가 높은 정제 항원물질을 분리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난황단백질 분리 및 면역학적 특성 (Purification and Immunological Characterization of Yolk Protein in Spotted Flounder, Verasper variegatus)

  • 김진한;김윤;김우진;백혜자;박중연;한창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73-479
    • /
    • 1997
  •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황단백 질을 증류수로 침전시킨 후 Sepharose CL-6B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분리하였다. 조난황단백추출액에서 분리한 난황단백질이 암컷 특이 혈청단백질과 공통의 항원성을 가짐을 Ouchterony 면역확산 test와 면역전기영동으로 확인하였다. 분리한 난황단백질의 분자량은 약 550kD이었으며, 난황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subunits은 분자량이 각각 108, 85, 31kD인 3종의 major subunits와 103, 80kD인 2종의 minor subunits이었다. 분리한 난황단백질은 vitellin에 대한 항혈청을 이용하여 western blot으로 확인한 바, 면역화학적 반응을 나타냈다.

  • PDF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난황단백질 분리와 특성 (Purificatio and Characterization of Yolk Protein in an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 정태항;한명숙;김대중;임상구;김명희;한창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1-278
    • /
    • 1998
  • 전복의 난황단백질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성숙한 참전복 암컷의 난소난 추출물로부터 sepharose Cl-4B gel chromatography을 사용하여 난황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암컷과 수컷의 혈청과 난소난 추출물에 대한 항혈청을 이용하여 암수혈청과 난소난 추출물을 면역전기영동과 Ouchterlony 면역확산을 한 결과, 성숙한 암컷 혈청에는 암컷 특이 혈청 단백질(female specific serum protein) 이 존재하였으며, 이것은 난소난 추출물과 동일한 항원성을 가지고 있었다. 한 종류의 난황단백질이 난소난 추출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이 난황단백질은 SDS 전기영동에 의해 분자량이 각각 181kDa과 113kDa이 되는 2개의 subuit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들 난황단백질에 대한 항혈청은 성숙한 암컷 특이 혈청단백질과 간췌장 추출액과 침강반응을 보였으며 서로 교차반응이 일어났으나, 성숙한 수컷 간췌장 추출물에 대해서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다.

  • PDF

모기유충에 살충력이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darmstadiensis 73E10-2 내독소의 면역학적 성질 (Immunological Characteristics of Mosquitocidal Delta-endotoxin fro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darmstadiensis 73E10-2)

  • 정태영;김광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01-304
    • /
    • 1990
  • Bti와 Btd의 내독소에 대한 면역학적인 검토를 행한 결과 양균주의 내독소에는 동일한 기원의 단백질이 혼존하고 있음을 면역확산반응 및 면역전기영동법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동일한 기원의 단백질 함량은 Bti 내독소 보다 Btd 내독소에 많이 존재함을 효소항체법으로 확인하였다.

  • PDF

동남참게(Eriocheir japonicus)의 난황단백질 정제와 그 전구체의 합성부위 구명 (Purification of the Yolk Protein, and Identification of the Synthetic Site of Its Precursor in Eriocheir japonicus (Decapoda, Brachiura))

  • 한창희;배현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32-442
    • /
    • 1992
  • 동남참게, Eriocheir japonicus의 난황단백전구체 합성부위를 면역조직화학적인 방법으로 구명하기 위하여, 난황단백질을 정제하고, 이 단백질에 대한 항혈청을 제작하여 난황단백질에 대한 면역학적인 성질을 밝힌 후, 난황단백전구체의 항체가 존재하는 항 난황단백혈청을 사용하여 PAP(peroxidase-antiperoxidase)법으로 생식소, 간췌장, 근육조직을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 반응을 시켰다. 성숙한 암, 수혈청에 대한 면역전기영동과 Ouch-terlony 면역확산 실험에 의하여 암혈청내에는 암 특이성혈청단백질이 있음이 밝혀졌다. 암, 수혈청에 대한 항혈청과 난황형성중인 암혈청에 대한 조난황단백추출액에 대하여 면역전기영동과 Ouchte-rlony 면역확산 실험을 행한 결과, 암 특이성혈청 단백질은 난황단백전구체임이 밝혀졌다. 조난황단백추출액으로 부터 DEAE 이온교환 chro-matography와 sepharose CL-4B gel 여과법에 의하여 난황단백질을 정제하였으며, 이 난황단백질의 분자량을 sepharose CL-4B gel 여과법에 의하여 추정한 결과 분자량은 약 245,000 dalton이었다. 또한 난황단백질은 면역학적인 분석에 의하여 난황 단백질에 대한 항혈청에는 난황단백전구체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난황단백질에 대한 토끼 항혈청을 이용하여 PAP법에 의한 면역조직화학반응을 시킨 결과, 난황형성중인 난모세포와 성숙한 암참게의 간췌장은 양성반응이 나타는데 반하여 난소내의 여포세포층과 난황형성전 난모세포, 근육층 그리고 성숙한 수참게의 간췌장은 전혀 양성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종의 난황단백전구체의 합성부위는 간췌장임을 알 수 있다.

