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Vegetables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32초

혼합과채쥬스 특성에 미치는 여러 인자의 영향 (Effect of Several Factors on the Characteristics of Six-Vegetable and Fruit Juice)

  • 이규희;최희숙;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39-444
    • /
    • 1995
  • Preparative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ix-vegetable and fruit juice were studied for the effects of mixing ratio, heat treatment and addition of sugar, salt and organic acid. The vegetables and fruit used were carrot(Ct), cabbage(Cg), pear(Pr), cucumber(Cr), celery(Cy) and dongchimi(Di). From the sensory results of mixing ratio of three of binary mixtures of Cg-Pr(1:3):Ct-Di(1:4):Cr-Cy(3:1), two ratios of 5.0:2.5:2.5(V-6A) and 6.0:2.0:2.0(V-6B) were suggested optimal for six-vegetable and fruit juice. Addition of 2% sucrose and 0.3% NaCl improved the preference significantly. The pH 4.0 for V-6A and pH 3.5 for V-6B were more prefered when pH was adjusted by citric acid. Heating the juice at $100^{\circ}C$ for 100 minutes slightly decreased pH and increased the acidity. Total solids and viscosity were also decreased by heating. All of those changes were more significant in V-6B than V-6A, probably due to lower pH. Heating the juice resulted in a slight decrease in L value and an increase in a and b values. Heating at $100^{\circ}C$ caused an increase in moldy flavor and a decrease in fresh vegetable flavor while heating at $80^{\circ}C$ for 20 minutes changed them little.

  • PDF

경기 및 인천지역 영양(교)사의 당류 저감화 인식과 첨가당 사용실태 (Perception of Sugar Reduction and Added Sugar Use among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in Gyeonggi and Incheon)

  • 김혜지;최미경;김명희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4권1호
    • /
    • pp.62-7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perception of sugar reduction and usage of sugars in school meal service. A survey was conducted for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 and Incheon. Survey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xperience period and school types of dietitians or nutrition teachers. The numbers of subjects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period were 134 (44.2%) for <5 years, 68 (22.4%) for ${\geq}5$ and <10 years, and 101 (33.3%) for ${\geq}10years$. Among the subjects, 168 (55.4%) were nutrition teachers at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and 135 (44.6%) were at middle/high/special schools. Perceptions of sugar reduction programs were higher in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than in middle/high/special schools. The perception of added sugar use increased with more work experience, and interest in sugar reduction was higher in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than in middle/high/special schools. Practice for added sugar reduction increased with more work experience, and the most common method for reducing sugar was use of natural sugars. The main reason for not reducing added sugars in school meals was due to preference. Nutri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increased with more work experience and was higher in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than in middle/high/special schools. The major nutritional education methods were using school homepage (37.4%), sending family letters (37.4%), and using principle's discretion time (18.4%). Organic sugar and rice taffy were used more at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s, and white sugar, brown sugar, and white syrup were used more at middle/high/special schools. The most common menu using added sugars was stir-fried dishes (stir-fried pork, chicken, and vegetables).

삼중수소 사고유출로 인한 농작물 오염 평가 모델 (Model for assessing the contamination of agricultural plants by accidentally released tritium)

  • 금동권;이한수;강희석;최용호;이창우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0권1호
    • /
    • pp.45-54
    • /
    • 2005
  • 원자력시설로부터 삼중수소 사고 누출시 시설 주변 농작물의 삼중수소 오염 평가를 위한 동적격실모델 ECOREA-H3를 개발하였다. 모델의 격실은 크게 대기, 토양, 농작물로 구성되며 농작물은 엽채류 곡물류, 근군류의 3개 소그룹으로 분류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모델링하였다. 벼에 대한 삼중수소 피폭실험 해석을 통해 모델의 예측 정확도가 조사되었다. 모델링 결과 추수시 벼이삭의 TFWT 농도는 입력데이터 중 공기의 절대습도, 뿌리흡수비 강우량에 OBT 농도는 공기의 절대습도, 이삭의 성장기간, 유기물의 수소함량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이삭 OBT 농도에 대한 모델 계산과 실험 측정값은 잘 일치하였다.

Agricultural Methods for Toxicity Alleviation in Metal Contaminated Soils: A Review

