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muscle

검색결과 742건 처리시간 0.036초

제 2형 당뇨모델 OLETF 랫드에서 동충하초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s of Isaria tenuipes in OLETF Rats as an Animal Model of Diabetes Mellitus Type II)

  • 서동석;강종구;정미혜;권민;박철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2-157
    • /
    • 2013
  • 본 연구는 동충하초(Isaria tenuipes)를 유전적 당뇨 질환 동물모델인 OLETF 랫드에서 4주간 경구 투여하여 항당뇨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로써, OLETF 랫드 동충하초(Isaria tenuipes) 투여군은 당뇨대조군과 비교하여 투여 4주에는 사료 섭취량과 체중이 증가하였다. 이는 동충하초(Isaria tenuipes)를 섭취한 OLETF 랫드는 고지방식 사료만 섭취한 OLETF 랫드에 비해 당뇨 유발이 개선된 결과로 판단된다. 혈중 포도당 농도, 인슐린 농도 및 인슐린 저항성 지표인 HOMA-IR 수치가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GLUT4 유전자 발현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동충하초(Isaria tenuipes) 투여군의 mRNA 및 단백질이 용량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동충하초(Isaria tenuipes)의 섭취가 제2형 당뇨에서 인슐린의 감수성이나 저항성에 영향을 미치고, 혈당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당뇨병환자의 혈당저하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천연물질을 이용한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동충하초(Isaria tenuipes)를 사용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삼색싸리 메탄올 추출물의 3T3-L1지방세포와 db/db 마우스에서의 PPARγ 작용제와 인슐린 유사효과를 통한 혈당조절 개선효과 (Methanol extract of 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 Nakai improves glucose metabolism through PPARγ agonist and insulin-mimetic effect in 3T3-L1 adipocytes and db/db mice)

  • 박철민;김휘;류동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417-42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당 대사에 대한 삼색싸리(Lespedeza maximowiczii var. tricolor Nakai; LMTN)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LMTN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3T3-L1 지방 세포에서 당 섭취능 및 지질축적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또한, 3T3-L1 지방 세포에서 LMTN 추출물은 퍼옥시좀 증식제 활성화 수용체(PPAR)γ, 인슐린수용체기질-1 (IRS-1) 및 포도당수송체(GLUT)4의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LMTM 추출물의 당 섭취능 또는 인슐린 신호 전달계의 조절 효과는 양성 대조물질인 트로글리타존 또는 피니톨보다 낮았지만 PPARγ 단백 활성화는 증가하였다. 또한, LMTM 추출물은 인슐린 유사효과를 나타냈다. db/db 마우스에서, LMTN 추출물(250 mg/kg BW)은 물과 식이 섭취량, 혈당,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더불어 지방과 근육조직에서의 PPARγ 및 GLUT4 mRNA의 발현도 LMTN 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LMTN 추출물이 3T3-L1 지방세포 및 db/db 마우스에서 PPARγ 및 인슐린 유사효과를 통해 당 대사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고슴도치의 구강 편평상피암종의 세포학적 고찰 1증례 (Cytologic Aspects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in a Captive African Hedgehog (Altelerix albiventris))

  • 조향미;최을수;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4-217
    • /
    • 2013
  • 3세령의 암컷 고슴도치(Atelerix albiventris)가 심하게 종대된 하악 병변의 평가를 위해 내원하였다. 세포학적 검사를 위해 세침흡인을 실시하였으며, 도말표본을 제작 후 로마노프스키식 염색으로 염색하였다. 세포학적 검사에서 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모양의 편평상피세포가 주로 관찰되었으며, 일부 세포는 유사 방추 모양 또는 매우 길쭉한 모양을 띄고 있었다. 세포학적 소견은 편평상피암종이었으며, 조직검사를 위해 수술적으로 제거하였다. 조직병리상 악성 편평상피암종세포들이 중등도의 콜라겐과 방추형 섬유모세포로 이루어진 간질에 둘러싸여 있었으며, 인접한 골격근과 골조직으로의 침습이 관찰되었다. 종양세포는 중등도의 세포 대소부동과 핵 대소부동을 보였으며, 중등도 이상의 각화상태를 보였다. 종양의 중심부에서는 극세포해리가 있었으며 림프형질세포 및 호중구성 염증소견이 동반되었다. 유사 분열상은 고배율에서 2-3개가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소견에 기초해서 편평상피암종으로 진단하였으며, 보호자는 종괴의 수술적 제거 후 더이상의 치료를 원치 않아 바로 퇴원하였다. 환자는 추가 처치 없이 3개월 생존 후 폐사하였다.

