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teological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산 참마자, Hemibarbus longirostris(Cypriniformes: Cyprinidae) 자치어의 골격발달 (Oste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 of Hemibarbus longirostris (Cypriniformes: Cyprinidae) from Korea)

  • 문성준;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14-221
    • /
    • 2019
  • 이 연구는 참마자 자치어의 골격발달을 관찰하여 유연종 간의 분류학적 연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는 평균전장 8.10±0.02 mm (n=5)로 두개골의 액골과 부설골, 기저후두골이 골화하였고, 부화 후 6일째 중기자어는 평균전장 10.9±0.26 mm (n=5)로 두개골의 설악골, 접속골, 외익상골이 골화였으며, 부화 후 12일째 후기자어는 평균전장 12.2±0.55 mm (n=5)로 새개부의 간새개골, 견대부의 하후쇄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25일째 후기자어는 평균전장 16.1±0.27 mm (n=5)로 구개부의 상설골, 간설골이 골화하였고, 미골부에는 2개의 상미축골이 골화하였으며, 신경간극과 혈관간극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40일째 치어는 평균전장 27.9±3.74 mm (n=5)로 미골부의 하미축골이 3개(1, 2+3, 4+5)의 형태로 융합하면서 모든 부위의 골격발달이 완성되었다.

전어(Konosirus punctatus) 자치어 발육단계에 따른 골격발달과정 (Osteological Development of the Larvae and Juvenile in Konosirus punctatus)

  • 서지훈;김관석;이진;최원준;차상훈;유태식;이성훈;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83-90
    • /
    • 2023
  • 전어는 부화 후 5일째 평균전장 5.96 mm로 부설골, 전액골, 전상악골, 치골이 먼저 골화하였다. 부화 후 16일째 평균전장 9.96 mm로 전이골, 후이골, 외익상골, 상설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25일째 평균전장 11.03 mm로 상쇄골, 후측두골이 골화하기 시작하였으며, 4개의 사출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28일째 평균전장 12.34 mm로 액골, 익이골, 상이골, 외후두골, 기저후두골, 안전골, 주상악골, 설악골, 전새개골, 주새개골, 하설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36일째 평균전장 16.11 mm로 견갑골이 골화하였고, 부화 후 37일째 평균전장 16.25 mm로 사골, 비골, 노정골, 상후두골, 안하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45일째 평균전장 21.14 mm로 오혜골이 골화하여 견대부의 골화가 완성되었다. 부화 후 48일째 평균전장 23.20 mm로 관절골, 하새개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53일째 평균전장 30.11 mm로 서골, 구개골, 내익상골, 각골, 방골, 접속골, 인설골이 골화하면서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료되었다.

한국산 망둥어 과 어류의 척주와 담기골에 관한 연구 (Study of Vertebral Column and Pterygiophores in Gobiidae (Pisces, Perciformes) from Korea)

  • Lee, yong-Joo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1호
    • /
    • pp.25-34
    • /
    • 1993
  • 1984년 4월부터 1992년 10월가지 국내에서 채집된 망둑어과 어류 4아과 26속 45종의 총 348개체를 대상으로 제1등지느러미 담기골의 배열식, 척추골수, 상미축골수 및 제 1혈관극 전방의 뒷지느러미 담기골수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제1등지느러미 담기골의 배열식과 상미축골수는 속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었으며, 척추골수와 제1혈관극 전방의 뒷지느러미 담기골수는 종에 따라 고유한 특징을 보여주었다. 이중 이전에 망둑어 과의 아과를 구분하는 특징으로 사용되어진 상미축골수는 망둑어 아과의 분류에서는 적합하지 않았다.

  • PDF

쉬리 Coreoleuciscus splendidus의 골격학적 연구 (A Osteology Study of Coreoleuciscus splendidus (Cypriniformes; Cyprinidae), Korea)

  • 박종성;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3-262
    • /
    • 2012
  • 섬진강과 만경강에 서식하는 쉬리의 전골격계를 기재하고 도해하였다. 본 종은 신장된 안전골, 8개의 뒷지느러미 근담기골 수, 제1기새골의 호리병박 같은 모양, 인두치의 2가지 형태, 삽입골에 측돌기가 없고 제4늑골의 폭이 넓은 형태를 가지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사출골의 수와 내측돌기와 외측돌기의 길이는 개체마다 변이가 있었다. 이러한 특징은 두 집단 모두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미골의 상미골에 모양이 두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었는데 오직 만경강 집단에서만 확인되었다.

First record of th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ursiops aduncus, in Korean waters

  • Kim, Hyun-Woo;Choi, Seok-Gwan;Kim, Zang-Geun;An, Yong-Rock;Moon, Dae-Ye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4권3호
    • /
    • pp.213-219
    • /
    • 2010
  • Bottlenose dolphins (Tursiops sp.) commonly inhabit Korean waters, including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However, their taxonomic position was unclear because of the validity of this genus. The genus Tursiops has recently been determined to comprise two species: the common bottlenose dolphin (Tursiops truncatus) and the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 (Tursiops aduncus). To confirm the taxonomic position of bottlenose dolphins frequenting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the external morphology and osteology of specimens from Jeju Island were examined. Photographs of free-swimming individuals were also used for determining external morphological characters. The cranial and meristic measurements fell within the ranges of T. aduncus. Osteological ratios were also consistent with those of T. aduncus. The presence of a prominent ventral spot was observed among some individuals. As a result, the dolphins mainly distributed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were identified as Indo-Pacific bottlenose dolphins (T. aduncus) in terms of their cranial characters and ventral spotting. We propose a new Korean name, 'Nambang-keun-dol-go-rae'.

