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manthus insulari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박달목서군락의 식생구조 및 토양특성 (Vegetation Structures and Soil Properties of Osmanthus insularis Community)

  • 이지혜;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61-72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 of Osmanthus insularis community, Geomundo. The Osmanthus insularis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subcommunities: Mallotus japonicus subcommunity, Ficus erecta subcommunity, Raphiolepis umbellata subcommunity. The importance value of Camellia japonica, Osmanthus insularis, Ligustrum japonicum, Litsea japonica Mallotus japonicus, Pinus thunbergii and Ficus erecta in Osmanthus insularis community were 76.11%, 75.91%, 37.24%, 21.99%, 18.35%, 17.64% and 11.91%,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DBH analysis. Osmanthus insularis showed formality distribution style among the entire community. Their dominance is expected to continue. But the young plant individual were low density, importance value reduced.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and soil pH were ranged from 19.11~24.62%, 0.73~1.18%, 11.61~27.98mg/kg and 6.11~6.37,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rvey Osmanthus insularis individual, the female plants individual were 57.90%, the male plants individual were 42.10%.

OJIP분석을 이용한 식물의 환경스트레스 지표의 검색

  • 오순자;고석찬
    • 한국환경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
    • /
    • pp.127-131
    • /
    • 2002
  • The OJIP transients were investigated from leaves of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Osmanthus insularis, Chloranthus glaber and Asplenium antiquum, in order to screen the indicators for quantification of environmental stresses and to apply them to the plant vitality test. The obvious diurnal changes or OJIP transients were found in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Osmanthus insularis growing in sunny habitats, showing lower Fp and higher Fo in day time. The values of SF $I_{no}$ and P $I_{NO}$ increased dramatically in day time in leaves of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Osmanthus insularis, and Asplenium antiquum. Although the value of RC/CS decreased slightly in day time in leaves of 4 tropica $l_tropical plants, the obvious diurnal changes or OJIP transients were not seen in winter, suggesting that tropica $l_tropical paints used in this research seemed to be irreversibly damaged in winter. However, the values of ETo/RC and Ψo/(1-Ψo) increased significantly in leaves of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indicating that ETO/RC and Ψo/(1-Ψo) were useful as indicator parameters for scensing of low temperature.ature.

  • PDF

아열대성 식물 4종의 엽록소형광과 항산화효소 활성의 일주기적 변화 (Diurnal Change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of the Leaves from Four Subtropical Plants)

  • 오순자;고창효;고석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33-640
    • /
    • 2007
  • The diurnal change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the leaves from four subtropical plant species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Bak., Osmanthus insularis Koidz., Asplenium antiquum Makino and Chloranthus glaber Makino) under the natural habitats in summer and winter. The intensity of chlorophyll fluorescence was lower in O-, I-, J-, P-steps of O-J-I-P transient in winter than summer, and prominent diurnal change was not found in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four subtropical plant species in winter. The activity and isoenzyme pattern of SOD and catalase did irregularly change seasonally and diurnally in four subtropical plant species. In contrast, the peroxidase activity and isoenzyme pattern was different depending on plant species and growth seasons; The activity increased slightly more in winter than in summer in four subtropical plant species, and several isoenzymes appeared in the leaves from C. asiaticum var japonicum, O. insularis and A. antiquum in winter.

희귀 식물 박달목서 유묘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대한 차광 효과 (Shading Effects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Osmanthus insularis Seedlings, a Rare Species)

