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intervention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3초

간호사 행복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Domestic Research Trends on Nurse Happiness)

  • 이선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201-20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연구된 간호사의 행복에 관한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간호사 행복의 주요 특성과 추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국내 검색데이터 베이스(NANET, RISS, KSI-KISS, DBpia)에서 '간호사'와 '행복' 또는 'nurses' and 'happiness'로 각각 조합하여 발표된 학술논문 중 온라인상에서 검색된 총 8편을 선정하였다. 2013년 이후부터 간호사 행복 논문이 출판되었다. 주요 연구결과, 연구출처는 '간호학 저널', '기타 간호학 저널'이, 연구도구는 Lyuvomirsky & Lepper(1999)와 OECD Better Life Index (2012),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과 '미승인'이 각각 50% 차지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조직문화를 고려한 행복측정도구개발과 간호사의 행복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안 모색 등이 요구된다.

A Systematic Review: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De-escalate Workplace Violence against Nurses in Healthcare Settings

  • Somani, Rozina;Muntaner, Carles;Hillan, Edith;Velonis, Alisa J.;Smith, Peter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3호
    • /
    • pp.289-295
    • /
    • 2021
  • Workplace violence (WPV) is an increasing cause of concern around the globe, and healthcare organizations are no exception. Nurses may be subject to all kinds of workplace violence due to their frontline position in healthcare settings.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o identify and consider different interventions that aim to decrease the magnitude/prevalence of workplace violence against nurses. The standard method by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2009) has been used to collect data and assess methodological quality. Altogether, twenty-six studies are included in the review. The intervention procedures they report on can b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stand-alone trainings designed to educate nurses; more structured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broader in scope and often include opportunities to practice skills learned during the program; multicomponent interventions, which often include organizational chang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workplace violence reporting systems, in addition to workplace violence training for nurses. By comparing the findings, a clear picture emerges; while standalone training and structured education programs can have a positive impact, the impact is unfortunately limited. In order to effectively combat workplace violence against nurses, healthcare organizations must implement multicomponent interventions, ideally involving all stakeholders.

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among Hospital Nurses)

  • 김경화;김경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7-145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resilience of hospital nurses. The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material necessary to improve nursing interventions for the development of nurses' resilience. Methods: The sample of this study comprised 193 nurse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in B City.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25.0 program using ANOVA, t-test,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factors with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level of nurses' resilience were emotional intelligence (β=.54, p<.001), social support (β=.23, p<.001), and job stress (β=-.11, p=.39). These factors had an explanatory power of 46.7% for resilience. Conclusion: To improve nurses' resilience,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to increas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is necessary. Moreover,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policy are needed to reduce nurses' job stress.

Investigation of Demand-Control-Support Model and Effort-Reward Imbalance Model as Predictor of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 Mohammad Babamiri;Bahareh Heydari;Alireza Mortezapour;Tahmineh M. Tamado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4호
    • /
    • pp.469-474
    • /
    • 2022
  • Background: Nowadays,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CWBs) have turned into a common and costly position for many organizations and especially health centers. Therefore,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and compare the demand-control-support (DCS) and effort-reward imbalance (ERI) models as predictors of CWBs. Methods: The study was cross-sectional. The population was all nurses working in public hospitals in Hamadan, Iran of whom 320 were selected as the sample based on simple random sampling method. The instruments used were Job Content Questionnaire, Effort-Reward Imbalance Questionnaire, and Counterproductivity Work Behavior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in SPSS18.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both ERI and DCS models could predict CWB (p ≤ 0.05); however, the DCS model variables can explain the variance of CWB-I and CWB-O approximately 8% more than the ERI model variables and have more power in predicting these behaviors in the nursing community.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job stress is a key factor in the incidence of CWBs among nurses. Considering the importance and impact of each component of ERI and DCS models in the occurrence of CWBs, corrective actions can be taken to reduce their incidence in nurses.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A Review and Its Implications on School-based Crisis Response Team in the U.S.)

  • 이동훈;정보영;강은진;명소연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2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미국 학교위기대응체계 및 학교기반 위기대응팀과 위기개입을 살펴보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여 국내의 학교기반 위기대응체계 구축 및 개선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국과 한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체계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은 학교기반 위기대응을 위한 기구와 재정이 법으로 명시되어있어서, 위기발생시 지역, 구, 학교의 역할과 책임소재가 명확하고, 단일한 위기관리 명령체계 구축으로 인한 혼선을 방지한다. 둘째, 학교위기사건 발생 시 학교는 사건지휘체계에 따라 전문위기대응에 관한 역할이 분담되고 위기대응팀과의 협력을 통해 사회 각 영역 간에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조정한다. 셋째, 위기대응팀은 위기사건에 지치거나 압도당하지 않도록 팀 구성에 유연성을 발휘하면서 소진을 예방하고 있으며, 학교와 위기대응팀의 협력을 통해 학교자체의 위기역량강화에 초점을 둔다. 넷째, 미국의 학교기반 위기대응팀은 예방단계에서 장기화된 사후관리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위기개입을 실시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학교기반 위기대응체계의 구축 및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대처전략, 스트레스 반응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or, Coping Strategies, and Stress Responses of Manufacturing Workers)

