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4초

칼륨 시용에 따른 목초중 마그네슘함량의 계절변화 (Response of Magnesium Content of Forages to potassium Application in grassland)

  • Sangdeog A. Kim;Shigekata Yoshida;Mitsuaki Ohshima;Ryosei Kayama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5-111
    • /
    • 1993
  • 봄철에 자라는 목초를 다른 계절의 목초와 비교하면 어떤 특성이 있는지, 또 그 시기의 칼룸질 비료의 시용이 목초의 수분 또는 마그네슘 함량에 어떤 영향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오차드그라스 (Dacctylis glomerala L.) 채초지에서 시험했는데, 그 결과는 칼륨 시용에 따른 무기질과 수분함량에 계절차이가 뚜렷하다는 것이었다 본 시험에서 봄철 (4월)에 생육하는 목초의 무기질함량은 다른 계절보다 큰 변화를 나타냈으며, 칼륨함량은 높고 마그네슘함량은 가장 낮았다. 또한 봄찰 목초의 수분함량은 높았으며, 칼륨 시용에 의해 민감한 변화를 보였다.

  • PDF

도로비탈면의 환경인자를 고려한 식생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vegetation Structural Analysis for Environment Factor of Road Slope)

  • 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20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1999 to report the revegetation of cutting-rock slopes and a design standard in the highway cut-slopes. The field data was collected from the 67 sites cutting-rock slopes of highways, local roads, and field test. As the result of analyze, cutting-rock slopes revegetation measures were 16 types. There were Vine planting(3 types), Hydroseeding measures with seed-fertilizer-soil materials(5 types), Vegetaion-base spraying measures(5 types), and Stability measures(3 types). The factors affecting the plant coverage rates of cutting-rock slopes were the slope gradient, the slope width and direction. The plant coverage rate decreases in the condition of steep slope and long slope width and length(height). In addition, the plant coverage rates of the westward and southward were lower than that of the northward and eastward. Most dominant species were Zoysia japonica, Lespedeza cyrtobotrya, Lespedeza cuneata, Rubus crataegifolius, Miscanthus sinensis, Arrundinella hirta, Themeda triandra, and Oenothera odorata. Exotic species were Eragrostis curvula(Weeping lovegrass), Dactylis glomerata Orchardgrass), Lolium perenne(Perennial ryegrass), and Festuca arundinacea(Tall fescue). It is recommended to adjust the proposed factor as environment, topsoil, classification of rock, field condition and characteristic related with revegetation measures on slopes for the presentation of revegetation standard.

Methane Emission, Nutrient Digestibility, Energy Metabolism and Blood Metabolites in Dairy Cows Fed Silages with and without Galacto-oligosaccharides Supplementation

  • Santoso, B.;Kume, S.;Nonaka, K.;Kimura, K.;Mizukoshi, H.;Gamo, Y.;Takahashi,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534-540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galacto-oligosaccharides (GOS) on methane emission, nutrient digestibility, energy utilization and blood metabolites by Holstein cows fed silages. In two sequential digestion and respiratory trials, two non-lactating Holstein cows were arranged to a balanced incomplete block design. Experimental diets consisted of two silage types;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based silage (OS), mixed silage (orchardgrass based silage and alfalfa (Medicago sativa L.) silage) (MS), while two GOS levels were without supplementation (0) and 2% of dry matter intake supplementation (2). Four combination diets were OS-0, OS-2, MS-0 and MS-2. Significant effects of silage types and GOS supplementation levels were not observed for DM and OM intake. Whereas the digestibility of OM, NDF and ADF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ows fed OS with and without GOS compared cows fed MS diets. As percentage of GE intake, fecal energy loss for OS diets was significantly (p<0.05) declined than for MS diets. In contrast, cows fed MS diets had lower (p<0.05) urine energy loss as a proportion of GE intake compared to OS diets. Energy loss as CH4 and heat production was numerically increased when cows fed both OS and MS with GOS supplementation. Compared to OS, CH4 emission in cows fed MS was numerically decreased by 10.8 %. Methane conversion ratio (energy loss as CH4 per unit of GE intake) for OS-0, OS-2, MS-0 and MS-2 were 7.1, 7.2, 6.8 and 7.0, respectively. Plasma of glucose and urea-N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p<0.05) elevated from 1 h to 6 h after feeding, otherwise total protein in plasma was declined (p<0.01) at 6 after feeding.

