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ochlorine pesticide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6초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잔류 유기염소제 농약들의 동시 분석에 관한 연구 (제2보). GLC에 의한 농약의 정량 (Studies on the Simultaneous Analysis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by Gas-Liquid Chromatography (II). Determination of Pesticides by GLC)

  • 김택제;박송자;김영상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03-509
    • /
    • 1985
  • 농산물에 잔류되어 있는 16종의 유기염소제 농약들을 추출하여 cleanup한 것을 기체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분리, 정량하였다. 5% QF-1 정지상의 분리관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3% OV-17관과 DC-200/2.5% QF-1 혼합관을 보조적으로 사용하였다. $^{63}Ni$ electron capture detector를 사용하여 각 농약 성분을 검출하였다. 대부분의 농약에 대한 감응곡선은 직선성을 나타냈고 일부는 약간 휘었으나 정량에는 별 지장을 주지 않았다. 16종의 농약을 13종의 농산물에 가하여 분석한 결과 대부분은 85% 이상의 평균회수율을 보였으며 각 5회 분석결과에 대한 상대평균편차는 12.1% 이하로서 AOAC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하였다.

  • PDF

한국인의 지방조직에서 검출되는 유기염소제 농약의 에스트로겐 활성 (Estrogenic Potentials of Organochlorine Pesticides which Detected in Korean Adipose Tissue)

  • 오승민;김미영;이희성;이도한;이상기;정규혁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9권2호
    • /
    • pp.207-216
    • /
    • 2004
  • 유기염소계 농약은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지용성이 크며 체내 대사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서 인체 및 생태계의 생물체 중 축적성이 매우 크다. 또한 대부분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분류되어 있어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유기염소계 농약은 잔류성으로 인하여 사용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체에서 검출되고 있으며 한국인의 지방조직을 분석한 결과 9종의 유기염소계 농약이 주로 축적되어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유기염소계 농약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MCF-7 BUS cell을 이용한 E-screen assay competitive binding assay 및 pS$_2$ gene experession assay에 의해 조사하였다. o,p'-DDT,p, p'-DDT,p,p'-DDD,p,p'-DDE등 4종의 유기염소계 농약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대한 ligand의존적인 작용기전에 의해 에스트로겐 활성을 가지며, $\alpha$-, $\beta$-, ${\gamma}$-, $\delta$-BHC, dieldrin등 5종의 유기염소계 농약은 lingand-비의존적 작용기전에 의해 에스트로겐 활성을 보였다. 또한 이들 유기염소계 농약을 혼합 투여하여 에스트로겐 활성을 관찰한 결과 DDT류의 경우에는 단독투여시 보다 그 대사체와 혼합 투여할 때 에스트로겐 활성에 상승적 효과가 나타났으며 o,p'-와 p,p'-DDT의 두 이성질체를 혼합 투여할 경우가 단독 투여시 보다 상승적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지방조직에서 검출되는 유기염소계농약은 상호작용에 의해 개별 물질이 나타내는 내분비계장애작용 보다 실제로는 강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추정되었다.

국내에 사용되어 금지된 유기염소계 농약류의 다중분석법과 모니터링 (Development of Multi-residue Analysis and Monitoring of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 Used Organochlorine Pesticides in Korea)