  • 김정희;윤순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87-39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job stressor. coping strategies. and stress responses of manufactoring work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262 of the manufacturing workers in a local electronic company from July to August. 1999. For data analysis. Cronbach's a.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PSS/PC+ 7.5 version program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gard to the stress responses and coping strategies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 overall stress respon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age. marrital state. The use of 'control coping strateg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and the type of work. The use of 'avoid coping strateg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age. married state. year of career. and income. 2. The average scores of 'the job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factor'.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role and leadership factor' were 2.66. 2.59. 2.59 in order. The average scores for 'the avoid coping strategy' and 'the control coping strategy' were 3.03. 2.97. The average scores for 'the overall. psychosoical. and physical stress responses' were 2.18. 2.18. 2.23. 3. The 'control coping strateg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job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factor'. 'the role and leadership factor'. 'the psychosocial stress responses'. and 'the overall responses'. 'The control coping strategy' was positively related to all of 'the job stressors'. 'the physical stress responses', and' the overall stress responses'. 'The physical environment factor' was positively related to all of 'the stress reponses'. 'the role and leadership factor'. and 'the job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facto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were as follows: 1. The coping strategies of manufacturing workers in the specific job stress situ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future studies. 2. In order to applying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in the workplace. The organizational intervention focused o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will be needed. 3. To support and use of 'control coping strategy' of the workers. the organizational efforts should be required.

  • PDF

남녀 사무직 직장인의 특성분노, 사회적 회피,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간 관계: 조직 분위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of trait anger and social avoidance with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mong male and female office workers: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limate)

  • 최소영;전희선;이승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1호
    • /
    • pp.53-74
    • /
    • 2017
  • 본 연구는 최근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직장 내 괴롭힘에 주목하여, 개인적 요인인 특성분노, 사회적 회피가 직장 내 괴롭힘을 예측하는 관계를 조직 분위기(의사소통 분위기, 사회적 분위기)가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중소기업, 대기업 사무직 207명(남자: 115명, 여자: 92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특성분노는 조직의 사회적 분위기가 나쁠 때에만 남자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사회적 회피는 직장 내 의사소통 분위기가 좋을 때에만 남자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이러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특성분노는 의사소통 분위기를 변인으로 투입한 경우에만 여자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일관되게 예측하였으며, 사회적 회피는 모든 경우에 여자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와 관련이 없었다. 다만, 의사소통 분위기와 사회적 분위기가 좋지 않은 것은 그 자체로 여자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직장 내 괴롭힘의 예방과 개입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행정의 집행력 강화를 위한 특별사법경찰 직무확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민생사법경찰단 운영 10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 (Special Judicial Police for Enhancing Administrative Power A Study on the Expansion of Jobs: Based on the results of 10 years' operation of Seoul Metropolitan Police Judicial Police Team)

  • 양재열;김상수
    • 시큐리티연구
    • /
    • 제58호
    • /
    • pp.59-80
    • /
    • 2019
  • 최근 우리사회가 현대지식경제사회로 진입하면서 정부의 정책과 규제가 국민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과거와 달리 환경·주택문제, 도시·교통문제, 노사·노동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되는 문제점과 사회적 현안에 대하여 행정의 개입을 희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민생사법경찰단 운영 10년을 통하여 지방자치단체가 특사경 전담조직 운영함에 있어 당위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행정작용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행정형벌의 집행과정과 그 효과에 대하여 서울시의 통계자료 등을 기초로 하는 문헌연구를 통해 다루었다. 이에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 운영 10년의 조직변천 과정과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행정의 집행력 강화를 위해 수사 전담조직인 민생사법경찰단의 직무 확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보훈처와 같이 특별사법경찰 사무가 활용되지 아니하고 있음에도 법령에 존치되고 있는 현행 관련법률의 정비를 유도하고, 향후 자치경찰제 시행에 따른 특별사법경찰 전담조직의 예상되는 변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미래지향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근로자의 사회정서적 문제가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Employees' Socio-emotional Problems on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 최수찬;박해웅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4호
    • /
    • pp.177-196
    • /
    • 2005
  • 현대 산업사회의 기업 근로자는 극심한 경쟁과 과다한 업무에 노출되어 있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예방과 지원의 부재로 말미암아 다양한 사회정서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근로자의 당면 문제는 대부분의 경우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개인의 정신건강에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근로자의 삶의 질을 훼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가 당면하는 사회정서적 문제가 직장 및 개인생활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업무조직, 퇴직고충, 직장폭력 등의 직장생활 분야와 가족관계, 자녀교육, 위기문제 등의 가정생활 분야, 그리고 문화생활 및 건강관련 분야에서 폭넓게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근로자의 사회정서적 문제는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이러한 스트레스는 다시 개인의 동기유발이나 삶의 질을 좌우하는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완충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적 지지의 역할은 통계적으로 입증되지 못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근로자 개인이 가지고 있는 기존의 사회적 자원이나 지지 체계가 우울감을 낮추거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근로자의 사회적 지지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조직차원의 대응과 노력이 절실히 요청된다.

  • PDF

저소득가정 비만아동의 신체활동 증진 장애요인 :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Barrier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Using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 이자인;박지영;김희순;김완수;황가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27-340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barrier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among obese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using community child care (CCC) center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n exploratory-descriptive qualitative research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CCC centers, and 4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overweight and obese children and 14 primary caregiver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barriers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were classified into three areas: 1) individual, a lack of will for physical activity; 2) interpersonal, a change in communicative mean with the peer group, absence of parental monitoring due to work-family balance, and an absence of consistent rules; and 3) organizational, lack of physical activity programs and human resources, and confined space for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The physical activity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is influenced by a range of ecological barriers. These findings can be used to develop tailored intervention to prevent and manage childhood obesity in low-income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