목초의 임간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ultuer of Cool-Season Grasses in Forest)

  • 이종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3-36
    • /
    • 1985
  • 牧場에 林間栽培함에 있어서 閉度의 多少가 牧草의 生育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코자 리기데타 人工造林地의 閉度를 0(露光區), 25, 50, 75%로 調節하여 Orchard grass를 栽培하였던 바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林地內의 Orchard grass의 葉面積은 各 刈取時期 모두 閉度 25, 0, 50, 75%區의 順位이며 特히 閉度 25%區는 0%區에 비하여 有意的인 增加傾向 이었다. 2. Orchard grass의 草長은 閉度가 높을수록 伸長하는 傾向이나 閉度 0%區와 25%區 間에는 差異를 認定할 수 없었다. 3 閉度의 差異에 따른 草長과 葉面積의 關係는 負의 利關關係를 나타내었다. 4. 林地內의 Orchard grass 年間 總 乾物收量은 페도 25%구가 露光區 에 비하여 有意的인 增收效果가 있었으며 50%區는 露光區에 비하여 약간 減少하는 傾向을 나타내었으나 統計的인 有意性은 認定되지 않았다. 그러나 閉度 75%區는 露光區에 비하여 有意的인 減收를 나타내었다.

  • PDF

월동전후 초지관리에 관한 연구 VII. Orchargrass 채초지에서 이른 봄 질소시비시기와 질소비종이 목초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Grassland Management in Late-Autumn and Early-Spring VII. Effect of N application time and N fertilizer kind in early spring on grass growth, yield and nutritive value in orchardgrass meadow.)

  • 송기웅;서성;김재규;조한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26
    • /
    • 1990
  • This field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itrogen(N) application time (March 30, April 9 and April 19) and N fertilizer kind (urea and ammonium sulfate) in early spring on the grass growth, dry matter (DM) yield, crude protein (CP) content, CP yield (CPY), acid detergent fiber (ADF) content, DM digestibility (DMD) and N recovery in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meadow for soiling, 1989. The amount of N applied in early spring was 70 kg $ha^{-1}$, and non-fertilized plot was involved as control. In all fertilized plots the growth, DM yield, CP, CPY and regrowth yield of grass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The best grass growth and DM yield were observed on March 30, and the best CP, CPY and N recovery were observed on April 9 among all fertilized plots. Also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rea and ammonium sulfate fertilizer in grass growth, DM yield, CP, CPY, ADF, DMD and N recovery. In Suwon area, therefore, the optimum time of N application for soiling in early spring may be recommended early April, regardless of fertilizer kind of N.

  • PDF

예취빈도에 따른 무기태 질소시비가 초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I. 오차드 그라스의 건물수량과 적정 질소시비 수준의 추정 (The Effect of Minaral Nitrogen Fertilization on Grassland Production under Various Cutting Frequencies I. Dry matter yield and estimation of optimum rate of mineral nitrogen fertilization in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

  • 조익환;이주삼;안종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69-75
    • /
    • 1994
  • This experiment was canied out to study the effect of cutting frequencies (3, 4 and 5 cuts per year) and mineral nitrogen fertilization on dry matter yields, in order to estimate optimum level of fertilizing mineral nitrogen in orchardgrass(Dacry1is glomerafa 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Dry matter yields were the highest in the 1st cut at 3 cutting frequency and in the 2nd cut at 4 and 5 cutting frequencies, and they shared 49.7, 37.0 and 37.0% of annual dry matter yield respectively. 2. When only phosphorus and potassium were applied, annual dry matter yields were between 9.4 and 11.5 tons per ha and the highest yield was observed at 3 cutting frequency. 3. Dry matter yield in relation to fertilization of mineral nitrogen was highly increased when more nitrogen was applied as 360 kg per ha compared to 240 kg per ha at 3 cutting frequency. At 4 and 5 cutting frequencies, increases in dry matter yield, to large extent, were showed at 120 and 150 kg of nitrogen per ha(30 kg Nlcutlha) compared to no application of nitrogen. The efficiencies of mineral nitrogen fertilization (kg DM/kg N) were 28.0, 22.7 and 20.6 kg dry matter yields per nitrogen(kg) respectively). 4. At 4 and 5 cutting frequencies, dry matter yields were reduced when 360 kg and 300 kg of mineral nitrogen per ha(90 kg and 60 kg Nlcutlha) were applied respectively. 5. Particularly at 4 and 5 cutting frequencies of this study, maximum marginal yields reached at 129.9 kg and 148.0 kg of fertilizing mineral nitrogen per ha, and economical borden of mineral nitrogen fertilization were between 222.4 and 250.0 kg and between 244.8 and 276.8 kg respectively. At the same cutting frequencies, the highest dry matter yields were obtained at 365.4 and 433.8 kg of fertilizing mineral nitrogen respectively.

