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s addition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1초

배양인삼 요구르트의 제조 및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Cultured Ginseng)

  • 이인선;백기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35-241
    • /
    • 2003
  • 배양인삼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제조한 다음 그 품질 특성을 살펴본 결과, 배양인삼의 첨가로 요구르트의 젖산균 증식과 산 생성이 대조군보다 촉진되었고, 발효 24시간 후 생균수는 모든 군에서 $6.0{\sim}8.0×10^8\;CFU/mL$으로 발효시간이 경과할수록 점점 증가하였다. 점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특히 12시간에서 18시간 사이에 점도가 가장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의 경우 대조군과 배양인삼 첨가군 모두 17여종의 아미노산이 존재하였으며, 0.5% 첨가군은 1.0% 첨가군에 비해 배양시간이 관계없이 4종의 아미노산을 제외한 대부분의 아미노산 함량이 많이 존재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0.5% 첨가군의 경우 24시간 발효시 젖산, 구연산, 개미산, 프로피온산의 생성이 증가되다가, 30시간 이후에는 이들 함량이 다소 감소되었다. 1.0% 첨가군의 경우는 배양시간이 증가할수록 개미산, 젖산, 초산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관능검사에서 배양인삼 0.5%와 1.0%의 첨가 요구르트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우수하였고 다른 항목들에서도 비교적 양호한 값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0.5{\sim}1.0%$의 배양인삼을 첨가하여 24시간 발효가 배양인삼 요구르트 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유기산물 이용한 오징어 어유의 어취 개선 (Deodorization of Purified Fish Oil from Squids by Organic Acids)

  • 장민경;이옥희;김남영;유기환;장혜지;이승우;박미라;박정현;김미향;하종명;배송자;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284-1288
    • /
    • 2009
  • 오징어 정제어유에 대한 부가적인 탈취과정을 통해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유기산의 일종인 citric acid 및 gluconic acid를 이용한 칼럼을 제작하고 여기에 오징어 정제어유를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어취제거 실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citric acid 및 gluconic acid 칼럼 모두에서 우수한 어취제거 효과가 나타났으며, 유기산 1 g과 2 g을 사용한 경우보다 3 g을 사용한 경우에 더 우수한 어취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citric acid를 사용한 칼럼에서 보다 gluconic acid를 사용한 칼럼에서 더 높은 어취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과산화물가(POV) 및 산가(AV)를 측정한 결과, gluconic acid칼럼을 통과한 시료는 미처리 대조군에 비해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citric acid 칼럼을 통과한 시료는 미처리 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gluconic acid 칼럼을 이용한 탈취실험의 경우는 탈취효과는 뛰어난 반면 과산화물가와 산가가 약간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고, citric acid칼럼을 이용한 탈취실험의 경우는 탈취효과는 약간 떨어졌지만 과산화물가와 산가는 미처리 대조군과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유기산 칼럼을 이용하여 성공적인 어취제거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어유의 주요 성분 변화는 거의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구저수지의 1차 생산 및 지방산 생성속도 결정을 위한 $^{13}C$ 추적자 활용 연구 (An Application of $^{13}C$ Tracer for the Determination of Primary Productivity and Fatty Acid Production Rate in Shingu Reservoir)

  • 이연정;김민섭;신경훈;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spc호
    • /
    • pp.21-26
    • /
    • 2008
  • 본 연구는 $^{13}C$추적자를 사용하여 신구저수지 내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1차 생산속도를 계산하고, $^{13}C$-GC/MS 기법을 사용하여 광합성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진 지방산의 생성속도를 분석하였다. 유광층 내의 SPM중 POM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76%였으며, 엽록소$-{\alpha}$의 평균 농도는 약 $89{\mu}g\;L^{-1}$이었다. 유광층 단위면적당 엽록소$-{\alpha}$ 총량, 1차 생산력, 엽록소$-{\alpha}$에 의한 탄소 고정 능력은 각각 112mg Chl-${\alpha}m^{-2}$, 3.53g C $m^{-2}\;d^{-1}$, 32mg C mg Chl-${\alpha}^{-1}\;d^{-1}$이었다. 수층 내 입자성유기물의 지방산 조성과 식물플랑크톤 광합성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입자성유기물의 지방산 조성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본 연구기간 동안 수층의 입자성유기물은 대부분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유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진 유기물은 세포외배출 등의 과정을 통해 용존유기물 pool로 이동된 후 박테리아에게까지 빠르게 전달됨으로써, 박테리아에 의한 유기물 소비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Adding Urea and Molasses on Napiergrass Silage Quality

