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rganization Identity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초

공감의 행위가 기업의 명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cts of Compassion Within Organizations on Corporate Reputation : Contributions to Employee Volunteering)

  • 문태원;고성훈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2호
    • /
    • pp.133-156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들 사이에서 타인의 고통에 의해 유발되는 공감이 긍정적 조직정체성을 통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감이 특별한 조직의 구성원이 되는 것과 관련 있는 긍정적 정체성을 유발시키게 되며, 긍정적 정체성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향상시켜 결국에는 기업의 명성을 강화시킨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또한, 강화된 기업의 이미지는 구축된 외부 이미지를 통하여 조직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조직 정체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높은 긍정적 조직 정체성을 지니고 있는 조직 구성원들은 조직 내 구성원들과 함께 나눔과 공감적 행위를 더 잘 실천하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와 공감 사이의 긍정적 순환 관계는 그림 2 에서 보여주고 있듯이 조직구성원들 간의 공감적 행위가 긍정적 정체성을 통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불러일으키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그 뿐만 아니라 기업의 명성을 강화시킨다는 측면에서 어떻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가 조직 내 공감적 행위를 유발시킬 수 있을 것인지 그림 2 가 설명해 주고 있다.

  • PDF

기업의 조직 체제의 변화에 의한 CI에서 BI로의 기업 아이덴티티 변화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Corporate Transition from CI to BI due to change of Corporate Structure)

  • 백금남;손영범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5호
    • /
    • pp.223-232
    • /
    • 2006
  • 본 연구는 기업이라는 조직 변화를 중심으로 한 CI와 BI에 관련된 연구이다. 기업의 조직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로부터 투입(노동 기술 자원)을 받아 어떤 산출(재화나 서비스)의 형태로 전환시켜 사회로 내보낸다. 이 산출은 그 사회의 일부 목표성취를 위해 사회적 역할을 조직이 담당하고 있는 것을 뜻하는 한편, 사회가 조직의 목표 설정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와 반대로 사회는 욕구와 변화를 통하여 기업의 존재, 존속에 직접, 또는 간접의 영향을 주며, 이에 적응하기 위하여 기업은 조직의 형태를 사회의 욕구와 변화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러한 기업의 조직 변화에 따른 CI에서 BI로의 변화 원인과 이론적 근거를 엘빈 토플러의 [적응 기업(The Adaptive Corporation)]을 통하여 제시한 연구이다.

  • PDF

치과조직문화와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정체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Dental Office and Professional Identity of Dental Hygienis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구자영;임순연;이순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16-522
    • /
    • 2017
  • 본 연구는 조직문화유형,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정체성, 조직몰입 세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치과 병 의원에 근무하는 310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과위생사가 인지하는 치과조직문화는 위계지향문화(3.39점)가 가장 높았으며, 업무지향문화(2.71점)가 가장 낮았다. 조직문화 중 혁신지향문화는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경우와 3인 이상의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에 치과의원에서 근무하는 경우나 1인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보다 높았고, 전문학사인 경우보다 학사 이상인 경우에, 미혼자보다 기혼자가, 일반 치과위생사보다 실장급 치과위생사가 혁신지향문화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관계지향문화는 1인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3.35점)와 실장급 치과위생사(3.43점)가 3인 이상의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나 일반 치과위생사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p<0.05). 업무지향문화는 3인 이상의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가 1인 치과의사와 근무하는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치과병원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치과의원에서 근무하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관계지향문화(p<0.001)와 혁신지향문화(p=0.006)로 나타났다. 치과 내에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의 형성을 유도하는 반면 위계지향문화를 감소시키는 것이 치과위생사의 조직몰입과 전문직정체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EPRESENTATIONS OF RAMANUJAN CONTINUED FRACTION IN TERMS OF COMBINATORIAL PARTITION IDENTITIES

  • Chaudhary, Mahendra Pal;Choi, Junesang
    • 호남수학학술지
    • /
    • 제38권2호
    • /
    • pp.367-373
    • /
    • 2016
  • Adiga and Anitha [1] investigated the Ramanujan's continued fraction (18) to present many interesting identities. Motivated by this work, by using known formulas, we also investigate the Ramanujan's continued fraction (18) to give certain relationships between the Ramanujan's continued fraction and the combinatorial partition identities given by Andrews et al. [3].

CERTAIN IDENTITIES ASSOCIATED WITH CHARACTER FORMULAS, CONTINUED FRACTION AND COMBINATORIAL PARTITION IDENTITIES

  • Chaudhary, M.P.;Choi, Junesang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5호
    • /
    • pp.609-619
    • /
    • 2016
  • Folsom [10] investigated character formulas and Chaudhary [7] expressed those formulas in terms of continued fraction identities. Andrews et al. [2] introduced and investigated combinatorial partition identities. By using and combining known formulas, we aim to present certain interrelationships among character formulas, combinatorial partition identities and continued partition identities.