  • Arunakumara, Kkiu;Walpola, Buddhi Charana;Yoon, Min-H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73-80
    • /
    • 2013
  • Due to the fact that possible risk associated with soil-crop-food chain transfer, metal contamination in croplands has become a major topic of wide concern. Accumulation of toxic metals in edible parts of crops grown in contaminated soils has been reported from number of crops including rice, soybean, wheat, maize, and vegetables.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food safety, measures are needed to be taken in mitigating metal pollution and subsequent uptake by crop plants. Present paper critically reviewed some of the cost effective remediation techniques used in minimizing metal uptake by crops grown in contaminated soils. Liming with different materials such as limestone ($CaCO_3$), burnt lime (CaO), slaked lime [$Ca(OH)_2$], dolomite [$CaMg(CO_3)_2$], and slag ($CaSiO_3$) has been widely used because they could elevate soil pH rendering metals less-bioavailable for plant uptake. Zn fertilization, use of organic amendments, crop rotation and water management are among the other techniques successfully employed in reducing metal uptake by crop plants. However, irrespectively the mitigating measure used, heterogeneous accumulation of metals in different crop species is often reported. The inconsistency might be attributed to the genetic makeup of the crops for selective uptake,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osition of edible parts on the plants in respect of their distance from roots, crop management practices, the season and to the soil characteristics. However, a sound conclusion in this regard can only be made when more scientific evidence is available on case-specific researches, in particular from long-term field trials which included risks and benefits analysis also for various remediation practices.

A Review of the Health Benefits of Kimchi Functional Compounds and Metabolites

  • Hyun Ju Kim;Min Sung Kwon;Hyelyeon Hwang;Ha-Sun Choi;WooJe Lee;Sang-Pil Choi;Haeun Jo;Sung Wook Hong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53-373
    • /
    • 2023
  • Kimchi is a traditional Korean dish made with salted fermented vegetables and contains various nutrients and functional substances with potential health benefits. The fermentation process used to make kimchi creates chemical changes in the food, developing nutrients and functional substances that are more easily absorbed and enhanced by the body.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several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exhibit probiotic properties and have several health benefiting properties such as such as anticancer, anti-obesity, and anti-constipation; they also promote colon health and cholesterol reduction in in vitro and in vivo experiments, as well as in epidemiological cohort studies. Kimchi contains prebiotics, non-digestible fibers that nourish beneficial gut bacteria; therefore, its intake effectively provides both probiotics and prebiotics for improved gut health and a fortified gut-derived immune system. Furthermore, fermentation of kimchi produces a variety of metabolites that enhance its functionality. These metabolites include organic acids, enzymes, vitamins, bioactive compounds, bacteriocins, exopolysaccharides, and γ-aminobutyric acid. These diverse health-promoting metabolites are not readily obtainable from single food sources, positioning kimchi as a valuable dietary option for acquiring these essential components. In this review, the health functionalities of kimchi ingredients,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and health-promoting metabolites from kimchi are discussed for their properties and roles in kimchi fermentation. In conclusion, consuming kimchi can be beneficial for health. We highlight the benefits of kimchi consumption and establish a rationale for including kimchi in a balanced, healthy diet.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산발효조의 효율 향상 연구(II) : 희석율 변화의 효과 (Enhanced acidogenic fermentation of food waste (II) : Effect of controlling dilution rate)

  • 신항식;한선기;송영채;이채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8권3호
    • /
    • pp.118-123
    • /
    • 2000
  • 음식물쓰레기는 함수율과 휘발성 유기물질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수거, 운반 및 매립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의 산발효는 pH, 체류시간 등과 같은 환경조건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데, 음식물쓰레기의 각 구성성분은 각기 다른 환경조건에서 분해가 진행된다. 전분, 셀룰로우스 및 단백질은 각각 최적의 pH 및 체류시간을 가지고 있어, 전분의 경우는 낮은 pH에서 셀룰로우스는 체류시간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단백질은 체류시간의 증가 및 중성 pH에 접근할수록 그 분해가 증가한다. 이러한 사실은 산발효의 환경조건을 조절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분해가 향상될 수 있음을 말하여 준다. 산발효 단계에 따라 희석율의 값을 3.0에서 $1.0d^{-1}$로 조절한 경우, 산발효 효율은 71.2%에서 81.1%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때 주된 산발효 산물은 뷰틸산에서 초산으로 점차 변화하였는데, 이것은 산발효의 효율향상이 야채류와 육류의 분해 증가에 기인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 PDF

저장방법에 따른 절임 가지(시키부품종)의 성분 변화 (Changes on the Components of Salted Eggplants during Storage)

  • 남학식;김남우;엄영철;신승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93-298
    • /
    • 2004
  • 본 연구는 일본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시키부 품종의가지에 대하여 반응표면 분석을 통하여 최적조건으로 염절임 한 후 저장기간 및 저장방법에 따른 품질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연구하였다. 시키부 품종의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침지저장한 것에 비해 진공포장한 것의 변화가 적었다. 유기산은 acet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저장기간이길어질수록 acet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는데 반해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주요한 구성아미노산은 valine, leucine,aspartic acid, glutamic acid 이었으며 진공포장한 것의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다가 증가하였으나 침지한 것은 저장기간 동안 계속 증가하여 저장 20일째에는 진공포장한 방법보다 100 mg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acid, alanine, cystine과 Uol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방법에서 증가하였는데 특히, 침지 저장한 가지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는phosphoserine, taurine, Y-aminoisobufric acid 및 hydroxypmline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 중에 phosphoserine의 함량은 감소하였는데반해 Y-aminoisobutric acid는 진공포장하여 20일 동안 저장하였더니 생가지에 비해 5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축양품종 염절임 가지의 저장중의 성분 변화 (Changes in Components of Salted Eggplants (Chukyang) during Storage)