  • 임성진;오영탁;양지연;노진호;최근형;류송희;문병철;박병준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9-32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참외, 풋고추 및 상추 시설재배지 토양 및 작물 중 스톡홀름협약에서 대부분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로 지정된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의 잔류량을 조사하였다. 토양 및 작물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 분석을 위한 추출 및 정제는 QuEChERS 방법을 다소 개선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시설재배지 토양, 참외, 풋고추 및 상추 중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의 회수율은 각각 78.2-110.6, 85.2-94.2, 78.3-92.4 및 73.3-92.6% 이었으며, 토양과 3개 작물에서의 검출한계는 각각 0.01-0.08과 $0.11-0.17{\mu}g/kg$ 수준이었고, 상대표준편차는 토양 및 3개 작물에서 각각 1.0-4.1, 1.9-3.9, 2.8-4.8 및 2.5-5.8%로 20% 미만으로 적합한 범위이었다. 참외, 풋고추 및 상추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dieldirn, ${\beta}-endosulfan$ 및 endosulfan sulfate 3 성분이 각각 1.4-72.5, 0.1-78.7 및 $0.0-214.1{\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나 참외, 풋고추 및 참외의 모든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참외, 풋고추 및 상추 시설재배지 토양이 농산물 안전성을 위협할 정도로 잔류성유기염소계 농약으로 오염되지 않았음을 나타냈다.

연안(沿岸) 패류(貝類) 서식지(棲息地) 저니토중(底泥土中)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평가(殘留評價) (Evaluation of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the Mud Flat)

  • 서용택;임건재;심재한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18
    • /
    • 1986
  • 주요(主要) 패류(貝類) 서식지중(棲息地中) 서남해안(西南海岸) 4개지역(個地域)을 선정(選定), 1983년 8월부터 10월에 걸쳐 저니토(底泥土) 시료(試料)118점(點)을 채취(採取), gas chromatograph에 의하여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農藥)의 잔류량(殘留量)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alpha}-BHC,\;{\gamma}-BHC$와 PCNB, heptachlor, ${\alpha}-endosulfan,\;{\beta}-endosulfan,$ p, p'-DDE, dieldrin, o, p'-DDT 및 p, p'-DDT 등(等)이 M$2{\sim}98%$의 검출빈도(檢出頻度)를 보였고 그 평균잔류수준(平均殘留水準)은 ${\gamma}-BHC$$PCNB>{\alpha}-BHC>heptachlor{\approx}{\alpha}-endosulfan{\approx}\;p,\; p'-DDE{\approx}dieldrin{\approx}{\beta}-endosulfan{\approx}\;o,\;p'-DDT{\approx}\;p,\;p'-DDT$순(順)으로 $trace{\sim}0.04ppm$범위(範圍)였다. 지역별(地域別) 총잔류량(總殘留量)의 평균(平均)은 강진(康津), 광양(光陽), 여천(麗川) 및 영광(靈光)이 각각(各各) 0.058, 0.080, 0.016 및 0.075ppm이었다. DC-200 column을 사용(使用)하여 ${\gamma}-BHC$와 PCNB의 peak를 분리(分離)하였고 PCNB는 이를 환원(還元) 유도체(誘導體)인 PCA로 만들어 동정(同定)함으로써 공시시료중(供試試料中) PCNB가 잔류(殘留)됨을 확인(確認)하였다.

  • PDF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 채소류의 농약 잔류 실태 및 식이섭취량 추정 (Pesticide Residue Survey and Estimate Intake Amount of Vegetables in Noeun Wholesale Market, Daejeon)

  • 한국탁;이규승;이은경;이용재;고광용;원동준;이정원;권순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10-214
    • /
    • 2003
  • 대전시 노은 도매시장에서 채취한 6종의 채소류 중 농약잔류량을 조사한 후 이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 100건의 분석시료 중 농약이 검출된 시료의 비율은 46.0%이었고, 잔류허용기준 초과비율은 6.0% 이었다. 검출비율이 높은 시료는 상추(85.0%), 깻잎(80.0%), 오이(60.0%) 순이었고, 상추 3건, 깻잎 3건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살균제는 dicarboximide계, 유기염소계, azole계 농약, 살충제는 유기인계, 합성 pyrethroid계 농약이 많이 검출되었다. 검출빈도가 높은 성분은 procymidone, chlorpyrifos, chlorothalonil, cypermethrin, EPN의 순이었다. 위해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각 농작물에 대한 농약의 추정 섭취량과 ADI를 비교한 결괴 허용기준을 초과한 깻잎의 bitertanol, triflumizole, iprobenphos가 다른 성분에 비하여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러나 각 농산물의 식이섭취량이 적어 ADI에 대한 추정섭취량의 비율이 0.46% 이하로 나타나 그 영향이 매우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土壤) , 수(水) , 농작물중(農作物中)에 있어서 잔류농약분석(殘溜農藥分析)을 위한 수증기(水蒸氣) 증류법(蒸溜法)의 응용(應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Steam Distillation for the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in Soil, Water and Crops)

