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matter production

검색결과 785건 처리시간 0.04초

우리나라 과수원 토양의 Paraquat 잔류와 흡착능 (Residue and adsorptive capacity of paraquat in orchard soils)

  • 전재철;김성은;박남일;임성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90-95
    • /
    • 1998
  • Paraquat 토양 잔류량을 사과원, 배원, 포도원 및 복숭아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과수원은 각 과수별 주산 단지에서 15개소씩을 선정하였다. 한편 과수원별 토양의 paraquat 흡착능을 밀 뿌리 생육 50%를 저해하는 농도(Strong adsorption capacity measured using wheat bioassay, SAC-WB)로 산출하고, 총 SAC-WB (SAC-WB값+paraquat 잔류량)에 대한 paraquat 잔류 수준을 조사하였다. 우리나라 과수원 토양 60개소의 paraquat 결합성 잔류량은 평균 6.9 ppm이었다. 잔류량이 가장 높았던 토양은 사과원 토양의 20.2 ppm이었으며, 사과원 토양의 paraquat 평균 잔류량은 다른 과원 토양의 거의 두 배 정도의 높은 경향을 보였다. 잔류량이 높았던 상위 5개소 양에 대한 치환성 잔류량은 0.5 ppm 검출한계 미만이었다. SAC-WB 값은 평균 276.1 ppm이었으며, SAC-WB 값과 점토 함량, 유기물 함량 및 양이온 치환 용량간에는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없었다. 한편 우리나라 과수원 토양의 총 SAC-WB 값 대비 paraquat 잔류 수준은 평균 2.43%이었다.

  • PDF

Effect of Graded Levels of Mustard Oil Cake Supplementation on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Microbial N Yield of Adult Cannulated Native (Bos Indicus) Bulls Fed Rice Straw

  • Chowdhury, S.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715-722
    • /
    • 1999
  • On a urea-molasses-straw (3:15:82, UMS) based diet, effect of graded levels of mustard oil cake (MOC)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s of native bulls has been studied. Four cannulated adult Bos indicus bulls of $415({\pm}44.6)kg$ live weight and 80 months old, were given daily either of 0, 200, 400 or 800 g of MOC in four periods in a $4{\times}4$ latin square design. Besides, each animal also received 200 g of each of molasses and wheat bran and a mineral mixture. For unit (1 g) increase in MOC intake, total DM intake increased by 0.8 g/d ($r^2=0.88$) but no change in the straw DM intake. With the increasing levels of MOC, crude protein (CP) digestibility increased exponentially with an asymptotic value of 72%. However, MOC level had no effect on the digestibilities of DM, OM and ADF. Similarly, rumen degradability of rice straw was also not affected by the level of dietary MOC, and mean straw DM degradabilities were 15, 21. 28, 37, 47 and 51% at 8, 16, 24, 48, 72 and 96 hours of incubation respectively. Microbial N yield per kg digestible organic matter apparently fermented in the rumen were 7.46, 8.77, 6.88 and 5.96 g respectively for 0, 200, 400 or 800 g of dietary MOC. For each gram increase in dietary MOC, N intake and N balance increased by 0.054 g/d ($r^2=0.998$) and $0.59mg\;N/kg\;W^{0.75}/d$ ($r^2=0.99$) respectively. Nitrogen balance was estimated to be attained at the N intakes of $246mg\;N/kg\;W^{0.75}/d$. Thus, on a UMS-based diet supplementation of MOC up to 800 g (10% of total intake) of the dietary intake had little or no effect on intake, digestibility, rumen parameters, and microbial N yield but slightly increased the N balance. However marginal response to MOC supplementation is probably due to the high degradability of MOC protein in the rumen. Thus, any substantial positive response of MOC supplementation on a UMS-based diet can probably be achieved by reducing its protein degradability in the rumen.

