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factors

검색결과 1,009건 처리시간 0.031초

치과임상영역에서 발생된 의료분쟁의 판례분석 (The Jurisdictional Precedent Analysis of Medical Dispute in Dental Field)

  • 권병기;안형준;강진규;김종열;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283-296
    • /
    • 2006
  •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보건의료분야는 괄목할 성장을 가져왔고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의료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 권리의식의 신장, 의료행위의 본질에 대한 이해부족, 의료기술에 대한 지나친 기대, 상업화된 의료공급체계, 의사의 윤리의식 저하 및 의료법리에 대한 무지 그리고 사회적 불신풍조의 만연, 분쟁해결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결여 등이 요인으로 작용하여 의료사고 및 분쟁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치과관련 단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소송과 관련된 자료 및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서 신체감정을 시행한 재판기록을 중심으로 하여 판결전문을 확보할 수 있는 치과 의료사고 판례 중 1994년부터 2004년까지의 민사소송 30례의 판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송의 연도별 분포에서 2000년 이후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소송의 유형별 분포에서 발치와 관련된 소송이 전체의 36.7% 이었다. 3. 소송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불편감, 치료불만족과 관련된 것이 전체의 36.7%, 사망 및 영구손상이 각각 16.7% 이었다. 4. 원고의 소송결과 승소 및 강제조정, 화해권고결정이 60.0% 이었다. 5. 소송에 관련된 병원유형은 치과의원이 6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소송의 심급별 구성비율에서 2,3심 이상 진행된 경우가 전체의 30.0% 이었다. 7. 손해배상 청구금액은 5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이 36.7%, 1억원 이상이 13.3% 이었고 손해배상 판결금액은 1천만원 이상 3천만원 미만이 40.0%, 1억원 이상이 6.7% 이었다. 8. 소송과 관련된 치과의사수는 2명 이상이 26.7%이었다. 9. 판결까지의 소요기간은 11개월에서 20개월이 46.7%, 21개월에서 30개월이 36.7% 이었다. 10. 의료과실 유무에서는 과실을 판정한 경우가 46.7% 이었고 소송과정에서 신체감정이나 사실조회가 이루어진 경우는 70.0% 이었다. 11. 의사패소 판례(18건)에서 판결의 주안점은 주의의무위반이 72.2% 이었고, 설명의무위반이 16.7% 이었다. 치과 의료분쟁의 경우 치료의 긴급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의사의 설명의무 중요성이 폭넓게 요구되며, 주관적인 치료 만족도가 중요시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결국 분쟁을 줄이는 방법으로 기술적인 과실도 줄여야 하지만 치과의사와 환자와의 신뢰 관계를 개선하는 것과 의사집단의 자율성(autonomy)의 회복이 중요하다. 그리고 불합리하게 시행되고 있는 의료배상책임보험의 보완과 함께 치과의사단체와 학계가 주도하는 교육 및 의료분쟁시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체계의 확립으로 의료분쟁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서울시 일부 아동의 식품알레르기 위험요인 : 식품 섭취와 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Risk factors for food allergy among children in Seoul: focusing on dietary habits and environmental factors)

  • 장미정;김규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6호
    • /
    • pp.559-568
    • /
    • 2019
  • 서울시 일부 아동 대상의 식품알레르기 유병률과 위험 요인 및 다른 알레르기 질환과의 연관성 조사결과 식품알레르기 의사 진단 유병률은 14.2%, 알레르기 증상을 한번이라도 경험한 아동의 유병률은 20.4%, 최근 12개월 내 증상 경험 유병률은 17.4%이었다. 식품알레르기를 한번이라도 경험한 아동 612명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경험 특성을 도출한 결과 대부분 식품 경구 섭취를 통해 발생하였고 증상 유발식품은 난류, 복숭아, 우유, 땅콩, 새우 등이 있었다. 식품알레르기 증상 경험 유병과 12개월 내 주요 알레르기 유발 의심식품 섭취의 위험요인으로는 곡류, 감자류, 패스트푸드, 견과류, 우유 등이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식품 섭취의 경우 식품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아동일 경우 견과류, 우유 및 유제품, 난류의 섭취 빈도가 낮을수록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환경적 위험요인으로 연령,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 항생제 복용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기타 알레르기 질환과도 관련이 있었다. 최근 식품 알레르기의 또 다른 환경적 위험요인으로 다른 연구들에서도 언급되는 요인이기에 이와 관련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식품알레르기의 경험이 있는 아동은 다른 알레르기 질환으로 이환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이에 따라 규칙적인 식품 섭취와 조기진단을 통하여 유발식품을 명확히 알고 제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서울에 거주하는 아동의 유병률과 증상경험의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중재방안을 도출할 기초자료로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고지방 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 마우스에서 식이 기간에 따른 비만 관련 지표 변화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Changes of Obesity-Relating Biomarkers in High Fat Fed-Induced C57BL/6 Mice)

