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treatment satisfaction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초

임상가를 위한 특집 4 - 턱교정수술에서 선수술접근 :적응증과 한계 (Surgery First Approach in Orthognathic Surgery : Indication and limitation)

  • 황대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0권11호
    • /
    • pp.682-688
    • /
    • 2012
  • Surgery first approach in orthognathic surgery is to proceed the orthognathic surgery without pre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 This approach has many advantages, which include a shorter total treatment period, a high level of patient satisfaction due to immediate post-surgical facial improvement, easy post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 due to early normalization of skeletal muscle, and the rapid tooth movement reflecting the regional accelerated phenomenon. However instability due to transient occlusal interference after surgery make worse of long-term skeletal stability. Especially increasing of vertical occlusion caused by interference of interbicupid and molar happen postsurgical skeletal change. Until now, there is no common consensus about treatment protocol of surgery first approach in orthognathic surge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our treatment protocol of the surgery first approach and to evaluate indication and limitation with case analysis.

상악골, 하악골 및 이부의 외과적 동시 이동술 (SIMULTANEOUS SURGICAL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MANDIBLE, AND CHIN)

  • 이재휘;이호준;황병남;이정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8권2호
    • /
    • pp.184-199
    • /
    • 1996
  • The challenges to achieve three dimensional facial proportionality and occusal stability in many patients with complex dentofacial deformity have been met by the development and use of the maxilla, mandible, and chin surgery techniques in combination with efficient orthodontic treatment. There is a clinical, biological, and biomechanical foundation for simultaneous surgical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mandible, and chin in a significant proportion of adult and adolescent patients. A combination of the surgical and orthodontic approach may provide increased treatment efficiencies and optimal esthetic results. Art and science to determine the treatment objectives, specifically, the desired soft tissue changes are firstly established by using the clinician's "esthetic sense" of the facial beauty and proportion aided to a few cephalometric guidelines. In this sense, the dependence on the clinician's "esthetic eye" by Dr. Bell is more important in analyzing the facial proportion than the satisfaction of rigid cephalometric nor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lucidate the indication for simultaneous surgical repositioning of the maxilla, mandible, and chin, and to describe the clinical cephalometric analysis for orthognathic surgery. Representative 6 case reports were presented and discussed to illustrate the esthetic, orthodontic, and surgical treatment objectives with long-term follow-up.

  • PDF

Facial and occlusal esthetic improvements of an adult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surgical, orthodontic, and implant treatment

  • de Almeida Cardoso, Mauricio;de Molon, Rafael Scaf;de Avila, Erica Dorigatti;Guedes, Fabio Pinto;Filho, Valter Antonio Ban Battilani;Filho, Leopoldino Capelozza;Correa, Marcio Aurelio;Filho, Hugo Nary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2-54
    • /
    • 2016
  • The aim of this clinical report is to describe the complex treatment of an adult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 who was disappointed with the outcome of a previous oral rehabilitation. Interdisciplinary treatment planning was performed with a primary indication for implant removal because of marginal bone loss and gingival recession, followed by orthodontic and surgical procedures to correct the esthetics and skeletal malocclusion. The comprehensive treatment approach included: (1) implant removal in the area of the central incisors; (2) combined orthodontic decompensation with mesial displacement and forced extrusion of the lateral incisors; (3) extraction of the lateral incisors and placement of new implants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incisors, which received provisional crowns; (4) orthognathic surgery for maxillary advancement to improve occlusal and facial relationships; and finally, (5) orthodontic refinement followed by definitive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d reshaping of the adjacent teeth. At the three-year follow-up, clin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s showed successful replacement of the central incisors and improved skeletal and esthetic appearances. Moreover, a Class II molar relationship was obtained with an ideal overbite, overjet, and intercuspation. In conclusion, we report the successful esthetic anterior rehabilitation of a complex case in which interdisciplinary treatment planning improved facial harmony, provided gingival architecture with sufficient width and thickness, and improved smile esthetics, resulting in enhanced patient comfort and satisfaction. This clinical case report might be useful to improve facial esthetics and occlusion in patients with dentoalveolar and skeletal defects.

성인의 치과보험지식 및 구강건강지식이 치과건강보험인식만족도에 융합적으로 미치는 영향 (Convergence effect of dental insurance knowledge and oral health knowledge of adults on dental health insurance recognition satisfaction)

  • 윤성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19-12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성인의 치과보험지식과 구강건강지식이 치과보험인식만족도에 미치는 융합적 관계를 보고자 함이다. SPSS WIN 18.0로 분석해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p<.05). 치과건강보험인식만족도 '치과치료에 적용되는 진료과목의 수는 확대시킬 필요성이 있다'가 높았으며 '치과보험이 적용되는 치과치료 진료비에 만족한다'가 낮았다. 치과보험유무지식은 치아미백, 교정치료, 구강건강지식은 '섭취하는 음식이 치아에 영향을 미친다.' 높았다. 치과 건강보험인식만족도는 민간치과보험을 가입한 경우 높았다. 치과건강보험인식만족도는 치과건강보험지식과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총괄적으로 치과건강보험 인식 만족를 높이기 위해서는 치과보험지식과 구강건강지식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치열 교정환자의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Satisfaction with Dental Care in Orthodontic Patients)