발육중인 생쥐 하악 과두에서 연골 및 골의 특이 유전자 발현 (Expression of mRNAs characteristic of cartilage and bone in the developing mandibular condyle of mice)

  • 지국섭;윤영주;박주철;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3-152
    • /
    • 2004
  • 하악과두 연골이 발생하고 분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내는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발생 16, 18일과 출생 1일, 5일, 10일, 20일 및 30일 후의 ICR생쥐의 하악과두를 형태학적으로 분석하고, 생쥐 I형, II형, X형 교원질, Indian hedgehog (IHH) 및 BMP-4 등의 mRNA 발현을 in-situ hybridization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1. 생쥐 I형 및 II형 교원질 mRNA는 하악과두의 발생 및 성장과정에서 모두 발현되었다. I형 교원질 mRNA는 휴지층과 증식층의 상부에서 관찰된 반면 II형 교원질은 휴지층과 증식층 그리고 비대연골층의 상부에서 관찰되었다. 2. 하악과두 연골은 성장에 따라 비대연골층이 계속 증가하는 소견을 보였으며, 비대 연골층의 세포들은 특징적으로 X형 교원질 mRNA의 발현을 보였다. 3. BMP-4 mRNA는 하악과두 연골 원기와 골화중인 하악골체에서 모두 발현되었다. 4. IHH mRNA는 하악과두의 발생과정에서 증식 연골층의 하부와 비대연골층의 상부에서 선택적으로 관찰되었다.

생체 유래 골 이식재(OCS-B)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bovine bone-derived bone graft material(OCS-B))

  • 박호남;한상혁;김경화;이상철;박윤정;이상훈;김태일;설양조;구영;류인철;한수부;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335-343
    • /
    • 2005
  • Inorganic bovine bone mineral has been widely researched as bone substitution materials in orthopedic and oral and maxillofacial application. OCS-B(NIBEC, Korea) is newly-developed inorganic bovine bone minera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bovine bone-derived bone graft material(OCS-B). Micro-structure of newly-developed inorganic bovine bone mineral(OCS-B) was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Round cranial defects with eight mm diameter were made and filled with OCS-B in rabbits. OCS-B was inserted into femoral quadrant muscle in mouse. I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CS-B was equal to natural hydroxyapatite. Rabbits were sacrificed at 2 weeks and 4 weeks after surgery and mice were sacrificed at 1 week and 2 weeks after surgery. 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and observed by microscope. In calvarial defects, osteoid and new bone were formed in the neighborhood of OCS-B at 2 weeks after surgery. And at 4 weeks after surgery osteoid and new bone bridge formed flourishingly. No inflammatory cells were seen on the surface of OCS-B at 1 week and 2 weeks in mouse experimental group. It is concluded that newly-developed inorganic bovine bone mineral(OCS-B) is a flourishing bone-forming material and biocompatible material.