  • PDF

액상우분뇨의 시용시기와 희석이 오차드그라스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Times and Dilution of Cattle Slurry with Water on Dry Mattter Yield and Feed Values of Orchardgrass(Dactylis glomerata L.))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11-425
    • /
    • 2004
  • The aim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pplying times and dilution rates of cattle slurry with water on dry matter yields and feed values of orchard grass. Cattle slurry was applied at the rates of average nitrogen fertilizer equivalent to 150kg/ha/year in 3 cutting frequency. Significantly higher dry matter yields than that of no fertilization (7.36 ton DM/ha) were recorded in the application of diluted cattle slurry (10.74~13.54 ton DM/ha) (p<0.05). Especially, this tendency was shown with higher annual dry matter yields at the partitioned dressing times, such as at the applications for 1st and 3rd growth, 2nd and 3rd growth, and 1st, 2nd and 3rd growth respectively. The yields of annual dry matter at fertilizing phosphorus, potassium and nitrogen were higher than no fertilization as 12.42 tons per ha. However, with application of diluted cattle slurry, dry matter yields per year (11.96 ton DM/h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ertilizing phosphorus and potassium (7.52 ton DM/ha) (p<0.05). The efficiencies of dry matter production with mineral and cattle slurry nitrogen application (kg DM/kg N) were 32.7 and 13.4~26.9kg DM/kg N respectively. Especially, these tendencies were higher in diluted application plots than in no-diluted application plots of cattle slurry.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P, %), neutral detergent Eber (NDF, %), acid detergent fiber (ADF, %), annual yields of CP (kg/ha)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Y, kg/ha) of orchardgras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the application of diluted cattle Slurry than those at non-fertilizer application (p<0.05).

  • PDF

음식쓰레기 퇴비와 무기태 질소의 시용수준이 Orchardgrass의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d Waste Compost and Mineral Nitrogen Application Level on Dry Matter Yield of Orchardgrass(Dactylis glomelata L.))

  • 이주삼;조익환;장기운
    • 유기물자원화
    • /
    • 제6권2호
    • /
    • pp.81-93
    • /
    • 1998
  • 음식물쓰레기 퇴비와 무기태 질소의 시용이 연간 3회 예취하는 orchardgrass 초지의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퇴비와 무기태 질소의 적정 사용수준을 추정하고, 퇴비시용에 의한 토양개량효과를 평가하였다. 음식물쓰레기 퇴비는 연간 0, 10, 20, 40, $60ton\;ha^{-1}$의 5수준, 그리고 무기태 질소는 0, 90, 180, $270kg\;ha^{-1}$의 4수준으로 시용하였다. Orchardgrass의 연간 건물수량은 무기태질소 $180{\sim}270kg\;ha^{-1}$ 준에서 $8.92{\sim}9.70ton\;ha^{-1}$을 나타내어 다른 시용수준보다 건물수량이 많았다. 무기태 질소시용구에서 예취번초의 상대수량은 1번초가 32.0%, 2번초가 49.2%, 3번초가 18.8%였다. Orchardgrass의 연간 건물수량은 퇴비 $20{\sim}60ton\;ha^{-1}$ 수준에서 $8.04{\sim}8.90ton\;ha^{-1}$을 나타내어 유의하게 많았다. 무기태 질소의 건물생산효율은 $90kg\;ha^{-1}$ 수준에서 21.2 kg, $180kg\;ha^{-1}$ 수준에서 19.0 kg, $270kg\;ha^{-1}$ 수준에서 15.6 kg을 나타내었다. 퇴비의 건물생산효율은 $20ton\;ha^{-1}\;yr^{-1}$ 수준에서 가장 높은 71 kg을 나타내었다. 퇴비 $40ton\;ha^{-1}$ 수준에 무기태 질소 $90{\sim}180kg\;ha^{-1}$을 시용하였을 때의 건물생산효율은 20.2~27.6 kg의 높은 건물생산효율의 범위를 나타내어 무기태 질소가 음식쓰레기 퇴비의 무기화를 촉진하였다고 생각된다. 무기태 질소의 한계시용수준은 $358.5kg\;ha^{-1}$이었고, 최대건물수량은 $9.98ton\;ha^{-1}$이었다. 또한 퇴비의 한계시용수준은 $49.3ton\;ha^{-1}$이었고, 최대건물수량은 $9.12ton\;ha^{-1}$으로 추정되었다. Orchardgrass의 건물수량은 얻기위한 퇴비의 적정 시용수준은 연간 $20{\sim}49.3ton\;ha^{-1}$의 범위였고, 무기태 질소의 적정 시용수준은 $180{\sim}358.5kg\;ha^{-1}$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퇴비시용에 의하여 토양개량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오차드그래스(Dactylis glomerata L.)의 품종에 따른 종자유래의 캘러스 형성률과, 캘러스 크기 및 식물체 재분화 효율의 비교 (Comparison of Callus Formation Ratios from Seed Explants, Callus Sizes and Regeneration Efficiency Among Several O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Varieties)