  • 송미영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9-26
    • /
    • 2016
  • Objectives: The prevalence of obesity continues rise and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s a major problem in global health care. Animal models are used in the drug discovery of novel treatment for obesity. One of common models of obesity is a high fat diet induced obesity in a C5BL/6 mouse, and the development of obesity and glucose tolerance in mouse model is different according to period of diet.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obesity and glucose tolerance during a high fat diet (HFD). Methods: Male C57BL/6 mice, 5 weeks of age, were fed on a standard chow diet as a normal diet (18 kcal% fat) or a HFD (60 kcal% fat) for up to 16 weeks. The various factors related with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were measured at 8, 12, and 16 weeks. Results: The weights of body and epididymal fat were gradually increased for 8~16 weeks, however the change of hyperglycaemia and glucose tolerance have shown different with that of body weight. Blood glucose, oral glucose tolerance and insulin tolerance were increased more clearly at week 12 and 16 than week 8. Lipid accumulation of liver and body temperature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t week 16, compared with normal group. Conclusions: The developments of obesity and related factors were different by a HFD period in a C57BL/6 obese mic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development of obesity with glucose tolerance and liver lipid may induce clearly by a HFD for 16 weeks.

대학생의 칫솔 마모도 평가 및 관련요인 분석 (Evaluation of Wear Index of Toothbrushes Us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sis of Related Factors)

  • 김선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609-617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사용하고 있는 칫솔의 마모도와 마모율을 평가하고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대학생 구강보건교육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5년 3월 16일부터 4월 10일까지 573개의 칫솔을 수거한 뒤 칫솔 마모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칫솔 마모도는 조사 대상 칫솔 중 46.9%가 0.400 이상의 마모도를 보였고, 평균 마모도는 $0.403{\pm}0.20$로 조사되어, 전체적으로 높은 칫솔 마모도를 보였다. 칫솔 마모율은 1점과 2점이 차지하는 비율이 70.4%였으며, 평균 마모율은 $1.620{\pm}0.74$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높은 칫솔 마모율을 보였다. 성별에 따른 칫솔 마모도 및 마모율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으며, 칫솔교체주기가 길수록 칫솔 마모도와 마모율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대학생들의 칫솔교체 주기 및 칫솔 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올바른 칫솔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구강보건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65세 이상 한국 노인들의 결손치와 흡연의 융합관계 (The Convergence relation of tobacco smoking to tooth loss in older adults)

  • 전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27-134
    • /
    • 2016
  • 본 연구는 제 4기 (2007-2009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1,565명 노인을 대상으로 결손치아에 미치는 요인과 결손치아와 흡연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연령에서 나이가 들면서 결손치가 증가하였고, 특히 흡연과 결손치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경제적인 요인 및 행태들을 보정한 후 흡연상태와 성별, 사회경제적인지위, 치과방문패턴과 연관성을 알아본 결과, 남자보다 여자가 현재흡연상태에서 결손치아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지위인 '하'에서 결손치아수가 높게 나타났다(p<0.000). 치과 방문패턴에서는 1년에 치과를 2번 이상 방문에서 결손치아수가 높게 나타나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치과차원의 예방적인 금연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vestig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orthodontic treatment and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and dysfunction in the South Korean population

  • Sim, Hye-Young;Kim, Hee-Sun;Jung, Da-Un;Lee, Ho;Han, Yoon-Sic;Han, Kyungdo;Yun, Kyoung-I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81-187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thodontic treatment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in South Korean population. Methods: This study obtained data from the 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final sample size was 5,567 participants who were ${\geq}19$ years of ag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rthodontic treatment and TMD. Results: Participants who underwent orthodontic treatment showed higher educational level, lower body mass index, reduced chewing difficulty, and reduced speaking difficulty. The adjusted odds ratios (ORs) and their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TMD were 1.614 (1.189-2.190), 1.573 (1.162-2.129) and 1.612 (1.182-2.196) after adjusting for age, sex and psychosocial factors. Adjusted ORs and their 95% CIs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clicking were 1.778 (1.289-2.454), 1.742 (1.265-2.400) and 1.770 (1.280-2.449)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However,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and functional impairment was not associated with orthodontic treatment. Conclusions: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and dysfunction was not associated with orthodontic treatment.

