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iented Strand Board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 of Wood Material Type on Biocide Retention and Distribution Using Supercritical Fluid Impregnation

  • Kang, Sung-Mo;Jung, Doo-Jin;Koo, Ja-Oon;Morrell, J.J.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5호통권133호
    • /
    • pp.50-56
    • /
    • 2005
  • The effect of wood material type on biocide retention and distribution during supercritical fluid impregnation was assessed using three different wood types including solid wood, plywood and oriented strand board (OSB). The result revealed that biocide treatability differed with structural composition and permeability of the various materials. Low treatability of plywood might be attributed to interferences of glue line limiting fluid movement. OSB samples showed higher biocide retentions, resulting from the presence of interconnecting gaps permitting more open flow.

Hygroscopic Property of Heat Treated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Wood

  • CHANG, Yoon-Seong;HAN, Yeonjung;EOM, Chang-Deuk;CHUN, Sangjin;YEO, Hwanmyeo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761-769
    • /
    • 2019
  • In modern societies, people spend most of their time indoors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d by electrical appliances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their emotions and health. However, improper operation of the artificial facilities frequently creates substances that are harmful to our body. The importance of controlling the natural humidity of interior materials has therefore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This study was aimed at quantifying the hygroscopic property of some interior finishing wooden materials. Dried and heat-treated yellow poplar (Liriodendron tulipifera) lumbers, oriented strand board, and plywood were selected for this experiment. The moisture adsorption and desorption rates of wooden materials were measured (ISO 24353). Furthermore, the effects of morphological, physical and chemical factors, such as surface microstructure, roughness, and functional groups, on the hygroscopicity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uld contribute to improved accuracy of hygroscopic-property assessments performed on wooden interior materials.

경량합성벽체의 전단성능 및 압축내력 평가 (Evaluations of Shear performanc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hybrid panel)

  • 이동혁;이상섭;배규웅;문태섭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1호통권74호
    • /
    • pp.33-43
    • /
    • 2005
  • 본 논문은 스틸스터드로 구성된 골조에 경량기포모르터를 타설 양생하여 제작한 경량합성벽체의 반복가력 전단실험에 의한 에너지 소산능력과 압축내력 실험을 통한 압축성능의 평가에 대한 연구이다. 경량기포모르터의 유무, 경량기포모르터의 비중(0.6, 0.8, 1.0, 1.2), 마감재(경량기포모르터, OSB, 석고보드) 및 브레이스의 유무, 벽체의 단위(1단위-$900mm{\times}2,400mm$, 2단위-$1,800mm{\times}2,400mm$)를 변수로 하여 실시하였던 경량합성벽체의 전단내력 평가 실험 가운데 반복 실험 결과를 동일 조건의 단조 실험과 비교하였다. 또한 기존 스틸하우스벽체와 경량합성벽체의 압축내력도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반복가력 실험결과, 단조가력 실험체의 거동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벽체에 채운 경량기포모르터의 비중에 따른 차이라고 생각된다. 압축내력 실험결과, 기존형 실험체에 비하여 경량기포모르터를 타설한 실험체의 최대내력은 2~2.5배, 초기강성은 2~3배 정도 증가하였다.

경량합성 패널의 압축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Evaluations of Compressive Performance of Light-Weight Hybrid Wall Panel)

  • 이상섭;박금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455-462
    • /
    • 2007
  • 본 논문은 스틸스터드로 구성된 골조에 경량기포 모르터를 충전하여 제작한 경량합성벽체의 압축 실험을 통한 압축 성능의 평가에 대한 연구이다. 경량기포 모르터의 비중(80, 120), 마감재(경량기포 모르터, OSB, 석고보드) 및 패널의 고정 방식을 변수로 하여 실험체를 제작 실험하였다. 선행 연구결과와 고정부를 개선시킨 경량합성 벽체의 압축성능에 대해 실험을 통해 조사한 결과, 상세개선으로 인한 경량합성패널의 압축 최대하중은 1.07배, 초기강성은 24배 이상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 비중과 마감재가 동일한 실험체의 경우에는 최대하중은 2.7배, 초기강성은 15배 이상 압축으로 인한 성능이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국내설계기준에 의해 계산한 최대하중값과 실험값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한-EU FTA에 대비한 임산물 경쟁력 분석 (Competitiveness Analysis of Forest Products for the Korea-EU FTA)

  • 이상민;장철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231-241
    • /
    • 2009
  • 한-EU FTA 체결에 따른 수입 시장의 품목별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무역특화지수, 수입시장점유율과 단가지수, MCA지수 등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단기소득임산물 가운데에는 크게 우려할 만한 품목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목재류의 경우 활엽수합판, 성형판(침엽수류), 고밀도화목재, 목모와 목분, 합판(기타), 파티클보드(기타), 기타섬유판, 배향성스트랜드보드(기타), 파티클보드(전체기타), 파티클보드(기타 미가공목재), 조립식 건축물(목재의 것), 목질재기타섬유판(밀도 0.5~0.8), 목제의 그림틀 사진틀, 기목세공과 상감세공 등의 품목은 FTA 체결에 따라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수출품의 경우 단기소득임산물은 모두 시장 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재류의 경우에도 목초액만 MCA 지수 및 TSI 지수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나마 수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력을 판단할 수준이 못된다고 할 수 있다.