남해 연안 피조개 (Scapharca broughtonii) 양식장의 환경특성 (The effect of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rowth of cultured Arkshell Scapharca broughtonii at several shellfish-farming bays on the South coast of Korea)

  • 최윤석;정춘구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9-155
    • /
    • 2016
  • 피조개 양식장의 해수 수온, 염분, pH, DO, 영양염, COD의 조사결과 해역별 편차가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엽록소 a 농도는 7-8월에 부영양화 기준인 $7{\mu}g/L$ 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8월 이후 부영양화 기준보다 낮은 농도를 보였다. 따라서 피조개 양식장에서 서식환경에 의한 생존율의 급감은 여름철 고수온, 낮은 용존산소량과 먹이원인 클로로필의 감소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퇴적물의 강열감량 (IL) 과 산휘발성화합물 (AVS) 및 함수율 (WC) 은 유사한 양상을 보이며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화학적산소요구량 (COD) 은 거제만의 조사 정점에서 월별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퇴적물의 평균입도 (Mz) 는 8.07-8.33 범위를 보였고 분급도는 1.66-2.13 범위로 피조개 양식에 적합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의 C/N 비는 양식장에서 5-10 사이의 값을 나타내어 해양기원의 유기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C/S 비는 지역에서 2.8 이상으로 유기물이 분해되기 전에 유기물의 급속한 퇴적이 이루어졌을 환경으로 조사 되었다. 중금속에 대한 농집지수 (Igeo) 의 결과는 연구지역이 Igeo class가 0에서 4 사이로 분포되어 있어 오염되지 않았거나 약간오염된 수준으로 (practically unpolluted / moderately polluted) 나타났다.

제주도(濟州道) 초지개발(草地開發)에 있어서 토양학적(土壤學的) 문제점(問題點) (Soil problems for developing grass land in Jeju)

  • 이종기;이근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3-160
    • /
    • 1975
  • 기상환경(氣象環境)이나 지리적(地理的) 역사적여건(歷史的與件)으로 보아 제주도(濟州道)는 우리나라에서 목축지대(牧畜地帶)로 가장 유리(有利)한 지역(地域)이다. 그러나 제주도(濟州道)의 초지(草地)는 매우 불량(不良)하여 목초(牧草)의 생산력(生産力)은 보잘것이 없고 수년내(數年內) 목축업(牧畜業)의 큰 발전(發展)은 볼 수가 없다. 이같은 현상(現象)은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壤)의 불량성(不良性)과 초지경영자(草地經營者)의 토양개량(土壤改良) 및 시비방법(施肥方法)에 대(對)한 인식부족(認識不足)에 있다고 판단(判斷)된다.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約) 불량성(不良性)은 반토성(礬土性)이 강(强)한 산성화산회토양(酸性火山灰土壤)이 갖는 문제점(問題點)인데 이는 염기(鹽基)의 부족(不足)과 인산고정력(憐酸固定力)이 큰 반면(反面) 유효태인산(有效態燐酸)의 현저(顯著)한 결핍(缺乏)과 시비기술(施肥技術)의 미협이다. 따라서 이들 불량성(不良性)의 대책(對策)으로는 염기간균형(鹽基間均衡)을 고려한 석회물질(石灰物質)의 시용(施用)과 용성인비(熔成隣肥)를 주축(主軸)으로한 인산질비료(燐酸質肥料)의 획기적(劃期的)인 증시(增施)와 유기물(有機物) 및 결핍(缺乏)되기 쉬운 미량원소(微量元素)를 시용(施用)하여 토양(土壤)의 불량성(不良性)을 근본적(根本的)으로 개량(改良)한후(後) 초종(草種)과 재배법(栽培法)에 따라 적량(適量)의 삼요소(三要素)를 균형(均衡)있게 시용(施用)하는 것이다.