  • 양환승;문영희;장익선;최연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6
    • /
    • 1989
  • 토양(土壤), 수(水), 농작물(農作物)중 잔류(殘留)하는 각종(各種) 농약(農藥)의 분석(分析)을 위한 수증기증류법(水蒸氣蒸溜法)의 응용성(應用性) 및 정밀도(精密度)등에 대하여 연구검토(硏究檢討)하였다. 수증기증류(水蒸氣蒸溜)에 의하여 추출(抽出)이 가능(可能)했던 농약(農藥)은 PCNB, ${\alpha}-BHC$, ${\beta}-endosulfan$, IBP, diazinon, fenitrothion, fenthion, alachlor, butachlor, pretilachlor, metolachlor, pendimethalin, benthiocarb, molinate등이었으며 simazine, atrazine, nitrofen등은 불가능(不可能)하였다. 농약(農藥)의 증류(蒸溜)까지 요(要)하는 유출액양(溜出液量)은 농약(農藥)의 종류(種類)에 따라 크게 달랐으며, 일정량(一定量)의 유출액(溜出液)을 취(取)한 후 냉각관(冷却管)을 acetone으로 씻어 줌으로써 증류시간(蒸溜時間)을 단축(短縮)시킬 수 있었다. 수증기증류법(水蒸氣蒸溜法)은 소량(小量)의 유기용매(有機溶媒)로 농약(農藥)의 추출(抽出)이 가능(可能)했으며, 분석대상물질(分析對象物質)에 따라서는 기기분석시(機器分析時) 방해물질(妨害物質)이 검정(檢定)되기는 했지만 많은 경우 농축(濃縮)과 정제과정(精製過程)을 생략(省略)할 수도 있어 매우 유용(有用)한 방법(方法)이라 하겠다.

  • PDF

Endosulfan Induces CYP1A1 Expression Mediated through Aryl Hydrocarbon Receptor Signal Transduction by Protein Kinase C

  • Han, Eun Hee;Kim, Hyung Gyun;Lee, Eun Ji;Jeong, Hye Gwa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1권4호
    • /
    • pp.339-345
    • /
    • 2015
  • CYP1A1 is a phase I xenobiotic-metabolizing enzyme whose expression is mainly driven by AhR. Endosulfan is an organochlorine pesticide used agriculturally for a wide range of crop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ndosulfan on CYP1A1 expression and regulation. Endosulfan significantly increased CYP1A1 enzyme activity as well as mRNA and protein levels. In addition, endosulfan markedly induced XRE transcriptional activity. CH-223191, an AhR antagonist, blocked the endosulfan-induced increase in CYP1A1 mRNA and protein expression. Moreover, endosulfan did not induce CYP1A1 gene expression in AhR-deficient mutant cells. Furthermore, endosulfan enhanced the phosphorylation of calcium calmodulin (CaM)-dependent protein kinase (CaMK) and protein kinase C (PKC). In conclusion, endosulfan-induced up-regulation of CYP1A1 is associated with AhR activation, which may be mediated by PKC-dependent pathways.