학제에 따른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레스 관계연구 (Stud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of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system)

  • 이지원;강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69-74
    • /
    • 2014
  • 향후 구강보건 관련업무를 담당할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관리는 중요한 문제이며 이러한 심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자아존중감과 우울, 스트레스간의 관계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스트레스를 학제 별로 살펴보고 이러한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년제 치위생과 학생 98명, 4년제 치위생학과 학생 164명을 대상으로 개별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아존중감은 3년제 학생보다 4년제 학생들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지수와 스트레스 지수는 3년제 학생이 4년제 학생들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우울 및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우울지수와 스트레스 지수가 낮고,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우울지수와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상지 근골격계 증상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upper extremities among dental hygienists)

  • 이소영;고효진;유병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897-908
    • /
    • 2012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urposed to estimate prevalence of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and their relationship among dental hygienists. Methods : This questionnaire study was performed during May to October 2010 with 317 dental hygienists work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recruited as study population. The occupational stress and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accessed using questionnaire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from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Health Agenc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ver 19.0K)program. Results : The prevalence of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the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were 79.2% and $52.67{\pm}4.86$ in dental hygienists.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job insecurity(OR=2.86, 95% CI: 1.38-5.94 in stress high risk group; reference-stress low risk group) and organizational system(OR=3.32, 95% CI: 1.55-7.08 in stress high risk group; reference-stress low risk group) were associated with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in dental hygienists. Conclusions : The overall prevalence of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level of occupational stress in dental hygienists were relatively high and some sub-scales of occupational stress were related with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Not only previously reported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symptoms but also occupational stress should consider to prevent and improve upper extremity musculoskeletal symptoms in dental hygienists.

Extending Application of the 'Hardcore' Definition to Smokeless Tobacco Use: Estimate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Population in India and its Implications

  • Jena, Pratap Kumar;Bandyopadhyay, Chandan;Mathur, Manu Raj;Das, Sagarik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5959-5963
    • /
    • 2012
  • Background: The term 'hardcore' has been applied to use of smoking tobacco and generally referred to as the inability or unwillingness of regular smokers to quit. The component constructs of hardcore except nicotine dependence are product neutral. With the use of 'time to first chew' as a measure of nicotine dependence, hardcore definition can be extended to characterize smokeless tobacco users. Hardcore users respond less to tobacco cessation interventions, and are prone to tobacco induced diseases including cancer. Thus identifying hardcore users would help in estimate the burden of high risk population for tobacco induced diseases. Smokeless tobacco use is predominant and accounts for more than 50% of oral cancer in India. Hence, hardcore chewing information could be used for planning of tobacco and cancer control interven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hardcore smokeless tobacco use in India. Materials and Methods: Global Adult Tobacco Survey (GATS)-India 2010 data were analyzed to quantify hardcore smokeless tobacco use in India with following five criteria: (1) current daily smokeless tobacco use; (2) no quit attempt in the past 12 months of survey or last quit attempt of less than 24 hours duration; (3) no intention to quit in next 12 months or not interested in quitting; (4) time to first use of smokeless tobacco product within 30 minutes of waking up; and (5) knowledge of smokeless tobacco hazards. Results: The number of hardcore smokeless tobacco users among adult Indians is estimated to be 5% (39.5 million). This group comprises 23.2% of daily smokeless tobacco users. The population prevalence varied from 1.4-9.1% across different national regions of India.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indicated age,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to be the major predictors of hardcore smokeless tobacco use in India. Conclusions: The presence of a huge number (39.5 million) of hardcore smokeless tobacco users is a challenge to tobacco control and cancer prevention in India. There is an unmet need for a universal tobacco cessation programme and intensification of anti-tobacco education in communities.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인지도 및 만족도 (Awareness and satisfaction on dental implant treatment)

  • 김수경;김선이;전희영;이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95-401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an adult on implants and the relevant factors which affect the satisfaction of a patient after an implant treatment.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407 adult subjects in Seoul and Gyeonggi. A total of 384 data were analyzed except the questionnaires having poor responses or errors. Results : The acquaintance route of implant was TV advertisements, self-knowledge, internet, news, and newspapers. Dentist's ability to practice impla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atient's choice. The responents answered the expected lifespan of an implant was more than 5 years to 10 years. In terms of dent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on implants, the average response of the highest 4.07 points of 5 Likert scale. Generally women are more concerned with implant than men(p<0.01). The highly educated and elderly patients had tendency to receive more treatment(p<0.0001). Patients were more satisfactory after receiving regular checkups after treatment(p<0.05). The low expenses of implant satisfied the patients(p<0.05). Conclusions : As implant technology advances, the concern of patients on implants also increase. So reduction of cost can make the patients have access to the dentist and the patients' oral health must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dental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