  • 배은경;이인애;김기용;이병현;손대영;이효신;정민섭;조진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3-100
    • /
    • 2002
  • 국내에 도입된 오차드그래스 27 품종과 국내 합성 품종인 Hapsung 2호의 종자로부터의 캘러스 형성율, 형성된 캘러스의 크기, 캘러스로부터의 재분화율 및 재분화 효율을 4주령 및 6주령의 캘러스에 대하여 얻은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4주령의 캘러스에 대한 종자로부터 캘러스의 형성율은 치상 종자의 50% 이상이 캘러스를 형성한 형성율 상위 품종들은 93M > Sparta > Pizza> Condor > Lidaglo > Glorus >Hapsung2 > Frode의 순이었다. 2. 4주령 캘러스의 크기를 직경(cm)으로 표시하였을 때, 최저 0.43cm, 최고 -4.2cm로서 약 10 배의 직경크기의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은 2.5cm와 4cm의 범위 내에 있었다. 3. 4주령 캘러스로부터의 재분화는 0~36%의 꽤 넓은 범위의 차이를 보였고, 재분화율은 Plano > 아끼미도리> Justus > Lidacta > Currie > Hall mark의 순으로 높았다. 4. 종자로부터의 재분화율을 계산한 재분화 효율의 범위는 0~l7.4%였으며 그 중 Justus가 17.4%로서 비교품종들 가장 높았다. 5. 캘러스 형성율과 캘러스 크기 사이에는 r=0.5765의 상관 관계가 있었고, 캘러스 형성율과 재분화 효율 사이에는 r=0.6365, 캘러스 크기와 재분화 효율 사이에는 r=0.6246였으며, 이 값들은 모두 1%의 높은 유의성이 있었다. 6. 6주령의 캘러스에 대한 종자로부터의 캘러스 형성율은 Condor > Sparta > 93M > Justus > Potomac > Lidaglo > Frode의 순이었다. 7. 6주령 캘러스의 크기는 1.2~5.7cm로서 품종간에 가장 큰 것과 가장 작은 것 사이에 약 5배의 크기 차이를 보였고, 대조품종인 Hap-sung 2호는 직경이 3.8cm로서 비교품종들 사이에서 다소 큰 편이었다. 8. 6주령의 캘러스의 재분화율은 0%에서 100%까지 큰 편차를 보였는데, Plano가 100%의 재분화율을 보여 치상한 종자가 모두가 캘러스 형성이 된 반면 Juno는 전혀 캘러스화 되지 않았다. 9. 종자로부터 캘러스를 거쳐 재분화되는 재분화 효율의 범위는 0~28%로서 4주령의 범위보다 더 커졌으며 전체적으로 4주령의 재분화 효율보다 6주령의 재분화 효율이 더 높아졌다. 특히 Potomac의 경우 4주령에 비하여 6주령의 것이 3배 이상 재분화 효율이 높아졌다. 10. 6주령의 캘러스 형성율과 캘러스 크기사이에는 r=0.8369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캘러스 형성율과 재분화 효율 사이에는 r=0.6683, 캘러스 크기와 재분화 효율 사이에는 r=0.5937였으며, 이 값들은 모두 1%의 높은 유의성이 있었다.