  • Yunus, M.;Ohba, N.;Shimojo, M.;Furuse, M.;Masuda, 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1호
    • /
    • pp.1542-1547
    • /
    • 2000
  • To standardize proper formulation of urea and molasses, the former to increase crude protein content of tropical grass and the latter for improving its silage quality, we examined the fermentation quality of silage of fresh and wilted napiergrass (Pennisetum purpureum Schumach) with different levels of urea and molasses with or without lactic acid bacteria (LAB). Silage was made of napiergrass with conditions of fresh young (Exp. 1),young wilted for half day (Exp. 2) and fresh mature (Exp. 3). Chopped plant materials of about 1cm length were ensiled into a laboratory silo and incubated for one month at $25^{\circ}C$. The treatments were the combination of 0, 0.2 and 0.6% of urea and 0, 2 and 5% of molasses (fresh material basis) with or without LAB inoculation. After opening the silo, pH, organic acid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total nitrogen (TN) were determined. Addition of molasses significantly (p<0.01) lowered pH values in three experiments. Though molasses addition increased lactic acid production even at a higher level of urea, pH values at 0 and 2% molass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urea in fresh and wilted young silages, but in fresh mature silage it occurred only when molasses was not added. VBN/TN at 0.6% urea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by the highest molasses in three experiments. Significant increases in TN by the increasing of urea addition were observed at all levels of molasses in wilted young and fresh mature silages. In conclusion, a combination of 5% molasses and 0.6% urea could improve the nutritive and fermentation qualities of napiergrass silage under young, wilting and mature conditions.

신안산 손바닥선인장의 첨가비율 및 부위별에 따른 약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a Traditional Korean Beverage) after Addition of Different Tissues of Opuntia ficus indica from Shinan, Korea)

  • 조인경;허창기;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6-41
    • /
    • 2010
  • 손바닥선인장 약주의 pH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총산 함량은 증가 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2일에는 모든 시료구가 증가하였으나 발효 4일 경과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ethanol은 발효 2일째부터 함량이 급속히 증가하여 발효 6일 부터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고 발효 종료 시점인 14일에는 16.23~17.10%의 최대치를 나타냈다. 약주에서 확인된 유리당은 sucrose, maltose, fructose 및 glucose였고 주요 유리당은 glucose로 나타났으며 시료부위별로는 열매보다 줄기를 첨가해서 담금 한 약주에서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은 총 5종의 유기산이 확인되었고 주요 유기산은 lactic acid였으며 줄기보다 열매를 첨가해서 담금 한 약주에서 유기산 함량이 높았다. 손바닥선인장 약주의 향기성분은 총 16종의 물질이 동정되었고, 주요 향기성분으로는 iso-amyl alcohol, butyl alcohol 및 methyl ester로 나타났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열매보다 줄기를 첨가하여 담금 한 약주에서 항산화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열매와 줄기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산화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는 열매를 첨가하여 담금 한 약주의 경우 20% 첨가구가 우수하였고, 줄기를 첨가하여 담금 한 약주의 경우는 10%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시료 부위별 기호도는 줄기보다 열매로 담금 한 약주가 우수하였다.

마늘 첨가량을 달리한 김치의 숙성에 따른 변화 (Changes of Kimchis Contained Different Garlic Contents During Fermentation)

  • 이상금;신말식;전덕영;홍윤호;임현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8-74
    • /
    • 1989
  • 마늘의 함량을 달리하여 담근 김치를 $21^{\circ}C$에서 8일간 숙성시키면서 화학성분의 함량변화를 측정하였고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염도는 $1.8{\sim}2.0%$ 이었으며 적정 산도는 마늘의 양이 많을수록 빠르게 증가하였다. 아스코르브산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감소하였으며 마늘의 함량이 높은 김치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총 당함량은 김치 제조일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마늘 첨가량이 많을수록 총 당량은 높았으며 숙성이 진행되면서 $2.4{\sim}3.2g/100g$에서 $1.2{\sim}2.0g/100g$으로 점차 감소하였다. 숙성 적기까지의 당함량의 감소는 컸으나 숙성 3일 이후부터는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유리당 중 $48{\sim}97%$가 glucose이었으며 김치가 숙성되면서 glucose의 함량은 감소하였고 숙성 8일째에는 $0.8{\sim}1.1g/100g$이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은 lactic acid, 와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았고, fumaric acid, malonic acid, citric acid가 소량 존재하였다. 마늘 양이 증가할수록 lactic acid 양의 증가는 컸으나 succinic acid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는 마늘을 첨가하지 않는 김치가 모든 관능적인 면에서 유의적으로 나쁘게 평가되었으며 마늘을 2g이상 첨가한 김치가 유의적으로 좋게 평가되었다.

  • PDF

첨가당의 종류에 따른 감귤 가수분해물의 알코올발효 특성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in Citrus Hydrolysate by Different Kinds of Sugar)

  • 박찬우;우승미;장세영;최인욱;이상일;정용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73-77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감귤 가수분해물에 각각의 당(설탕, 꿀, 과당, 플락토올리고당)으로 보당하여 알코올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알코올 함량은 모든 보당구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주요 유리당으로는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다. 특히 설탕 보당구에서 fructose 및 glucose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감귤와인의 주요 유기산은 lactic, citric 및 malic acid로 총 3종이 검출되었다. 관능적 기호특성을 비교한 결과, 향은 설탕 보당구에서 5.1로 가장 높은 기호특성을 보였으나 시료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색, 맛 및 전반적 기호도는 설탕 보당구에서 가장 높은 기호특성을 보였고 꿀, 과당, 플락토올리고당 순이었다. 따라서 향후 숙성과정 및 복합당을 활용한 품질 및 관능적 기호도 향상에 관한 연구가 요구되었다.