  • 구다은;한심희;임은영;김진;구자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3권1호
    • /
    • pp.88-96
    • /
    • 202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희귀식물인 박달목서의 현지내·외 보존 및 복원을 위한 생육 환경 조성 시 적정 광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차광 처리구를 설치하여 전광 기준 100%, 55%, 20%, 10% 상대 광량 조건에서 4월부터 11월까지 생육 관리한 박달목서 유묘의 생장 특성, 잎 형태, 광합성 특성 및 광합성 색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고와 근원경의 상대 생장률은 광량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잎, 줄기 및 뿌리의 건중량 및 잎 수는 55% 상대 광량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잎의 형태는 광량이 높아질수록 엽면적이 작아지고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광포화점에서의 광합성 속도와 기공전도도를 비롯하여 순양자수율, 암호흡, 잎의 엽록소 a, b와 카로테노이드 함량 역시 55% 상대 광량에서 가장 높았다. 전광 조건에서 박달목서 유묘의 잎은 작고 두꺼워지는 형태적 적응이 나타났으나, 엽록소 함량은 가장 낮아 광합성 속도가 55% 상대 광량보다 떨어졌다. 10%, 20% 상대 광량에서는 광량이 적을수록 엽록소 a, b, 카로테노이드 함량이 감소하였고, 광합성 속도와 암호흡 속도가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박달목서 유묘는 광량에 따라 형태적인 적응 반응을 보였으나, 그늘에서 광합성 효율을 높이는 생리적인 반응은 뚜렷하지 않았다. 또한 생육에 가장 적절한 광조건은 전광의 55% 수준으로, 이 조건에서 광합성이 가장 활발하고 최종 산물인 건중량 생산이 최대로 나타났다. 따라서 박달목서는 현지외 보존을 위한 생육 환경 조성 시 광량이 전광의 55% 정도가 될 수 있도록 조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거도(전라남도)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Is. Gageo (Jeollanam-do))

  • 김중현;남기흠;김진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37-450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Is. Gageo (Jeollanam-do). The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13 times (from June 2008 to September 2011), and 465 taxa in total were identified, including 112 families, 301 genera, 402 species, 3 subspecies, 49 varieties, 9 forms and 2 hybrids. 171 taxa were first records for the region. Among them were seven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designated plants,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law, were identified as three taxa. There were 54 taxa of the flora with the levels III, IV, V in the floristic indicator plants which wa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29 taxa,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 index were found to be 6.2% and 9.0% respectively. There existed many kinds of plants resources having conservational value like $Loxogramme$ $salicifolia$, $Sarcandra$ $glabra$, $Osmanthus$ $insularis$, $Saussurea$ $polylepis$, $Carex$ $ligulata$ var. $austrokoreensis$, $Hosta$ $jonesii$, $Cyrtosia$ $septentrionalis$, etc., in this area. As therefore clear that appropriate plans to conserve the natural habitat of Is. Gageo must be made immediately.

아열대성 식물 4종의 항산화효소 활성과 Isoenzyme의 계절적.일주기적 변화 (Seasonal and Diurnal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s in Four Subtropical Plant Species)

  • 오순자;고석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년도 제9차 국제심포지움 및 추계정기학술발표회
    • /
    • pp.67-67
    • /
    • 2002
  • 아열대성 식물 4종 (문주란,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박달목서, Osmanthus insularis; 죽절초, Chloranthus glaber; 파초일엽, Asplenium antiquum)을 대상으로 자연 환경요인의 변화에 의한 항산화 효소 (superoxide dismutase, peroxidase, catalase, ascorbate peroxidase)의 활성과 isoenzyme 패턴의 변화를 전기영동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peroxidase의 활성과 isoenzyme 패턴이 식물종이나 환경조건에 따라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다. Peroxidase는 4종 모두에서 여름철보다 겨울철에 활성이 높았고 문주란, 박달목서, 파초일엽에서는 겨울철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isoenzyme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Catalase는 문주란, 박달목서, 파초일엽에서 검출되었다. 문주란 잎에서는 겨울철에 비해 여름철에 다소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박달목서와 파초일엽에서는 겨울철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문주란과 박달목서에서는 겨울철에 새벽이나 밤보다 낮시간에 높은 활성을 보였는데 파초일엽에서는 낮시간의 catalase 활성이 낮았다. Superoxide dismutase는 문주란, 박달목서, 파초일엽에서 검출되었으며, 특히 박달목서에서는 겨울철에 높은 활성을 보였다. Ascorbate peroxidase는 문주란과 파초일엽에서 관찰되었으나 계절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겨울철에는 isoenzyme 패턴의 일주기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 종별로는 문주란, 파초일엽에서 4종의 항산화효소가 모두 검출되었고, 박달목서에서는 ascorbate peroxidase가, 죽절초에서는 peroxidase를 제외한 모든 항산화 효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식물종에 따라 또는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항산화효소의 활성 또는 isoenzyme 패턴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항산화효소의 계절적 그리고 일주기적 변화가 관찰되어, 본 연구에서 조사된 4종의 아열대성 식물이 자연환경 조건 하에서도 산화적 스트레스에 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저온스트레스 지표 선발을 위한 아열대성 식물 4종의 O-J-I-P곡선 분석 (Analysis of O-J-I-P Transients from Four Subtropical Plant Species for Screening of Stress Indicators under Low Temperature)