  • PDF

Effect of De-hulling on Ileal Amino Acids Digestibility of Soybean Meals Fed to Growing Pigs

  • Kang, Y.F.;Li, D.F.;Xing, J.J.;Mckinnon, P.J.;Sun, D.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6호
    • /
    • pp.928-939
    • /
    • 2003
  • A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de-hulling on apparent and true ileal amino acids digestibility of soybean meals for growing pigs. Twenty barrows (Duroc${\times}$Large white${\times}$Longer white) were fitted with a simple T-cannula at the distal ilium. Digestibility of 20 experimental diets was determined, nine of them were de-hulled soybean meal diets, and nine of them were regular soybean meal diets and two low protein casein diets for determination of endogenous amino acid correction for true digestibility determination. A TEX>$5<{\times}5<$ Latin Squares Design was adopted in this trail. The results showed that de-hulling increased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of isoleucine, threonine, aspartic, tyrosine and indispensable and dispensable amino acid (p<0.05) in soybean meals. Furthermore, dehulling is also increased apparent digestibility of argin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alanine, glutamic acid, serine and gross amino acids (p<0.01).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for histidine, methionine, tryptophan, cystine and glycine (p>0.05). Similar responses were found for true ileal digestibility. In three dehulled and non-dehulled pairs soybean meals from the same respective sources, de-hulling increased apparent digestibility of lysine, methionine, threonine and cystine 1.42%, 2.06%, 2.18% and 1.40% respectively. True digestibility of lysine, methionine, threonine and cystine was increased 1.65%, 1.94%, 2.30% and 1.82% respectively. A prediction equation for true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including lysine and arginine) was established by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relevant amino acid, organic matter, crude protein, ether extract and nitrogen free extract. The coefficient R2 values of lysine and agrinine were 0.596 and 0.531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crude protein content, a prediction equation for lysine and arginine content in soybean meal was also established by single linear regression. The coefficient $R^2$ values of lysine and agrinine were 0.636 and 0.636 respectively.

Evaluation of trace mineral source and preharvest deletion of trace minerals from finishing diets on tissue mineral status in pigs

  • Ma, Y.L.;Lindemann, M.D.;Webb, S.F.;Rentfrow, 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2호
    • /
    • pp.252-262
    • /
    • 2018
  • Objectiv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dietary supplemental trace mineral source and deletion on mineral content in tissues. Methods: Weanling crossbred pigs (n = 144; 72 barrows and 72 gilts; body weight [BW] = $7.4{\pm}1.05kg$) were used. A basal diet was prepared, and trace mineral premix containing either inorganic (ITM) or organic (OTM) trace minerals (Cu, Fe, Mn, and Zn) was added to the basal diet. Pigs were blocked by sex and BW and randomly allotted to 24 pens for a total of 6 pigs per pen, and fed a diet containing either ITM or OTM supplemented at the 1998 NRC requirement estimates for each of 5 BW phases (Phase I to V) from 7 to 120 kg. The trace mineral supplementation was deleted for 6, 4, 2, and 0 wk of Phase V; regarding nutrient adequacy during this phase, the indigenous dietary Fe and Mn was sufficient, Cu was marginal and Zn was deficient. Results: At the end of Phase IV, Mn content (mg/kg on the dry matter basis) was greater (p<0.05) in heart (0.77 vs 0.68), kidney (6.32 vs 5.87), liver (9.46 vs 8.30), and longissimus dorsi (LD; 0.30 vs 0.23) of pigs fed OTM. The pigs fed OTM were greater (p<0.05) in LD Cu (2.12 vs 1.89) and Fe (21.75 vs 19.40) and metacarpal bone Zn (141.86 vs 130.05). At the end of Phase V, increased length of deletion period (from 0 to 6 wk) resulted in a decrease (linear, p<0.01) in liver Zn (196.5 to 121.8), metacarpal bone Zn (146.6 to 86.2) and an increase (linear, p<0.01) in heart Mn (0.70 to 1.08), liver Mn (7.74 to 12.96), and kidney Mn (5.58 to 7.56). The only mineral source by deletion period interaction (p<0.05) was observed in LD Zn. Conclusion: The results demonstrated differential effects of mineral deletion on tissue mineral content depending on both mineral assessed and source of the mineral.