  • 남학식;김남우;신승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0-125
    • /
    • 2005
  • 본 연구는 수출용으로 재배되고 있는 축양 품종의 가지에 대하여 반응표면 분석을 통하여 최적조건으로 염절임한 축양 품종의 가지를 저장기간 및 저장방법에 따른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총당 함량과 환원당 함량은 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조금씩 감소하였고, 침지 저장한 것보다는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것이 변화가 적었다. 신선한 가지에서 분리 정량된 유기산은 acetic acid, citric acid, lactic acid, malic acid 그리고 succinic acid 총 5종이었으며 acetic acid와 mal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 초기에 비해 acet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반해 mal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가지의 주요한 구성아미노산은 val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등이었으며, 총아미노산 함량은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경우에는 저장 20일째 1488.14 mg/100 g으로 생 가지보다도 증가하였는데 반해 침지하여 저장한 경우에는 총 아미노산 함량이 745.42 mg/100 g으로서 저장 초기에 비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alanine, cystine과 prol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장초기에 비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진공 포장하여 저장한 가지에 비해 침지 저장한 가지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또한 아미노산 유도체의 함량주 phosphoserine, taurine, ${\gamma}$ -arnjnoisobutyric acid 및 hydroxyproline의 함량이 높았고, 저장중에 phosphoserine의 함량은 감소하였는데 반해 ${\gamma}$ -arnjnoisobutyric acid는 증가하였다.

주요(主要) 노지채소(露地菜蔬) 주산지(主産地)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Soil Chemical Properties of Major Vegetable Producing Open Fields)

  • 황기성;이성재;곽용호;김기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6-151
    • /
    • 1997
  • 주요(主要) 채소류(菜蔬類) 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밝히고, 화학성분 함량의 변동양상(變動樣相)을 파악하여 토양개량(土壤改良) 및 시비량(施肥量) 기준설정(基準設定)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고추, 마늘, 양파, 수박, 무, 배추, 감자 등의 주산단지(主産團地)에서 작물별로 30개 포장(圃場)(합계(合計) 210개 포장(圃場))을 선정(選定)하여 토양화학성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노지채소(露地菜蔬) 재배지 토양의 양분함량은 대체적(大體的)으로 채소류 재배에 적합(適合)하나 성분별(成分別)로 구분(區分)하여 보면 pH와 유기물(有機物), 고토(苦土)등은 밭토양 개량목표에 미달(未達)되고 있으나 인산과 가리는 개량목표를 상회(上廻)하였다. 2. 채소류 재배지 토양의 양분함량(養分含量)을 작물별로 구분(區分)하여 보면 마늘>감자>배추>양파>고추>무>수박 재배지 순(順)으로 높았다. 3. 채소류 재배지 토양의 미량원소(微量元素) 함량(含量)은 Fe 71~89, Mn 38~40, Cu 1.4~1.6, Zn 2.2~3.0 mg/kg 범위(範圍) 이었다. 4. 밭토양의 화학성분 분포비율(分布比率)을 보면 pH는 5.0 이하가 41%인 반면(反面) 유효인산과 치환성 칼리 및 석회는 각각(各各) 73, 47, 63%가 밭토양 개량목표(改良目標)를 상회(上廻)하고 있다.

  • PDF

Beauveria bassiana 배양여액 분획추출물의 진딧물 살충활성 (Aphicidal Activity of Different Fraction Extracts of Culture Filtrate of Beauveria bassiana Isolate against Aphids)

  • 정가영;한지희;김정준;이상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3-124
    • /
    • 2017
  • 목화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은 채소를 포함한 다양한 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이들 해충의 친환경 방제를 위해 진딧물에 병원성이 높은 곰팡이(B. bassiana) 유래 대사물질을 이용한 방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균주의 배양여액의 살충율은 목화진딧물에 처리 3일 후 100%, 복숭아혹진딧물에 처리 5일 후 99%였다. 이 추출물을 $CHCl_3$ : MeOH 비율을 달리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한 결과, 50:1 ($CHCl_3$ : MeOH)의 추출물 분획의 살충률이 목화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에 각 80%와 75.4%로 다른 분획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또 각 용매비율별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처리한 결과, 분획 추출물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며 두 진딧물에 모두 50:1 ($CHCl_3$ : MeOH) 단독처리에서 살충률(목화진딧물 77.3%, 복숭아혹진딧물 76.4%)이 가장 높았으며 50:1 + 70:1이 두 번째로 높았다(목화진딧물 72%, 복숭아혹진딧물 70.2%). 앞으로 안정적인 진딧물 방제를 위해 50:1 분획 추출물 내 진딧물 살충성 물질을 분리 동정 및 대량생산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