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 mixture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25초

지방산과 인지질 혼합 유가초박막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Ultra Thin Films of Fatty Acid and Phospholipid Mixture)

  • 박근호;최성현;손태철;송주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7-146
    • /
    • 2006
  • We investigate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for Langmuir-Blodgett (LB) films mixed with fatty acid (8A5H) and phospholipid (DLPE, DMPC, and DPPA). LB films of 8A5H monolayer and 8A5H-phospholipid mixture were deposited using the Langmuir-Blodgett method on the indium tin oxide(ITO) glass.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measured using cyclic voltammetry with three-electrode system, an Ag/AgCl reference electrode, a platinum wire counter electrode and LB film-coated ITO working electrode at various concentrations(0.1, 0.5, and 1.0 mol/L) of $NaClO_4$ solution. A measuring range was reduced from initial potential to -1350 mV, continuously oxidized to 1650 mV and measured to the initial point. The scan rate was 50, 100, 150 and 200 mV/s, respectively. As a result, LB films of fatty acid and phospholipid (8A5H/DLPE and DPPA) appeared irreversible process were caused by only the reduction current from the cyclic voltammogram and LB film of 8A5H-DMPC mixture was found to be caused by a reversible oxidation-reduction process.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by Organic Acid-Producing Lactobacillus brevis WiKim0069 Isolated from Kimchi

  • Seo, Hye Jeong;Park, Ae Ran;Kim, Seulbi;Yeon, Jehyeong;Yu, Nan Hee;Ha, Sanghyun;Chang, Ji Yoon;Park, Hae Woong;Kim, Jin-Cheol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6호
    • /
    • pp.662-673
    • /
    • 2019
  • Root-knot nematodes (RKNs) are among the most destructive plant-parasites worldwide, and RKN control has been attempted mainly using chemical nematicides. However, these chemical nematicides have negative effects on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us necessitating the search for eco-friendly alternative RKN control methods. Here, we screened nematicidal lactic acid bacteria (LAB) isolated from kimchi and evaluated their efficacy as biocontrol agents against RKNs. Of 237 bacterial strains, Lactobacillus brevis WiKim0069 showed the strongest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the second-stage juveniles (J2) of Meloidogyne incognita, M. arenaria, and M. hapla and inhibited the egg hatch of M. incognita. The culture filtrate of WiKim0069 had a pH of 4.2 and contained acetic acid (11,190 ㎍/ml), lactic acid (7,790 ㎍/ml), malic acid (470 ㎍/ml), and succinic acid (660 ㎍/ml). An artificial mixture of the four organic acids produced by WiKim0069 also induced 98% M. incognita J2 mortality at a concentration of 1.25%, indicating that its nematicidal activity was derived mainly from the four organic acids. Application of WiKim0069 culture filtrate suppressed the formation of galls and egg masses on tomato roots by M. incognita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 pot experiment. The fermentation broth of WiKim0069 also reduced gall formation on melon under field conditions, with a higher efficacy (62.8%) than that of fosthiazate (32.8%). This study is the first report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kimchi LAB against RKNs and to demonstrate that the organic acids produced by LAB can be used for the RKN management.

새싹채소 오염세균의 에탄올과 유기산에 의한 제어 (Bacterial Biocontrol of Sprouts through Ethanol and Organic Acids)

  • 조선경;박종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49-155
    • /
    • 2012
  • 즉석섭취 신선편이식품 중의 하나인 새싹채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오염 미생물 제어방법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대형할인마트에서 유통 중인 새싹채소 20제품을 수집하여 세균수와 B. cereus를 살균소독하는 방법으로 에탄올과 초산, 구연산, 젖산 등의 유기산을 사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에탄올과 유기산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보다 혼합처리한 실험구에서 세균생육저해가 현저하였으며, 유기산 중에서는 1% 젖산-20% 에탄올 처리구에서 10분 노출시간에 7~8 log CFU/g의 세균을 저감화 시킬 수가 있었다. 주요한 식중독 세균인 E. coli, S. typhimurium, B. cereus, S. aureus, E. faecalis에 직접 20% 에탄올-1% 젖산로 처리했을 때 10분 후에 세균의 감소가 5~7 log CFU/g 이루어졌으며, Gram 음성세균에서 효과가 더 좋았다. 새싹채소에서 에탄올 20%와 젖산, 초산, 구연산 1%를 처리한 후 관능검사는 처리 직후가 하루 후보다는 조직감, 갈변화, 이취 등에서 약간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차아염소산과 더불어 에탄올-젖산 등의 유기산의 적절한 조합으로 새싹채소의 오염 미생물을 저감화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유기복합체를 함유한 분리저감형 유동화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 (The Physical property of Segregation Reducing Type Flowing Concrete Containing The Organic Synthesis a Complex Type)