감마선 조사에 의한 endosulfan의 면역독성 저감 (Radiation-induced Degradation and Immune Toxicity Reduction of Endosulfan)

  • 김현주;김태훈;함준상;김기혁;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51-454
    • /
    • 2012
  • Endosulfan is an organochlorine pesticide that is widely used throughout the world for higher agricultural production. Its extreme toxicity, however, has caused health and environment concerns that have led to an interest in detoxification. In this study, the radiolytic degradation of endosulfan was investigated. Endosulfan in methanol solution (100 ppm) was irradiated at 0, 10, 30, and 50 kGy, and subsequent changes in immune toxicity and degradation of endosulfan were observed. The concentration of endosulfan that was used in this experiment did not affect the cell proliferation. The irradiation of endosulfan decreased the production of NO, indicating a decrease in the immune toxicity of endosulfan by irradiation. The concentration of endosulfa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irradia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results suggest that gamma irradiation can degrade endosulfan and can reduce its immune toxicity.

안동지역 하천의 환경오염물질과 곤충면역 생체지표 분석 (Environmental Pollutants in Streams of Andong District and Insect Immune Biomarker)

  • 유건상;고성운;조성환;이화성;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97-108
    • /
    • 2005
  • 경북 안동지역의 10개 하천 및 하천 주변으로부터 2004년 5월에 물, 토양, 퇴적물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이들 지역의 환경오염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표준공정시험법이나 U.S. EPA 법을 이용하여 시료 중의 총질소, 총인, 화학적 산소요구량, 중금속, 유기인 및 유기염소계 잔류농약, 그리고 dioxin-like PCBs 등의 오염물질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을 이용한 면역교란의 생체지표 분석을 병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총질소가 9.12 mg/L 수준의 와야천을 제외하고는, 각 하천 중의 총질소, 총인,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환경부에서 정한 허용기준치보다는 비교적 낮았다. 각 하천 시료 중의 납과 카드뮴의 함량은 허용 기준보다도 매우 낮았지만, 하천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미천, 길안천, 현하천의 납과 카드뮴 함유량은 다른 하천의 시료들에 비해서 몇 배 이상 높게 검출되었다. 잔류농약은 미천 주변의 토양에서 유기인계 살충제인 다이아지논, 파라치온, 그리고 펜토에이트가 0.19, 0.40, $1.13\;{\mu}g/g$ 농도로 검출되었다. 반면에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알려져 있는 16종의 유기염소계 농약과 12종의 dioxin-like PCB congeners는 검출한계 미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와야천의 시료에 대한 곤충면역 교란효과를 고려해 볼 때, 이 하천의 수질과 주변의 토양이 조사한 오염원 이외의 화합물에 오염되어 있을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화학적 및 생물학적 검정 기술의 제약점과 상호 보완성이 기술되었다.

충청지역 농업용수 중 농약 유래 POPs의 모니터링 연구 (Pesticide-Originated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Agricultural Waterways in Chungcheong Province, Korea)

  • 이화성;전황주;이회선;이성은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8권4호
    • /
    • pp.291-294
    • /
    • 2015
  •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은 현재 사용이 금지된 유기염소계 농약을 포함하고 이들은 국내 농업환경 중 발견이 되며 이들의 작물로의 이동 또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충청도 지역 15곳의 농업용수를 채취하여 이들 시료 중 POPs를 모니터링 하고자 하였으며 이들 시료는 액액분배를 통한 추출 및 정제컬럼을 이용한 정제과정을 거쳐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농약유래 POPs 중 ${\alpha}$-endosulfan이 0.01-1.13 ng/mL 수준에서 검출되었으며, ${\beta}$-endosulfan과 endosulfan sulfate는 각각 0.01-0.55 ng/mL 및 0.13-1.13 ng/mL 수준에서 검출되었다. 총 endosulfan 검출량은 0.38-1.18 ng/mL이었다. 현재 사용중인 농약 중 triadimefon 은 2.03-2.05 ng/mL 수준에서, tolyfluanid은 0.26-0.33 ng/mL 수준에서, chlorpyrifos는 1.34-3.85 ng/mL 수준에서 검출되었다. 농약계 POPs 중 endosulfan류의 물질들의 잔류가 확인되었고 이들의 환경 중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