방목이용과 채초이용시 나타나는 목초중 칼리 및 마그네슘 함량의 계절변화 (Seasonal Variation of Potassium and Magnaesium Contents of Forage Plant Grown in Grazing Pasture and Meadow)

  • 김상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5
    • /
    • 1990
  • 초지에 있어서 칼리(K)의 동태 및 반구동물의 마마그네슘(Mg) 출납에 관한 연구의 한 부분으로서, 목초중 칼리 및 마그네슘 함량의 수절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시험을 봄부터 가을(4월-11월)의 기간동안 방목지와 방목지내 채초이초지(이하 채초지)에서 실시했다. 년간 2회에 걸쳐 가축의 방목을 행한 방목지에서 월별로 시료를 취한 뒤 초종별로 나누지 않고서 전 직물체(목초 및 야초)의 칼리와 마그네슘함량을 조사했으며(시험 1), 채초지에서는 방목지보다 많은 양의 칼리 사료를 사용하여 년간 5회에 걸쳐서 시험구의 실물체를 모두 예취한 후 구성초종별로 나누어서 초종별 우점도 및 칼리와 마그네슘함량을 조사했는데(시험 2), 얻어진결과는 다음과 같다. 1.오차드그라스(Dactylis glomerata L.) 가 우점된 방초지(오차드그라스 방목시)에서의 직물체중 칼리 함량은 봄에 가장 높았으며, 칼리함량의 계절별화(1.5-5.8%)도 돌페스큐(Festuca arundinacea S촉듀.) 방목지에서의 계절변화(3.0-3.8%)보다 뚜렷했다. 2. 오차드그라스 방목지에서의 식물체중마그네슘 함량은 4월-7월에는 건물 1g당 2.0mg보다 낮았으나 그 이후 2.0mg보다 높아졌으며 시험기간중 함량변화의 범위는 1.5-3.1mg이었다. 톨페스큐 방목지에서의 함량의 계절변화는 오차드그라스에서와 비슷하여 봄에 가장 낮고 차츰 높아졌으나 그 범용는 2.0-3.8mg으로 오차드그라스 방목지보다 높은 값을 나타냈다.(시험 1). 3. 오차드그라스 채초시에서는 파종된 목장종인 오차드그라스가 7월까지 우점하였으나 이름 (7월)부터는 야초가 많이 나타나서 가을(10월)에는 바랭이 독 야초(Digitaria adscendens H.) 및 개피(Echi-nochloa crus-galli (L.) B.)가 우점초종으로되었다. 4. 오차드그라스의 칼리함량은 건물량 기준으로 3.9-5.9%이었으며 계절별로는 봄(5월)과 가을(10월)에 높았다. 돌페스큐는 3.8-4.8%, 와이트클로버(Trifolium repen L.)는 3.6-5.0%이었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Lolium multiflorum Lam.)는 2.7-3.5% 이었다. 5. 목초중 마그네슘함량은 계절별로는 봄철에 가장 낮고 여름에 높은 경향이었으며, 초종별로는 화이트 클로버가 건물 1g당 2.9-3.7mg로 높았고 돌페스큐가 2.0-3.3mg 오차드그라스가 1.6-2.8mg이었으며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는 1.3-1.9mg으로 가장 낮았다. 6. 야초중 칼리함량의 수절변화는 건물량 기준으로 1.7-6.3%의 범위였으며 마그네슘함량의 변화는 건물 1g당 1.6-10.1mg의 범위였다. 바랭이독 야초와 개피중 칼리함량은 가을 (10월, 11월)에 목초보다 낮아 1.7-3.9%의 범위였으나 마그네슘함량은 목초보다 높아 3.2-10.1mg의 범위였다(시험 2) 이상의 결과로부터 목초의 칼리함량은 생육단계가 낮을 때 놓았으며, 수절별로는 봄과 가을에 높았다. 목초의 마그네슘함량은 봄철에 낮아 이 시기에 무기물의 불균형이나 그라스테타니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졌으며, 시험에 공시된 초종중에서는 높은 칼리함량 또는 낮은 마그네슘함량을 갖고 있는 오차드그라스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가 돌페슈큐보다 그 발생 기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한편 초지에서 가을에 목초보다 우점도가 높은 바랭이독 야초 및 개피는 칼리함량이 낮고 마그네슘함량이 높았으므로, 그 시기에 발생되는 무기물 불균형을 야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