SPE 및 GC/MS에 의한 혈액중 스트리크닌의 분석법 개발 및 검출사례 (Metho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trychnine in Bloo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and its Application in Real Specimens)

  • 이종숙;염혜선;문성민;이상기
    • 약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87-94
    • /
    • 2013
  • An analytical methodology based on solid-space extraction (SPE) with with Bond Elut Certify cartridge (Varian, 130 mg) has been developed for the qualification and quantitation of strychnine in blood. After the elution layer was evaporated, the residue was reconstituted with methanol for GC/MS. Internal standard was used 10 mg/l dextromethorphan. Strychnine is a potent central nervous stimulant and convulsant, and an alkaloid found in seeds of Strychnos nux-vomica. It was used therapeutically to improve circulation and muscle tone in oral or intramuscular doses of 0.05~8 mg. The fatal dose of strychnine for humans is 50~100 mg. A man was found dead lying curled up the corner of the large room in a roof house after the fire fighter opened a locked door inside to put out the fire. The postmortem blood and gastric contents were analyzed for toxicological testing. Strychnine and brucine were detected using GC/MS first in gastric contents extracts. The contents of strychnine was 0.083 mg/l in heart blood, 0.088 mg/l in peripheral blood and 4.0 mg/kg in gastric contents, respectively. Method validation was carried out in terms of linearity, accuracy, precision (intraday, interday) in blood. The assay is linear over 0.05~10 mg/l ($r^2$=0.999).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tation (LOQ) in blood were determined 0.02 mg/l (S/N=3) and 0.07 mg/l (S/N=10), respectively. Accuracy (bias%) of strychnine with 0.1, 1 and 10 mg/l was 12.0% (n=6), 9.3% (n=6) and 6.9% (n=6), respectively. Intraday precision (CV%) of strychnine with, 0.1, 1 and 10 mg/l were 6.4%, 10.4%, 1.2% (n=6), respectively. Interday precision (CV%) of strychnine with 0.1, 1 and 10 mg/l over three days were 24.0%, 18.5%, 13.8% (n=18), respectively. Relative recovery with 0.1, 1 and 10 mg/l (in blood) were 114.9%, 99.3% and 87.4% (n=6), respectively. The described method can be applied in forensic toxicology to determine strychnine in blood samples.

한국(韓國)에서의 이바라기 병(病)(Ibaraki disease)의 발생 (An Outbreak of Ibaraki Disease in Korea)

  • 박응복;정창국;최희인;이창우;오효성;이영옥;조명래;임영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1-89
    • /
    • 1983
  • 1982년 9월부터 11월까지 사이에 경기도(京畿道) 일원의 소에서 발열(發熱), 구내염(口內炎), 연하장애(嚥下障碍)를 나타내는 질병(疾病)이 유행성(流行性)으로 발생하였다. 이와같은 질병(疾病)은 같은시기에 충청남도(忠淸南道), 강원도(江源道), 전라남도(全羅南道) 및 경상남도(慶尙南道)의 일부지역에서도 산발적으로 발생하였고, 특징적인 임상소견(臨床所見)으로서 확인된 발생두수(發生頭數)는 73두에 달하였다. 이 질병(疾病)에서 관찰된 주요 병변(病變)은 구강점막(口腔粘膜), 인후두(咽喉頭), 식도(食道) 및 사위(四胃)의 수종(水腫), 출혈(出血), 변성(變性) 및 괴사(壞死)이었으며 이들 병변(病變)중에서도 식도(食道)와 인후두근육(咽喉頭筋肉)의 초자양변성(硝子樣變性)과 출혈(出血)은 진단적(診斷的)인 소견(所見)으로 간주되었다. 특징적인 임상소견(臨床所見)을 보인 소에서 채취한 혈청(血淸)에서 Ibaraki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中和抗體)가 증명되었다. 이상과 같은 임상(臨床), 역학적(疫學的), 병리학적(病理學的) 및 혈청학적(血淸學的) 소견(所見)에 의하여 질병(疾病)은 Idaraki병(病)이라고 진단(診斷)되었으며 일본(日本) 이외지역의 발생보고는 처음인 것이다.