  • 박규록;유승엽;이상래;구자술;강석화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27-32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분리저감형 유동화제의 최적배합비를 결정하고, 이것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기산계와 유기합성복합체를 함유한 유동화제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KASS 5T-401의 품질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음식물쓰레기 이용 혐기 산발효에 의한 수소 및 유기산 생산: 축산폐수 첨가 효과 (Effect of Livestock Wastewater Addition on Hydrogen and Organic Acids Production Using Food Waste)

  • 장수진;김동훈;이모권;나정걸;김미선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199-205
    • /
    • 2015
  • Organic wastes such as food waste (FW), livestock wastewater (LW), and sewage sludge (SWS) can produce hydrogen ($H_2$) by anaerobic acid fermentation. Expecially, FW which has high carbohydrate content produces $H_2$ and short chain fatty acids by indigenous $H_2$ producing microorganisms without adding inoculum, however $H_2$ production rate (HPR) and yield have to be improved to use a commercially available technology. In this study, LW was mixed to FW in different ratios (on chemical oxygen demand (COD) basis) as an auxiliary substrate. The mixture of FW and LW was pretreated at pH 2 using 6 N HCl for 12 h and then fermented at $37^{\circ}C$ for 28 h. HPR of FW, 254 mL $H_2/L/h$, was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LW, however, mixing ratio of LW to FW was reversely related to HPR, exhibiting HPR of 737, 733, 599, and 389 mL $H_2/L/h$ at the ratio of FW:LW=10:1, 10:2, 10:3, and 10:4 on COD basis, respectively. Maximum HPR and $H_2$ production yield of 737 $H_2/L/h$ and 1.74 mol $H_2/mol$ hexoseadded were obtained respectively at the ratio of FW:LW=10:1. Butyrate was the main organic acid produced and propionate was not detected throughout the experiment.

포도갈반병에 대한 살균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ungicidal Control of the Crape leaf spot)

  • 김명오;김성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권
    • /
    • pp.7-9
    • /
    • 1964
  • 1. 포도갈반병의 방제에는 Fermate(72)구와 Fermate(36)구가 가장 효과가 좋았는데 Fermate(36)구는 약값이 적게 들고 과방에 오염이 적으므로 더 유리하다. 2. Fermate 다음으로 Bordeaux액도 유효했는데, Bordeaux액에 황산아연을 첨가한 구는 Bordeaux 액구보다 약값이 더 들었으나 약해는 적었다. 3. 유기수은제(phenol-p-sulfuric acid-mercuric acetate)구는 효과가 좋지 않았다.

  • PDF

김치즙액의 발효에 미치는 유기게르마늄, 올리고당 및 Starter의 영향 (Effect of Organic Gemanium, Oligosaccharide and Starters on Fermentation of Fresh Kimchi Juice)