The Effect of Oregano and Cinnamon Essential Oils on Fermentation Quality and Aerobic Stability of Field Pea Silages

  • Soycan-Onenc, Sibel;Koc, Fisun;Coskuntuna, Levent;Ozduven, M. Levent;Gumus, Tunca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9호
    • /
    • pp.1281-1287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ield pea silages which were the organic acid (OA) alternative of oregano and cinnamon essential oils on fermentation quality and aerobic stability. Whole crop pea was harvested at full pod stage and wilted in the laboratory at the 48 h. The chopped pea was mixed and divided into equal portions allocated to five groups: CON (non-treated), distilled water, denoted as control group; OA group, a mixture of 60% formic acid, 20% sodium formate and 20% water applied at a rate of 5 g/kg fresh forage (Silofarm Liquid, Farmavet); origanum (ORE) group, Origanum onites essential oil at 400 mg/kg fresh forage; cinnamon (CIN) group, cinnamon essential oil at 400 mg/kg fresh forage; origanum+cinnamon (ORECIN) group, a mixture of ORE and CIN applied at an equal rate of 400 mg/kg fresh forage. Cinnamon decreased acetic acid (AA), ammonia nitrogen ($NH_3-N$) and weight loss (WL) at the end of 60 days silage. Crude protein (CP) and dry matter (DM) increased by cinnamon essential oil. Yeasts were not detected in any treatments, including the control, after 7 days of air exposure. The $CO_2$ amount decreased and the formation mold was inhibited in the aerobic period by the addition of cinnamon oil. Oregano did not show a similar effect, but when it was used with cinnamon, it showed synergic effect on AA and during aerobic period, it showed antagonistic effect on mold formation and DM losses.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cinnamon can be an alternative to organic acids.

CCL 표면과 포토리지스트와의 접착력 향상 위한 Soft 에칭액의 제조 (Preparation of Soft Etchant to Improve Adhesion Strength between Photoresist and Copper Layer in Copper Clad Laminates)

  • 이수;문성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12-521
    • /
    • 2015
  • PCB 제조에서 photoresist와 Copper Clad Laminate(CCL)의 구리표면과의 부착력을 항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soft etching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과산화수소 사용을 배제하고, 유기산과 유기과산화물을 이용하여 산의 종류, 농도, 에칭시간 등에 따른 구리표면의 에칭속도, 표면 조도, 및 오염도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에칭 후의 표면의 얼룩을 제거하기 위한 안정제의 최적 배합 및 농도도 확립하였다. 본 연구 결과 유기산의 종류 중에서는 아세트산이 초기 구리 에칭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농도가 0.04 M이었을 때 $0.4{\mu}m/min$이였다. 유기과산화물인 APS의 농도는 높을수록 에칭속도가 가장 빨랐으나, 표면 오염이 심각하였다. 안정제 용액의 조성도 표면 오염도에 큰 영향을 주었다. 결과적 0.04 M 아세트산, 0.1M APS에 4 g/L의 안정제(ST-1)를 첨가한 에칭액의 경우 $0.37{\mu}m/min$의 에칭속도와 표면오염이 전혀 없으며, 표면 조도도 가장 우수하였다. 즉, CCL과 photoresist와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전해용 공유가교 SPEEK/HPA 복합막의 제조 및 물리화학적 특성 (The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valently Cross-Linked SPEEK/HPA Composite Membranes for Water Electrolysis)

  • 황용구;이광문;우제영;정장훈;문상봉;강안수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95-103
    • /
    • 2009
  • In order to improve the electrochemical, mechanical and electrocatalytic characteristics, engineering plastic of polyether ether ketone (PEEK) as polymer matrix was sulfonated (SPEEK) and the organic-inorganic blend composite membranes has been prepared by loading heteropoly acids (HPAs), including tungstophosphoric acid (TPA), molybdophosphoric acid (MoPA), and tungstosilicic acid (TSiA). And then these were covalently cross-linked (CL-SPEEK/HPA) as the electrolyte and MEA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electrolysis (PEME). As a result,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s of CL-SPEEK/HPA was established and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ion conductivity ($\sigma$) were in the order of magnitude: CL-SPEEK /TPA30 (${\sigma}=0.128\;S/cm^{-1}$) < /MoPA40 (${\sigma}=0.14\;S/cm^{-1})$ < /TSiA30 (${\sigma}=0.22\;S/cm^{-1}$) at $80^{\circ}C$,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ensile strength: CL-SPEEK /TSiA30 $\fallingdotseq$ /MoPA40 < /TPA30. Consequently, in regards of above characterisitics and oxidation durability, the CL-SPEEK/TPA30 exhibited a better performance in PEME than the others, but CL-SPEEK/MoPA40 showed the best electrocatalytic activity of cell voltage 1.71 V among the composite membranes. The dual effect of higher proton conductivity and electrocatalytic activity with the addition of HPAs, causes a synergy ef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