골다공증의 한약 치료 효과: 국내 및 국외 동물 실험 및 임상 연구 논문에 대한 문헌 고찰 (Effect of Herbal Medicine on Osteoporosis: A Review of Animal Experiment, Clinical Studies Published in Korea and Overseas)

  • 원지영;한다영;남수현;길봉훈;김동원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55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on animal model and patients with osteoporosis. Methods The databases in Korea and overseas were searched with term as osteoporosis, Chinese medicine, Korean medicine, herbal medicine. Among the results, we reviewed studies published in 2011 to 2020. 420 articles were primarily selected and after processing through flowchart, finally 72 studies were selected. Results Above 72 studies, 71 studies showed that the herbal medicine was effective on treating osteoporosis, using macroscopical, osteological, histological, hematological analysis and urinalysis. Conclusions Using herbal medicine for treating osteoporosis is effective in various pathways. But further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clarify its treatment mechanisms and effectiveness.

양식산 벤자리(Parapristipoma trilineatum) (농어목, 하스돔과) 자치어의 형태 및 골격발달 (Skeletal and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in Cultured Threeline Grunt Parapristipoma trilineatum (Perciformes: Haemulidae) from Korea)

  • 정시영;조정현;박진우;김진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53-168
    • /
    • 2024
  • Morphological and skeletal development in the cultured threeline grunt Parapristipoma trilineatum was studied from 1.96 to 61.39 mm notochord length (NL) or standard length (SL) specimens (n=360). After two days post-hatching (dph, 2.13 mm NL), the mouth opened, and melanophores formed in the eyes and egg yolk were absorbed. Oli globules were absorbed at 3 dph (2.71 mm NL). The total number of fin rays reached that of adults at 28 dph (10.58 mm SL). During skeletal development, the premaxillaray, dentary, opercle, preopercle, and cleithrum first began to ossify at 6 dph (3.51 mm NL). Ossification of all skeletal elements was completed at 28 dph (14.57 mm SL). The vertebrae began to ossify at 17 dph (5.63 mm SL) and were completed at 28 dph (8.48 mm SL), progressing from cranium to caudal bone. The centrum ossified from the dorsal to ventral direction. Vertebral fusion and separation were found to be common skeletal abnormalities.

한국산 연어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III 연어, oncorhynchus keta의 성별 형태 차이 (Morphological study of Oncorhynchus spp.(Pisces : Salmonidae) in Korea- III. Sexual dimorphism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 명정구;홍경표;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5-95
    • /
    • 1993
  • 1990년 성숙한 연어의 성별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성숙한 수컷은 연장되고 휘어진 턱을 가지고 있으며 턱 위에 강한 이빨을 가지고 있다. 두장에 대한 주둥이의 길이와 위턱은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반면 두장에 대한 안경과 뺨은 수컷이 암컷보다 작았다. 표준체장(PBL)에 대한 체고, 미병고, 등지느러미, 기름지느러미 길이는 모두 수컷이 컸다. 각 지느러미 줄기수, 새파수와 유문수의 수는 암수 차이가 없었으나 측선비늘수와 미추골수는 암컷이 수컷보다 많았다. 두개골 중 인설골과 서골의 형태는 암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상사골의 길이에 대한 폭의 비값은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부설골의 앞 뒤돌기 비값은 암컷이 수컷보다 컸다.

  • PDF

한국산 연어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II 초기 발육단계에 있어서의 연어, Oncorhynchus kita 의 골격 발달 (Morphological study of Oncorhynchus spp.(Pisces : Salmonidae) in Korea- II Osteological development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n alevin, fry and smolt stage)

  • 명정구;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8-84
    • /
    • 1993
  • 1989년, 1990년 12월 강원도 양양군 남대천에서 체포한 연어로부터 수정난을 받아 양양내수면연구소와 한국해양연구소 부화, 사육실에서 사육한 연어의 골격 발달과정을 조사하였다. 1. 부화직후 전장 1.95~2.13cm의 자어는 두부에 부설골, 주상악골, 치골, 주새개골의 일부가 골화되어 있다. 2. 자어의 골격중 섭이활동, 호흡에 관련된 턱, 아가미 등 내장골이 먼저 골화하며 대부분의 골격은 3~4cm에서 골화가 완료된다. 3. 턱니, 인두치, 서골치, 구개골위의 이빨은 전장 3~4cm에서 급격히 증가한다. 4. 꼬리지느러미는 부화직후 개체에 이미 17개의 줄기가 골화되어 있으며 지느러미 중에서 가장 빨리 완성된다.

  • PDF

Aceclofenac이 골격근 형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Aceclofenac on the Skeletal Muscle)

  • 송명수;김태열;윤희종;장기연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97-605
    • /
    • 2000
  • There has been several usual ways to cure pain in osteological muscle: use oral medicine or injection, or apply medicine to a sore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by using thermometer and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how much the permeation of aceclofenac, an anodyne and antiphlogistic, into sore skin brought a change to skin temperature after that was' applied to i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1. A cream made of aceclofenac yielded $0.61^{\circ}C$ difference in temperature, but the difference wa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An aceclofenac to which oleic acid was added went through microemulsion and applied, and there was $0.3^{\circ}C$ change in temperature, the biggest significant difference(P<.05), after approximately 15 minutes passed. 3. An aceclofenac to which labrasol was added went through microemulsion and applied, and there was a growing rise in temperature with the lapse of time. After 30 minutes passed, the final temperature showed $1.25^{\circ}C$ rise, which was a significant change(P<.05). 4. As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by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there was about $3.97^{\circ}C$ fall, the biggest change, which was significant(P<.05).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of aceclofenac to sore skin caused a change in skin temperature, as that permeated into 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