목재와 목질보드 복합적층재의 휨강도성능 (Static Bending Strength Performances of Hybrid Laminated Woods Composed of Wood-Wood Based Boards)

  • 박한민;문성재;최윤은;박정환;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6호
    • /
    • pp.546-555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목재의 효율적인 이용의 일환으로 스프루스 직교형적층재의 중층을 중밀도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PB) 및 배향성스트랜드보드(oriented strand board, OSB)의 3종류의 시판용 목질보드를 복합적층한 3층 목질계 복합적층재(패널)를 제작하여, 중층목질재료라미나의 구성엘리멘트가 복합적층재(패널)의 휨 강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질계 복합적층재의 휨 탄성계수는 중층에 배향성스트랜드보드(OSB)를 배열한 복합적층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중밀도섬유판(MDF)을 중층에 배열한 복합적층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중층에 섬유직각방향라미나를 배열한 다양한 종류의 직교형적층재 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층이 스프루스 섬유직각방향으로 된 복합적층재의 휨 탄성계수 예측치는 실측치와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으나, 표층이 스프루스 섬유방향으로 된 복합적층재의 휨 탄성계수 예측치는 실측치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복합적층재의 휨 강도는 배향성스트랜드보드(OSB)를 중층에 배열한 타입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파티클보드(PB)를 중층에 배열한 타입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어 휨 탄성계수와 약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복합적층에 의해, 복합적층재의 휨강도 성능의 이방성은 스프루스소재의 그것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보드상호간의 강도성능의 차이도 현저히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현장조립용 OSB 덧댐판 트러스의 강도 및 활용방안 (The Strength and Applications of OSB Gusset Trusses for Field Assembly)

  • 김태우;하빈;장상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708-713
    • /
    • 2014
  • 트러스는 북미 지역이나 호주, 뉴질랜드 등 목조주택이 일반화된 지역에 주택을 시공함에 있어 주로 사용되는 구조부재로써, 공장에서 제작되며 현장에서 제작하기는 힘들다. 반면에, 목조주택규모가 작은 국내에서는 제작비, 운반비, 경험부족 등을 이유로 트러스의 사용이 매우 제한적이며 대부분의 현장에서 서까래 공법으로 시공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제 트러스 플레이트가 아닌 현장에 버려지는 OSB를 덧댐판(gusset)으로 사용하여 현장에서 간단하게 제작이 가능한 형태의 경사트러스와 수평트러스를 제작해 보고 그 휨강도를 측정해 봄으로써 소규모 단독주택이 대부분인 목조주택 현장에서 사용가능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경사트러스의 허용하중을 실제하중과 비교하였을 때, 지간거리 6 m에서 지붕경사트러스의 허용하중 및 실제하중은 10.60 kN 및 5.26 kN로 나타내어 사용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지간거리 6 m의 수평트러스를 바닥장선으로 사용할 경우, 허용하중 및 실제하중은 7.18 kN 및 7.43 kN로 나타나 허용하중이 약간 낮기는 하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으므로 구조보강 및 부재의 변경 등을 통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재와 목질보드 복합적층재의 휨 크리프 성능 (Bending Creep Performances of Hybrid Laminated Woods Composed of Wood-Wood Based Boards)

  • 박한민;강동현;최윤은;안상열;류현수;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1호
    • /
    • pp.1-10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목재의 효율적인 이용의 일환으로 스프루스 직교형적층재의 중층을 중밀도섬유판(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PB) 및 오에스비(oriented strand board, OSB)의 3종류의 시판용 목질보드를 복합적층한 3층 목질계 복합적층재(패널)를 제작하여, 중층 목질보드라미나의 구성엘리멘트가 복합적층재의 휨 크리프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복합적층재의 휨 크리프곡선은 우측상변이 급증하는 지수함수 그래프를 나타내었고, 각 복합적층재의 중층 목질보드라미나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복합적층재의 크리프변형은 표층섬유직각방향($C_{\perp}$ 타입)에서는 중층에 PB, MDF, OSB를 배열한 $C_{\perp}$(P)타입 > $C_{\perp}$(M)타입 > $C_{\perp}$(O)타입의 순으로, OSB를 중층에 배열한 타입의 크리프변형이 MDF나 PB를 중층에 배열한 것의 2배 이상 적은 것이 확인되었고, 복합적층에 의해 스프루스 섬유직각방향의 크리프변형의 현저한 감소가 나타났다. 한편, 표층섬유방향($C_{\parallel}$ 타입)의 크리프변형은 중층에 PB, OSB, MDF를 삽입한 $C_{\parallel}$(P)타입 > $C_{\parallel}$(O)타입 > $C_{\parallel}$(M)의 순이었으나, 복합적층에 의해 적층재상호간의 비는 현저히 감소하였고, 중층에 PB와 OSB를 배열한 복합적층재의 크리프변형의 차이는 매우 적은 것이 확인 되었다. 이 값은 목질보드의 크리프변형보다는 0.108~0.464배의 적은 크리프변형을 나타내어 복합적층에 의해 목질보드의 크리프변형의 현저한감소가 나타났다. 복합적층재의 표층섬유방향에 대한 표층섬유직각방향의 크리프이방성은 초기변형보다 크리프변형이 현저히 컸지만, 스프루스 평행형적층재의 크리프이방성보다는 현저히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