  • 오순자;고성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9-395
    • /
    • 2005
  • The changes of O-J-I-P transients were investigated using leaves of four subtropical plant species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Osmanthus insularis, Chloranthus glaber and Asplenium antiquum) under the natural conditions in winter, in order to select the stress indicators for diagnosing physiological states of plants under low temperature. In the O-J-I-P transients of these species,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O-step and lower in P-step in winter than in summer. Particularly,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P-step in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was lower than those of other three plant species, indicating that Crinum asiaticum var. japonicum is the most sensitive to low temperature. Of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parameters derived from O-J-I-P transients of four subtropical plants, Fm, Fv/Fo, ABS/CS, TRo/CS, $\phi_{po}$ and $\phi_{po}/(1-\phi_{po})$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Fo, Sm, N, EToICS, ETo/RC and $\psi_o/(1-\psi_o)$ depending on temperature drop in winter. Therefore, these parameters could be used as indicators for estimating low temperature stress and diagnosing physiological states of plants under the natural conditions in winter.

천연물로부터 히알루로니다아제 저해제 검색 (Screening of Hyaluronidase Inhibitor in Korean Medicinal Plants)

  • 황선구;양안나;김수정;김민기;김성수;오현정;이정대;이은주;남궁우;한만덕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98-504
    • /
    • 2014
  • HAase는 신체의 연골, 피부, 눈의 초자체 등에 포함된 고분자 다당류의 HA를 분해하는 효소로서 상처나 염증질환 시 활성화되어 염증, 알레르기 유발과 관련된 효소이다. 본 연구는 500종 식물에서 각 종당 한 식물체로부터 한 천연물의 메탄올 추출물(500추출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기능이 다양하고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많은 HAase 저해제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 HAase 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한 천연물 추출물은 때죽나무 줄기 추출물 57.28%, 매화말발도리 줄기 추출물 53.5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같은 추출물들의 농도 별 저해효과를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율이 증가하였다. 이 같은 결과로 볼 때 때죽나무, 매화말발도리 추출물은 HAase 효소의 저해효과가 우수하여 향후 HA 분해와 관련된 항염증 및 항 알레르기 연구에 이용될 수 있다.

전남 가거도의 식물상 (Flora of Island Gageo in Jellonamdo, Korea)

  • 윤경원;황용;소순구;김무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9-155
    • /
    • 2012
  • 가거도는 전남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한국의 최서남단에 위치한 섬이다. 가거도의 관속식물은 93과 246속 289종 7아종 36변종 9품종으로 총 34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열매가 노란색인 참식나무의 새로운 품종이 발견되어 노랑참식나무 $Neolitsea$ $sericea$ (Bl.) Koidz. for. $koreana$ M. Kim 라고 명명하였다. 가거도의 특산식물은 흑산도비비추, 처진물봉선, 새끼노루귀, 개족도리풀 등 8종이 발견되었으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박달목서와 으름난초 등 3종이 발견되었다. 식물지리학적으로 흥미있는 종은 푸른가막살, 가거꼬리고사리, 가거애기닥나무 등 9종이다. 귀화식물은 11종이며 귀화율은 3.2%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