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and maxillofacial reconstruction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27초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evaluation of buccal bone thickness following maxillary expansion

  • Akyalcin, Sercan;Schaefer, Jeffrey S.;English, Jeryl D.;Stephens, Claude R.;Winkelmann, Sam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3권2호
    • /
    • pp.85-90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buccal alveolar bone thickness following rapid maxillary expansion (RME)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our individuals (15 females, 9 males; 13.9 years) that underwent RME therapy were included. Each patient had CBCT images available before (T1), after (T2), and 2 to 3 years after (T3) maxillary expansion therapy. Coronal multiplanar reconstruction images were used to measure the linear transverse dimensions, inclinations of teeth, and thickness of the buccal alveolar bone. One-way ANOVA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changes between the three times of imaging. Pairwise comparisons were made with the Bonferroni metho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at p<0.05. Results: The mean changes between the points in time yielde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oth molar and premolar transverse measurements between T1 and T2 (p<0.05) and between T1 and T3 (p<0.05). When evaluating the effect of maxillary expansion on the amount of buccal alveolar bone, a decrease between T1 and T2 and an increase between T2 and T3 were found in the buccal bone thickness of both the maxillary first premolars and maxillary first molars. However, these changes were not significant. Similar changes were observed for the angular measurements. Conclusion: RME resulted in non-significant reduction of buccal bone between T1 and T2. These changes were reversible in the long-term with no evident deleterious effects on the alveolar buccal bone.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로 상악 전치부를 수복한 증례 (Reconstruction of Disharmonious Upper Anterior Dentition by Implant Supported Fixed Prosthesis)

  • 오상천;지영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183-192
    • /
    • 2008
  • 미디어, 인터넷, 상업용 광고 등 사회의 각 분야에서 미용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오늘날, 치과 보철수복은 단지 저작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뿐만이 아니라 특히 심미적 관점에서 웰빙이나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35세의 남성 환자로써 1) #11, 23의 금속-도재수복물의 도재 파절 2) 안모 수평기준선에 비해 기울어진 상악전치 절단연 3) 안모 수직기준선인 안모 정중선에 비해 편위된 치열정중선 4) 상악 전치의 대칭성 상실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임플란트 수복을 포함하여 전통적인 고정성 보철 치료로 안모 개선을 요구하였다. 일반적으로 상악 전치부에서 전통 보철이나 임플란트 보철 시술 목적 중의 하나가 치아구도, 치아-안모구도, 그리고 안모구도에서 치열이 매력적으로 그리고 아름답게 느껴지도록 심미 보철물을 제작해 주는 것이다. 본 증례에는 연조직과 경조직의 증대술과 성형술을 바탕으로 교정과, 구강악안면외과, 그리고 보철과가 협진을 통해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금속-도재 수복물로써 기하학적 측면에서 치열의 심미성을 향상시킨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Anterior maxillary defect reconstruction with a staged bilateral rotated palatal graft

  • Jung, Gyu-Un;Pang, Eun-Kyoung;Park, Chang-J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4권3호
    • /
    • pp.147-155
    • /
    • 2014
  • Purpose: In the anterior maxilla, hard and soft tissue augmentations are sometimes required to meet esthetic and functional demands. In such cases, primary soft tissue closure after bone grafting procedures is indispensable for a successful outcome. This report describes a simple method for soft tissue coverage of a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site using the double-rotated palatal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 (RPSCTG) technique for a maxillary anterior defect. Methods: We present a 60-year-old man with a defect in the anterior maxilla requiring hard and soft tissue augmentations. The bone graft materials were filled above the alveolar defect and a titanium-reinforced nonresorbable membrane was placed to cover the graft materials. We used the RPSCTG technique to achieve primary soft tissue closure over the graft materials and the barrier membrane. Additional soft tissue augmentation using a contralateral RPSCTG and membrane removal were simultaneously performed 7 weeks after the stage 1 surgery to establish more abundant soft tissue architecture. Results: Flap necrosis occurred after the stage 1 surgery. Signs of infection or suppuration were not observed in the donor or recipient sites after the stage 2 surgery. These procedures enhanced the alveolar ridge volume, increased the amount of keratinized tissue, and improved the esthetic profile for restorative treatment. Conclusions: The use of RPSCTG could assist the soft tissue closure of the GBR sites because it provides sufficient soft tissue thickness, an ample vascular supply, protection of anatomical structures, and patient comfort. The treatment outcome was acceptable, despite membrane exposure, and the RPSCTG allowed for vitalization and harmonization with the recipient tissue.

구강암으로 변연골 절제술 시행한 환자를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수복한 증례 (Clinical application of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to patient who underwent mandibular resection with oral cancer: A case report)

  • 윤영석;한동후;김형준;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0-285
    • /
    • 2016
  • 하악골의 결손은 선천적 기형, 외상, 골수염, 종양 절제술 등에 의하여 초래될 수 있는데, 이중 결손부위가 큰 경우는 주로 종양절제술에 의한 결손이다. 악골 결손 부위가 커질수록 저작, 연하, 교합, 발음 등에 큰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심미적으로도 불량하여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을 주게 된다. 하악골이 절제된 후 그 자리에 완전히 재생되는 경우는 희박하며 인공적으로 재건해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가골 이식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며, 통상적인 부분의치 혹은 총의치를 시행하거나, 지지할 수 있는 골을 얻은 상태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 혹은 피개의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는 2004년 2월 25일, 편평세포암종 pT1N0M0, stage I로 진단 받고 구강악안면외과에서 동년 3월, 하악 좌측 부위 COMMANDO 수술(combined mandibulectomy and neck dissection operation), 광범위 절제술(wide excision), 하악골 변연절제술(marginal mandibulectomy), 견갑 설골 상부 경부청소술(supraomohyoid neck dissection, SOHND), 시행받은 환자를 하악 좌측 중절치, 하악 좌측 제3대구치 부위에 임플란트 식립하여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수복하였고 충분한 피개와 임플란트로의 적절한 교합력 분산을 통해 통상적인 국소의치보다 더 이로운 지지, 유지, 안정을 얻을 수 있었다. 현재까지 경과 관찰 기간은 4년 정도 되었으며, 하악 좌측 제3대구치 부위에는 주위골의 흡수양상이 관찰되어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한 상황이다.