  • 김정숙;유미선;주온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7-212
    • /
    • 2006
  • 사회, 경제적으로 발전하면서 환자들이 치과를 내원하는 동기가 다양해졌다. 부정교합으로 인한 안모의 개선과 저작 기능을 개선하고자 치과를 찾는 인구가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교정치료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더불어 수요도 증가하고 있어서 교정환자들의 치과 의료서비스의 만족도를 측정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의료 환경변화에 대한 치과경영대책 차원에서 치과 의료기관의 수익성과 의료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2005년 3월 7일부터 3월 26일까지 20일간 편의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구성요인별로 비교한 결과 교정환자에서 치위생사요인 (4.21)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진료절차 및 대기시간요인(3.73)이 가장 낮았다. 2. 성별에 따른 교정환자와 비교정환자의 치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교정환자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재이용의사에서는 교정환자의 남녀 모두가 비교정 환자보다 만족도가 높았다. 3. 연령에 따른 교정환자와 비교정환자의 치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재이용의사에서 교정환자의 모든 연령층이 만족도가 높았다. 4. 월수입에 따른 교정환자와 비교정환자의 치과 의료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교정환자가 치위생사요인과 재이용의사에서 고소득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5. 학력에 따른 교정환자와 비교정환자의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를 살펴보면 치과의사 요인, 치위생사요인, 내부 환경요인, 외부환경요인에서 초등학교졸업환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교정환자에서 비교정환자보다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등학생의 치과병원 결정요인과 의료서비스 만족도 관련 연구 (A Study on Determinants of Dental Clinic and Satisfaction of Dental Service in High School Students)

  • 백혜진;김유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666-673
    • /
    • 2020
  • 의료시장 개방 등으로 의료시장이 확대되면서 일반 병원 뿐만 아니라 치과 병·의원에서도 고객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치과병원 결정요인과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관해 조사하고자 2019년 9월부터 10월 사이 편의표본추출 방법으로 일부지역 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르면, 스케일링 경험, 교정 치료, 학교 생활에 대한 만족도, 주관적인 구강 건강 상태가 치과 병원의 만족도와 관련성이 있었다. 직원 서비스 만족도가 가장 중요한 병원결정요인이었고, 병원 결정 요인 중 시설, 타인의 추천, 사용 절차, 서비스 적절성, 직원 서비스 만족도가 의료 서비스 만족도와 유의 한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치과 병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관적인 구강 건강이 음의 관련성, 이용 절차와 직원 서비스 만족도는 양의 관련성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일부 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도출된 결과이기에 일반화 할 수는 없겠지만 서비스 경쟁력을 높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병원선택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부정교합 모델을 적용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 대한 인식조사 (Perception Survey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with Malocclusion Models)

  • 김보람;류지헌;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02-31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정교합 모델을 적용한 프로토타입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치과 전공의와 치과대학생 간의 수행 결과 및 만족도 설문 비교를 통해 VR 시뮬레이션의 치의학 교육에의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참가자들은 가상 부정교합 모델을 관찰한 후 부정교합의 유형을 진단하고, 가상 부정교합 모델에 나타나는 임상 소견과 적절한 치료계획을 결정하는 세 가지 과제를 수행하였고, 총 5문항으로 구성된 만족도에 관한 설문을 작성하였다. 전공의 집단의 부정교합 평가에 관한 수행능력은 학생 집단과 비교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 < 0.01), 두 집단 모두에서 첫 번째 증례를 수행하는 시간보다 두 번째 증례를 수행하는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1). 만족도 설문에서는 모든 문항에 대해 보통 이상의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추후 VR 시뮬레이션의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가치 있는 교육 도구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피하결합조직 이식을 동반한 측방변위 판막술을 통한 의원성 치은퇴축 치료 증례보고 (Laterally positioned flap using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 for iatrogenic gingival recession treatment)

  • 이성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4호
    • /
    • pp.330-337
    • /
    • 2016
  • 치은퇴축의 원인 중 하나인 의원성 치은퇴축은 교정치료 또는 근관치료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기능적, 심미적 문제뿐만 아니라 치료에 대한 만족도도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한 치료 방법으로 다양한 술식이 존재하나, 상피하결합조직 이식을 동반한 측방변위판막술은 각화치은량의 증대, 치유된 치은의 수여부 연조직과의 조화로운 형태 및 색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술 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한 예지성 있는 적절한 증례 선택을 필요로 하며 술식에 있어 적합한 양의 상피하결합조직 획득과 판막의 피개량을 고려해야 한다. 본 증례보고의 두 가지 다른 원인의 의원성 치은퇴축의 치료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상피하결합조직 이식을 동반한 측방변위판막술은 의원성 치은퇴축의 치료법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1년 이상의 추적관찰시 높은 예지성을 보였다.