  • Park, Seok-Kyu;Seo, Kwon-Il;Shon, Mi-Yae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514-520
    • /
    • 1999
  • 김치의 저장성과 기증성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로 서, 유기게르마늄(Ge-132)과 올리고당(프럭토)을 함유하는 배추김치의 생즙액에 3가지 젖산균으로 조합한 스타트를 첨가하여 3$0^{\circ}C$에서 발효시키면서, pH, 산도, $CO_2$생성량, 환원당 및 젖산균수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게르마늄 첨가구는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SNF-13 분리 젖산균주와 E. faecium의 혼합배양(I)에서 유기산과 $CO_2$생성량이 가장 적었으며, 스타트유래의 짖산균수 증식을 촉진시켰고, 환원당 소비량은 가장 많았다. 올리고당 첨가구는 4가지의 혼합배양에서 모두 각각의 대조구 및 게르마늄 첨가구보다 훨씬 유기산 및 $CO_2$생성량이 많았으며, 김치유래의 젖산균수 증식을 촉진시켰다. 유기게르마늄은 박테리오신을 생산하거나 게르마늄 저농도에서 생육이 촉진되는 내산성의 유산균과 혼합병용하면, 김치의 기능성 증진(저장성, 생리활성)의 미네랄로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밀가루 누룩으로 담금한 탁주 술덧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 박창숙;이택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96-302
    • /
    • 2002
  • 통밀과 파쇄밀로 만든 누룩을 대조구로 하고, 밀가루를 이용하여 만든 재래식의 밀가루 누룩, 밀가루와 쌀의 혼용 누룩 및 Aspergillus oryzae의 누룩으로 각각 탁주를 담금하여 발효 과정 중의 품질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에탄올 함량은 발효 14일에 $10.6{\sim}17.4%$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대조구, 밀가루 누룩구, Aspergillus oryzae 누룩구, 쌀 혼용구의 순으로 높았다. pH는 시험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총산은 재래식 밀가루 누룩구에서 높았다. 총당은 담금일에 $16.22{\sim}17.74%$로 가장 높았으나 14일에 $4.28{\sim}6.10%$로 현저히 감소되었다. 발효초기에 Aspergillus oryzae구에서 높았으나 이후는 총당의 차이가 없는 편이었다. 유리당중 glucose는 담금일에 $2,735{\sim}7,842\;mg%$로 월등히 높았으나 이후 현저히 감소하였다. 유리당 총량은 대조구와 재래식 밀가루 누룩구에서 높았다. 유리당 총량은 대조구에서 $690{\sim}2,241\;mg%$로, lactic acid+succinic acid는 쌀 혼용구에서 $183{\sim}1,293\;mg%$로 각각 높았고, 확인된 6종의 유기산중 lactic acid+succinic acid가 탁주에서 가장 함량이 많았다.

유기산 및 포도당 혼합배지에서 Azotobacter vinelandii UWD의 생장 및 생분해성 고분자 생산에 대한 질소원의 영향 (Effect of Nitrogen Source on the Growth of Azotobacter vinelandii UWD and Production of Biodegradable Plastics in the Mixture of Organic Acids and Glucose)

  • 박창호
    • KSBB Journal
    • /
    • 제13권5호
    • /
    • pp.626-630
    • /
    • 1998
  • Ammonium limitation did not promote ply(3-hydroxybutyrate-co-3-hydroxyvalerate) (PHBV) production of Azotobacter vinelandii UWD. In acid phase, ammonium limitation during utilization of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led to 35% decrease in product yield. In glucose phase, both biomass yield and polymer yield decreased about 22% under ammonium limitation. However, in nitrogen-fixing culture glucose was consumed 25% faster and the final PHBV wt% decreased slightly. Under nitrogen limitation a portion of the carbon sources was used fro nitrogen fixation rather than biomass and polymer formation, resulting in a decrease in biomass yield and polymer yield.

  • PDF

호소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정수장의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 및 제어 방안 (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Disinfection Byproducts in a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Using Lake Water)

  • 이기창;제갈봉창;최일환;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69-276
    • /
    • 2015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지역에서 호소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한 정수장의 원수 및 공정별 처리수의 자연유기물질(NOM) 및 소독부산물(DBPs) 생성특성을 조사하고 정수공정내 DBPs 제어방안을 제시하였다.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FEEM) 분석결과 원수의 NOM은 토양과 미생물의 복합기원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NOM의 분자량크기 및 분획제거 특성은 liquid chromatography-organic carbon detector (LC-OC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체로 휴믹물질과 저분자량 유기물질 분획이 많았고, 고분자량물질은 저분자량물질보다 응집 침전공정에서 제거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염소주입 후 정수공정별로 진행될수록 반응시간이 길어져 DBPs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생성된 DBPs는 일반적인 정수처리로 제거되지 않았다. THMs은 chloroform이 74%로 주종을 이루었으며 bromodichloromethane (22%)와 dibromochloromethane (4%)도 발생했다. HAAs는 dichloroacetic acid (50%)와 trichloroacetic acid (48%)가 주종을 이루었고 dibromoacetic acid (2%) 등 브롬계열은 농도가 낮거나 발생되지 않았다. HANs은 dichloroacetonitrile (60%), bromochloroacetonitrile (30%), dibromoacetonitrile (10%)이 발생되었다. 실험기간 동안 해당 정수장에서 DBPs 발생은 용존유기물농도와 수온보다 전염소주입농도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염소주입농도의 조절로 DBPs 생성농도를 이전에 비해 16~44% 감소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