Monolithic zirconia framework으로 제작된 fixed detachable prostheses를 이용한 심미적인 임플란트 전악 수복 증례 (Esthetic Full Zirconia Fixed Detachable Implant-Retained Restorations Manufactured from Monolithic Zirconia : Clinical Report)

  • 홍준태;최유성;한세진;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3호
    • /
    • pp.253-268
    • /
    • 2012
  • 수직적, 수평적 골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악수복의 경우 경조직과 연조직 이식을 통해서 임플란트를 원하는 위치에 식립할 수도 있지만, 치은과 치아의 기능과 심미를 회복할 수 있는 fixed detachable prostheses를 대체 술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증례에서 다양한 재료가 수복물의 제작에 사용 가능하지만, metal/acrylic 보철물에서는 레진치아의 파절 및 탈락이 일어날 수 있고, metal/ceramic 혹은 zirconia/ceramic 보철물에서는 도재의 chipping이나 파절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최근에 심미적이면서도 기능적인 보철수복을 위해 zirconia에 도재를 축성하지 않고 임상적으로 적용가능한 monolithic zirconia framework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임상 증례는 심미적인 요구도가 높은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chipping이나 파절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monolithic zirconia framework을 이용해 만들어진 complete fixed detachable 보철물을 이용한 수복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이번 증례에서 보철물은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웠으며, 2년 간의 정기검사에서 임상적인 합병증은 보고되지 않았다.

Cone-beam CT를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하악골 후퇴술 후 상기도 변화에 관한 연구 (Three dimensional cone-beam CT study of upper airway change after mandibular setback surgery for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김나리;김용일;박수병;황대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45-155
    • /
    • 2010
  • 악교정 수술은 안면골격형태 뿐만 아니라 상기도 공간에도 영향을 준다. 본 연구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 중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상기도 공간의 부피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이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중심으로 시행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3차원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구성한 뒤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하악골 후퇴술을 시행 받은 20명(남성 12, 여성 8)이었으며, 수술 전 평균 1.8주(Baseline), 술 후 평균 2.3개월(T1) 그리고 술 후 평균 1년(T2) 시기에 CBCT를 촬영하였다. 상기도공간은 기준평면에 따라 비인두, 구인두, 하인두로 나누어 계측하고 Baseline, T1, T2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로 수술 후 2.3개월(T1)시기에 상기도 공간은 상당히 감소하였으며 (p < 0.001), 술 후 1년 후(T2)에도 감소된 양은 증가하지 않았다. 구인두는 상기도 공간 중 가장 많은 감소폭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하악골후퇴술은 상기도 공간을 장 단기간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순구개열 환아에서의 치조골이식 (TOOTH MOVEMENTS TO THE SITE OF ALVEOLAR BONE GRAFT)

  • 조해성;박재홍;김광철;최성철;이긍호;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40-149
    • /
    • 2007
  • 치조파열 및 구개열과 같은 선천성 기형은 이환된 환자에게 기능적, 심미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므로 정상으로 회복시켜 주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장기간 방치될 경우 영양장애, 구강위생 불량, 호흡기 감염, 언어 장애, 악안면 변형, 그리고 정신적인 문제 등이 복합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구순구개열 환자의 치료는 여러 전문 치료 분야의 복합적 인 접근이 필요하다. 골이식은 구순구개열 환자에 있어 중요한 치과치료 단계이다. 치아의 맹출과 치열의 안정화를 위해 치열궁은 골결손이 없이 완전해져야 한다. 또한 치열궁의 파열이 있는 부위로는 정상적인 교정적 치아이동이 곤란하다. 따라서 구순구개열 환자에 있어 골이식은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외과적 술식이다. 치조골을 이식함으로써 치조열은 안정화되고, 견치 또는 절치가 이식부위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골 이식 후, 교정을 통해 치조열 부위의 공간을 폐쇄함으로써 보철치료 없이 치열을 재형성 할 수 있다. 골이식술에는 다양한 이식재료가 사용되었다. 자가골을 이식할 경우 장골이 가장 선호되며, 그밖에 경골, 늑골, 두개골, 하악골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골이식은 골이식 시기에 따라 일차골이식, 조기 이차골이식, 이차골이식, 만기 이차골이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차골이식은 혼합치열기 말경에 시행되는 것을 말하며 가장 좋은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영구 견치가 맹출되기 전에 이차골이식을 시행하면 인접치아의 맹출과 보존에 도움이 된다. 본 증례에서는 치조구개파열 환자의 장골에서 골을 채취하여 골 이식을 시행한 후, 골이 채워진 이식 부위에 인접 치아가 성공적으로 이동하거나 치축이 개선되고 교정치료를 통해 치열궁 배열의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