중국 길림성 백성지역 흑개토의 이화학성 및 인산 흡착 특성 (Physical-chemical Properties and Phosphorus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Soils in Baicheng, China)

  • 김성애;이상모;최우정;류순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92-96
    • /
    • 2001
  • 농경지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중국 길림성 백성지역의 주요한 토양인 흑개토의 이화학성 및 인산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지 이용방식 또는 재배작물이 서로 다른 중국 길림성 백성지역 4곳과 중국 용정에 위치한 연변 대학교 농과대학 부속 시험장 1곳에서 1993년 8월에 토양을 채취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중국 길림성 백성지역 토양의 $_PH$는 미경작지 10.2, 경작지는 $7.3{\sim}7.6$으로 비교적 높았다. 양이온 치환용량은 20 cmol(+) $kg^{-1}$ 이상이었으며, 치환성 양이온 중 Na는 특히 표토에 많이 존재하였으며, Ca의 함량이 매우 높아 Ca 포화율이 100% 이상을 나타내었다. 토양 포화 침출액의 주요 양이온은 Na이었으며, ECe와 SAR을 기준으로 백성 미경작지 토양은 염류-나트륨성 토양, 경작지 토양은 나트륨성 또는 일반 토양에 해당하였다. 백성지역 토양의 유효인산 함량은 10mg P $kg^{-1}$ 미만으로 아주 낮았으며, 최대 인산흡착량은 $ $ mg P $kg^{-1}$이었다. 길림성 백성지역 토양의 경우 유효인산 함량이 매우 낮아 토양 비옥도 중진을 위한 인산질 비료의 시용과 함께 토양 투수성의 개선 등과 같은 적절한 토양 관리가 필요하며, 용정지역 토양의 경우에는 인산흡착 특성을 고려하여 인의 과잉 축적을 방지하기 위한 인산질 비료의 적정 시용을 권장하여야 한다.

  • PDF

유역 내 토지이용도에 따른 $N_2O$ 배출양상 ($N_2O$ Emissions with Different Land-Use Patterns in a Basin)