MMPI를 이용한 악교정 수술환자의 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through the MMPI.)

  • 박우경;박재억;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41-750
    • /
    • 1998
  • 이 연구에서는 악교정 수술환자의 술전, 술후 인성의 특성 및 술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객관적인 인성검사의 한가지인 MMPI를 이용하였다. 악교정 수술환자들의 수술동기와 술후 만족도는 질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술전교정 중인 환자50명과 악교정 수술을 받은 환자 22명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술전 환자군에서 K척도를 제외한 모든 T-scores는 정상적인 범주에 놓여 있었다. K척도값은 57.7이었으며 이것은 이 환자들이 다소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2. 술후 환자군은 모든 척도에서 정상범주에 놓여 있었다. 3. 술전, 술후 환자군을 비교했을 때, 단지 K-score만이 수술 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p<0.05) 4. 남성환자는 술전 K 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정상적이었으며, 술후에 K, Hs 척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p<0.05) 5. 여성환자는 모든 T-score가 정상적인 범주에 놓여 있었다. 6. 수술동기는 크게 심미적, 기능적, 악관절문제, 정신사회학적 동기로 나눌 수 있었으며, 각각 28.2, 32.1, 9.0, $30.7\%$였다. 7. 수술 후 수술 동기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만족하는 환자가 전체의 $14.3\%$, 만족하는 환자가 $71.4\%$, 그저 그렇다고 답한 환자가 $9.5\%$였으며, 매우 불만족스러움을 답한 환자가 $4.8\%$였다.

  • PDF

하악전돌증 환자의 수술후 안모길이 및 폭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ost-operative changes in facial height and width of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 김은주;문철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67-375
    • /
    • 2000
  • 하악전돌증(mandibular prognathism or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 환자의 경우 전후방과 수직적 악골(maxilla)의 부조화정도가 심하거나 안면측모(facial profile)에 대한 심미적 인식도가 클 때에는 교정치료만으로는 심미적으로 만족한 결과를 얻기가 어려우므로 악교정수술(orthognathc surgery)과 병행되어야만 한다. 이럴 경우 심미적인 개선은 환자의 치료결과에 대한 만족도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지만 미에 대한 기준을 객관화하는데는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어 그 평가도 환자자신의 주관적인 관점에 의하여 내려지게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얼굴심미에 대한 기준이 서구인의 외형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전통적인 둥그런 얼굴보다는 달걀형의 갸름한 얼굴모양을 선호한다. 이 연구는 하악전돌증으로 인한 악교정수술결과 술후 얼굴폭이 넓어져 수술전보다 얼굴의 모양이 둥그렇게 되었다고 호소하는 환자가 있어 시도하게 되었다. 악교정수술전후의 안모길이 및 폭경의 변화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하악전돌증을 주소로 악교정수술을 받은 총 14명 환자(남자 8명, 여자 6명)의 정모두부방사선사진 계측(skull PA analysis)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술후의 안모변화 및 환자의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4명의 환자중 3명($21.4\%$)이 얼굴이 넓어졌다고 답하였다. 2. 악교정수술(orthognathic surgery)후 하악골폭경 (mandibular width)은 A군은 변화가 없었으며, B군은 0.7mm 감소하였고, 안면폭경 (zygomatic width)은 A군에서는 0.45mm, B군에서는 0.66mm의 증가를 보였다. 3. 악교정수술후 얼굴길이의 변화는 A군에서는 상안면 고경(upper facial height)이 0.52mm증가, 하안면고경(lower facial height)이 1.19mm감소, 하악골 고경(mandibular height)이 0.7mm감소하였으며, B군에서는 상안면 고경이 0.67mm 감소, 하안면고경이 3.66mm 감소, 하악골 고경이 5mn감소하였다. 4. 수술후 안면폭경에 대한 안면고경(facial height)의 비율은 A군에서 $1.5\%$, B군에서 ,$3.6\%$ 감소하였다. 5. 수술후 안면폭경에 대한 하악골 길이(mandibular height)의 비율은 A군에선 $1.3\%$, B군에서 $4.4\%$ 감소하였다. 6. 수술후 하악골폭경에 대한 하악골 길이(mandibular height)의 비율은 A군에서 $1.3\%$, B군에서 $4.3\%$ 감소하였다. 7. 수술로 인한 얼굴폭의 변화는 무시할만한 것으로 판단되나 수술후 얼굴의 길이가 짧아져 상대적으로 얼굴의 폭이 넓어보일 수 있으므로 수술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 및 환자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