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etitiveness Analysis of Forest Products for the Korea-EU FTA

한-EU FTA에 대비한 임산물 경쟁력 분석

  • 이상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실) ;
  • 장철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실)
  • Received : 2008.07.17
  • Accepted : 2009.04.14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rade specialization index, import market share, unit value index, market comparative advantage index have been applied to compare the competitiveness of forest products in Korean and European markets for the case of Korea-EU FTA. The results say that no items of non-timber products would show a surge of imports as a result of FTA. Timber products, however, such as non-coniferous plywood, continuously shaped wood (non-coniferous), densified wood, wood wool and flour, other (plywood), other (particle board, 441039)), other (fiberboard), oriented strand board (other), other (particle board, 441090), other (particle board, 441031), Prefabricated buildings of wood, fibreboard (of a density exceeding $0.5g/cm^3$ but not exceeding $0.8g/cm^3$), wooden frames (for paintings, photographs, mirrors or similar objects) and wood marquetry and inlaid wood are expected to increase of their imports by eliminating tariffs. For Korean exports no items of non-timber products have competitiveness in European market. For Korean pyroligneous liquid, which is the only competitive timber product in EU market in terms of MCA and TSI, it is difficult to decide whether it has competitiveness, since the actual exports have taken place occasionally during a period of last five years.

한-EU FTA 체결에 따른 수입 시장의 품목별 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무역특화지수, 수입시장점유율과 단가지수, MCA지수 등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단기소득임산물 가운데에는 크게 우려할 만한 품목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목재류의 경우 활엽수합판, 성형판(침엽수류), 고밀도화목재, 목모와 목분, 합판(기타), 파티클보드(기타), 기타섬유판, 배향성스트랜드보드(기타), 파티클보드(전체기타), 파티클보드(기타 미가공목재), 조립식 건축물(목재의 것), 목질재기타섬유판(밀도 0.5~0.8), 목제의 그림틀 사진틀, 기목세공과 상감세공 등의 품목은 FTA 체결에 따라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수출품의 경우 단기소득임산물은 모두 시장 경쟁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재류의 경우에도 목초액만 MCA 지수 및 TSI 지수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나마 수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경쟁력을 판단할 수준이 못된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두. 2006. 한.중.일 FTA의 수산 부문 효과와 대응 방안.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서울. pp. 128
  2. 어명근, 장철수, 이 광. 2004. 한.일 FTA 체결과 임업 부문의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울. pp. 146
  3. 이상민, 장철수. 2006. 한-미, 한-캐나다 등 FTA협상에따른 대응방안 연구: 임업 부문 영향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서울. pp 104
  4. 장우환, 김주수, 이한성, 권용덕, 이현지, 성동현, 닝닝따음. 2005. DDA/FTA 협상에 따른 임업피해액 산정 및 국내지원 대책 연구. 산림청. 대전. pp 202
  5. 한국무역협회. http//www.kita.net
  6. The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USTR). 2007. 2007 National Trade Estimate Report on Foreign Trade Barriers. http://www.ustr.gov/Document_Library/Reports_Publications/ 2007/2007_NTE_Report/Section_Index.html (2007.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