  • 서주영;강호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6-90
    • /
    • 2012
  • 아산화질소($N_2O$)는 온실효과가 $CO_2$의 300배 이상 되는 강력한 온실기체로서, 주로 탈질, 질산화와 같은 토양의 질소순환과정에서 생성되고 토양의 환경에 따라 복잡한 발생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하나의 유역 내에서 토지이용도에 따른 $N_2O$ 발생량의 변이와 이를 조절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도 해안 분지지형 내에 산림과 밭, 논 세 종류의 토지이용 형태를 선정하여, 2010년 5월부터 10월까지 매월 $N_2O$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계절 별 토양을 채취하여 무기질소의 함량을 비롯한 이화학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N_2O$는 밭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이는 시비에 의한 질소의 유입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산림과 논 토양에서는 유기물로부터 유래한 무기질소가 존재하나, 그 공간적 편차가 크고 질소순환이 빠르게 진행되지 않아 $N_2O$ 발생량이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토양의 $N_2O$ 발생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시비의 강도와 시점에 대한 관찰과 조절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Sesbania Incorporation as Nitrogen Source on Growth and Yield of Whole Crop Barley and Reduction of N Fertilizer in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Lee, Su-Hwan;Bae, Hui-Su;Oh, Yang-Yeol;Lee, Sang-Hun;Kim, Yeong-Joo;Kim, Sun;Ryu, Jin-Hee;Jung, Kang-Ho;Lee, Choong-Geun;Kim, Jae-Hyeon;Kim, Yeong-Doo;Choi, Weon-Young;Cho, Jae-Yeong;Lee, Kyoung-Bo;Lee, Keon-Hui;Park, Ki-D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51-759
    • /
    • 2016
  • It is known that the poor soil fertility of newly reclaimed saline soils is due to the lack of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mineral nutrients for crop production. The effect of green manuring with Sesbania aculeata in combination with five rates of urea-N treatments (N0. N25, N50, N75, N100) on the productivity of a subsequent whole-crop barley and the fertility of the reclaimed saline soil in Saemangeum was evaluated in the field during 2013-2014 growing season. Sesbania was grown during summer season (June to October). The amount of Sesbania incorporated was $16.2Mg\;ha^{-1}$. Sesbania contributed to $393kg\;N\;ha^{-1}$ to the soils when ploughed down and incorporated before whole-crop barley cultivated. The performances of whole-crop barley following sesbania incorpora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a combination of Sesbania manuring and different N rates. The N fertilizer equivalence without N fertilizer following Sesbania was 42.6% ($63.9kg\;N\;ha^{-1}$), compared with N100 ($150kg\;N\;ha^{-1}$) in fallow soils. The whole-crop barley yield responded to N fertilizer rates in both sesbania-amended and fallow soil. The yield response to nitrogen rates in fallow soil was linear (Y=0.0586X+3.3011, $R^2=0.9534$), whereas that in sesbania-amended soils was quadratic (Y= -0.001X2+0.1322X+5.7143, $R^2=0.9576$). The yield of whole-crop barley in sesbania-amended with increasing N rates was increased up to SN75 (115 kgN) $10.3Mg\;ha^{-1}$. Apparent N recovery (ANR) of whole-crop barely showed decreased with sesbania plus increasing rates of N fertilizer. Despite higher yield with sesbania manuring plus increasing N rates, the contributions of N from Sesbania with increasing N rates to whole-crop barley were decreased, whereas those from fertilizer increment due to excessively mineralized Nitrogen. Considering yield, ANR, N contribution from Sesbania and nitrogen fertilizer, the optimum N rate was N50 rate following sesbania incorporation.

담수양어장 슬러지의 배지내 혼합비율이 고추(Capsicum annuum)와 토마토(Lycopersicum esculentum) 공정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Growth pf Plug Seedlings of Capsicum annuum and Lycopersicum esculentum as Affected by the Mixing Ratio of Aquafarm Waste Water Sludge in the Growing Medium)

  • 이은주;황승재;김익준;박영훈;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84-189
    • /
    • 2003
  • 배지내의 양어장 폐수 슬러지(aquafarm waste water sludge, AWWS)의 농도가 고추 공정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파종후 20일째와 파종후 40일째 조사의 경향에 약간 차이는 있었으나 생체중, 건물중, 엽면적, 초장 및 엽록소 함량은 배지내에 첨가된 AWWS의 농도가 높을수록 양호하였다. 그러나 건물률, 엽수 및 최대근장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대조구에서 보다도 슬러지 처리구에서 pH는 증가하고 EC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 AWWS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변화의 폭이 작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생장은 AWWS 함량이 증가할수록 양호해 육모후의 정식시의 생장도 우수하리라 기대된다. 배지내의 AWWS의 함량이 토마토 공정묘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고추와 마찬가지로 파종후 20일째와 파종후 40일째의 경향에 약간 차이는 있었으나 생체중, 건물중, 엽수, 엽면적, 초장 및 엽록소 함량은 배지내에 첨가된 AWWS의 농도가 높을수록 양호하였다. 그러나 건물률 및 최대근장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대조구에서 보다도 슬러지 처리구에서 pH는 증가하고 EC는 감소하여 고추 공정묘에서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액비를 사용한 대조구와 4kg AWWS${\cdot}45L^{-1}$ 배지 함유수(슬러지 4)에서의 전반적인 생장이 비슷하였다. AWWS를 육묘용 배지에 혼합하여 사용시 육묘시 액비에 절감과 시비 노동력의 감소로 인한 생산비의 절감을 실현할 수 있고 묘의 생장속도의 증가로 인한 육모기간의 단축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