  • PDF

노인의 삼킴 단계별 삼킴 기능 평가를 위한 표면 근전도 검사의 융합적 연구 : 체계적 문헌고찰 (A Convergence Study of Surface Electromyography in Swallowing Stages for Swallowing Function Evaluation in Older Adults: Systematic Review)

  • 박선하;배수영;김정은;박혜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9-1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노인의 삼킴 단계별 삼킴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적용한 방법을 분석하여, 임상에서 노인의 삼킴 단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였다. 2011 ~ 2021년까지 Pubmed, Scopus, Web of Science (WoS)를 활용하여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7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노인과 성인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서 분석하거나 노인만을 대상으로 삼킴단계를 표면근전도검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강단계와 인두단계의 삼킴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표면 근전도 부착 부위는 각 단계별 관여하는 삼킴 근육에 부착하였다. 수집된 근전도 데이터는 대역통과필터와 노치필터를 사용하여 필터링되었고, 제곱평균제곱근, 진폭, 최대자발적 수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면 근전도 검사가 단계별 삼킴 기능을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단계별 삼킴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표면 근전도 검사를 융합한 다양한 연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DMSO 투여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SOD1-G93A 형질 변환 마우스 모델에서의 근육 기능과 생존 기간 증가 효과 (DMSO Improves Motor Function and Survival in the Transgenic SOD1-G93AMouse Model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박경호;김연경;박현우;이희영;이정훈;패트릭 스위니;박래리종;박진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611-621
    • /
    • 2022
  • DMSO (dimethyl sulfoxide)는 친유성 화합물을 용해하는 성질과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을 투과하는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등의 퇴행성 뇌신경질환을 타겟으로 하는 전임상 연구에서 용매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DMSO를 활용한 연구 결과에 대하여 본 물질에 대한 생화학적 효과는 간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질환동물 모델인 SOD1-G93A형질 전환 마우스에 5% DMSO를 장기간 경구 투여하여 질병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을 생존기간을 포함하여 신경학적, 기능학적,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DMSO를 투여한 SOD1-G93A 동물군에서 DMSO 비투여군 보다 생존 기간과, 로타로드와 악력 측정으로 평가한 근육 기능이 유의미하게 증가했고, neurological score 가 감소했다. 반면, DMSO 투여군에서 DMSO 비투여군 대비하여 척수 운동 신경 세포와 신경근접합부가 보존되지 않았다. DMSO 투여는 SOD1-G93A형질 전환 마우스의 운동 신경 세포의 조직학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신경 증상 완화와 생존 기간 등 개선된 마우스의 quality of life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DMSO를 이용한 퇴행성 뇌 질환 전임상 연구 및 후보 약물 효능 평가 시 DMSO의 생화학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사물탕(四物湯) 가(加) 단참(丹參)의 상처 치료에 대한 효과 (The Effects of Samul-tang-ga-dansam for Wound Healing)

  • 이은별;김현지;김채영;최지수;우창훈;김영준;안희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8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wound healing effects of Samul-tang-ga-dansam water extract (SD) in wound-induced mice. Methods The mice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n=7): the normal group, the control group, the positive control group, the low-dose SD group and the high-dose SD group. The normal group had no wounds and the other groups were wounded on the back with a leather punch. Distilled water was administered to the control group, 200 mg/kg of vitamin E was administered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In the low-dose SD group and the high-dose SD group, 1.23 g/kg and 2.47 g/kg of SD were administered, respectively.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tein levels were evaluat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Skin tissue was analyzed by H&E, Masson's trichrome staining method. Results Oral administration of the SD significantly reduced the visible skin damage and decreased the reactive oxygen species and ONOO- activity of the serum. It significantly increased heme oxygenase-1,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Px-1/2, Nrf2 and Keap-1 which are antioxidant-related factors in skin tissue and reduced NF-κB p65,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tumor necrosis factor α, interleukin (IL)-1β, IL-6 which are inflammation-related factors. Also, SD significantly decreased NOX2, p22phox and p47phox and increased α-smooth muscle actin and COL1A1 protein expression in fibroblasts involved in connective tissue repair. According to histological examination, the thickened epithelial layer was thinned and collagen fibers were increased to accelerate wound healing. Conclusions It is suggested that Samul-tang-ga-dansam h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promotes wound tissue rep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