  • PDF

참돔(Pagrus major)의 혈장 난황단백전구체에 대한 효소면역측정법과 난소성숙의 조기판정 (Enzymeimmunoassay for the Plasma Vitellogenin and Early Determination of Ovarian Maturation in Red Seabream, Pagrus major)

  • 한창희;양문호;백재민;임상구;김광현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9
    • /
    • 1995
  • 난황형성 중인 암 참돔의 혈청 내에는 암 특이혈청단백질이 존재하고 있음이 Ouchterlony의 면역확산 검정과 면역 전기영동에 의하여 밝혀졌으며, 이러한 암 특이혈청단백질은 암 $\cdot$수 혈청과 난추출액의 면역학적인 조사에 의해 난황단백 전구체임이 밝혀졌다. 또한 난추출액으로부터 정제된 난황단백질은 난황전구체와 공통의 항원성이 있음도 면역학적인 조사에 의하여 알 수 있었다. 변형한 효소면역측정법의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일정 비율로 희석한 성숙중인 암 혈청의 흡광도 곡선은 난황단백질의 표준곡선과 평행하였다 본 효소면역측정법의 평균 회수율은 $109\pm5.6\%$이었으며, $10\%$ 이내의 assay내 변동계수 범위는 $31\~1,000ng/ml$이었다. 생식소의 성숙 단계에 대한 혈장내의 난황단백전구체의 양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휴지기후기(1월)부터 난황형성기(4월)까지 난황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한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하여 혈장 난황단백전구체의 양을 측정하였다. 난황단백전구체의 양은 난황형성 전기인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난황형성기(3월부터 4월) 동안에는 난이 성장하면서 계속 증가하였다 2월부터 혈장내의 난황단백전구체의 양이 암$\cdot$수에 따라 현저하게 차이가 났다. 따라서 참돔 친어의 성 구분은 효소면역 측정법에 의하여 2월부터는 명확히 할 수 있다

  • PDF

Colloidal Textile Dye-Based Dipstick Immunoassay for the Detection of Infectious Flacherie of Silkworm, Bombyx mori L.

  • Sivaprasad, V.;Nataraju, B.;Renu, S.;Datta, R.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6권1호
    • /
    • pp.27-31
    • /
    • 2003
  • Infectious flacherie of silkworm Bombyx mori is caused by B. mori infectious flacherie virus (BmIFV) and causes severe crop loss to sericulturists. In the present study, a colloidal textile dye-based dipstick immunoassay is developed for the detection of infectious flacherie in silkworms. Colloidal textile dye (blue D2R) with Aλ$_{max}$ at 620 nm was sensitised with 500 $\mu\textrm{g}$/ml of purified anti-BmIFV IgG. The dye-antibody reagent detects purified antigen up to 10 ng/ml and BmIFV infection in diseased larval extracts $(up to a dilution of {10^-5})$ and faecal matter extracts $(up to a dilution of {10^-2})$ by forming clear blue dot within 30 min. It was observed to be stable for three months period at $4^{\circ}C$. The efficacy of textile dye-based dipstick immunoassay was on pay with HRP-based dipstick immunoassay and fluorescent antibody test, and better than latex agglutination and ouchterlony tests in the detection of BmIFV The dye-based dipstick immunoassay method provides a simple, sensitive and less expensive test for the detection of BmIFV infection in silkworm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