무속 공간모형에 의한 남사마을 공간 해석에 관한 연구 (An Interpretative Study on the Nam-Sa Village Space by Shamanistic Space Model)

  • 김동찬;이윤수;임상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5-107
    • /
    • 1999
  • Shamanism is an ancient culture that is also considered as a religious rite by most of people. So, shamanism is an important part of Korean tradition and should be a significant base to the Korean exterior space organization theme. However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h principle of exterior spacing has not yet clearly been identified as shamanistic. Therefore believe that this study can exhibit a model for the study of shaministic space language and its application to one of Korean's village Nams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1. Extracted models are Unspecialized· Circular·Coninuous space. These a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haministic space language. Also shaministic space languages are based with Korean common belief of eternal human identify, circular view of the world. 2. Applying the shamanistic space models to Namsa village shows that shamanistic space models follow the Korean space organization principle. Some area of the village do not apply, because they were built on the structure of the social hierarchy between families or the difference between head households and collateral households. 3. Applying the shamanistic space model to Namsa village shows that the shamanistic space model follows the Korean space organization principle. Therefore can say that Namsa village was built by a shamanistic system that pursued eternal human identity.

  • PDF

Issues and Vision of Korea Maritime Police

  • Lee, Sangjib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0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on the Maritime Management Systems for Safer and Cleaner Seas in the New Millennium
    • /
    • pp.14-25
    • /
    • 2000
  • Should the Korea Maritime Police Agency (KMPA) be a comprehensive, multi-functional organization for a unique on-scene service at sea, as in the case of the U.S. Coast Guard, or should it be simply a water police agency, confining its mission only to law enforcement? The argument about enlarging or limiting KMPA's function has been and will be repeated. In this paper, Lee Sangjib highlights the internal and external issues facing KMPA, stemming partly from deficiencies of its struggles for advancement of the organization and partly from shortcomings of political support for it. In this regard, he urges KMPA to practise a scientific management system for maximizing cost-effectiveness of its administrative resources and for maintaining its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as a lead maritime agency. In addition, he also suggests that KMPA adopt the Total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quality improvements in services and greater efficiency in its organization structure to meet the future competition in the changing political and legal environment. He further recommends the proactive, non-regulatory 'Prevention Through People' program, pioneered by the U.S. Coast Guard, as a way of changing KMPA's existing lopsidedly legalistic culture. He concludes by providing a 6-point vision statement for KMPA from the standpoint of favoring enlarging the function of KMPA.

  • PDF

취재보도 원칙과 정치성향에 대한 인식 차이가 기자의 심리적 탈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fferences in Perceptions Regarding Principles of Journalism and Political Identity on Journalists' Psychological Burnout)

  • 백강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4-32
    • /
    • 2019
  • 본 연구는 취재보도 원칙에 대한 인식과 정치성향에 대한 기자와 소속 언론사 간 차이가 기자의 심리적 탈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이 현직 기자 1,6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7 언론인 의식조사 데이터의 2차 자료를 활용했다. 심리적 탈진은 MBI-GS의 세 가지 하위 차원인 냉소주의, 직업효능감 결여, 정서소진으로 구성됐다. 취재보도 원칙에 대한 기자와 소속 언론사 간 인식 차이는 7개의 각 보도 원칙에 대한 기자 개인이 생각하는 중요도와 이에 대한 소속 언론사의 실행 정도 차이를 계산하여 측정했다. 분석 결과, 취재보도 원칙 중 객관성에 대한 기자와 소속 언론사의 인식 차이가 클수록 기자들은 업무 환경에서 냉소주의, 직업효능감 결여, 정서소진 모두에서 심리적 탈진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자와 소속 언론사의 정치성향의 차이가 클수록 냉소주의와 정서소진을 더 크게 경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과수묘목재배지역의 영농조직에 대한 인식과 참여행태 -경상북도 경산시 경산과수종묘연합회를 사례로- (A Study on the Cognition of Farming Group Organization and Participational Behavior Types Shown in the Fruit Nursery Tree Growing Region : Centered on the Case of Gyeongsan Fruit Nursery Growers Association)

  • 우종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95-508
    • /
    • 2007
  • 본 연구는 FTA 시대를 맞이하여 위기가 심화된 우리나라 농업/농촌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지역단위 영농조직의 형성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과수묘목재배지역의 영농조직에 대한 개별농가의 인식과 조직내 활동에 대한 참여행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농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영농조직은 구성원의 사회적 관계 유지보다는 경제적 이익실현을 우선적 목표로 하여야 하며, 추상적인 명분보다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목표를 지향해야 한다. 또한 영농조직은 재배작물의 동질성을 기초로 조직되어야 하며, 조직의 규모는 구성원간의 신뢰여부를 고려할때 내부적 통제와 구성원 상호간에 원활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적정수준에서 통제될 필요가 있다.

  • PDF

산업체 단체급식 종사자의 직무특성과 직업몰입,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Industrial Organization Food Service Workers)

  • 손은수;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3-202
    • /
    • 2017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414 industrial organization food service workers in the Kyungnam area to find out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job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food service workers and its effects on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by recognizing the need for job application through the job characteristic model, which was the beginning of the intrinsic motivation theory for the job of organization food service worker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ethod to analyze the survey was undertaken by using the SPSS 23.0 and Amos 21.0 statistic package program via a data coding process for collected data processing. We can confirm from the analysis result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in all factors, except task identity, which is a sub factor of job characteristic. This result reaffirms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by showing that the worker must be allowed to ensure completion of the entire job when performing the job as the job itself is not one part of the processes. Decision-making autonomy must be given in the work process when the worker performs their job in order to raise job satisfaction and furthermore to increase job commitmen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are limits that making generalization as the study was conducted on industrial organization food service workers in the Kyungnam area as extracted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