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of Workers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3초

중소기업 남성근로자의 건강행태와 구강건강상태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us of Male Workers in small and medium industry)

  • 안인술;박승위;이경수;장은진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5-3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oral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us, and to analysis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and oral health status of male workers. Methods: The survey used structured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09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randomize thirty workplace which work more than 50 workers and carry out a survey targeting 30 to 50 age male laborers who work selected workplace. Total of 1,532 replies were analysed. Results: Age, education, monthly income, job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umber of toothbrushing, scaling experience, number of missing teeth. Smoking, amount of smoking, frequency of drinking, number of tooth brushing, unmet need and subjective oral health condition, HBP and D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missing teeth. In logistic regression, age(above 40), monthly income and DM were significant factors on loss of teeth. Conclusion: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provide education on the teeth-brushing and DM management to workers engaged in a small or medium sized workplace with many tooth loss and low educational status, and to recommend a regular scaling as well as to establish policy for creating conditions upon an oral health check-up and a tooth scaling and allow the maintenance of an oral health.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 정의적 요인이 구강건강 행위와 구강건강 삶의 질에 융합적으로 미치는 영향 (Comprehensive Effect from Affective Factors of Oral Health on Oral Health Behaviors and Quality of Oral Health Life in Industrial Workers)

  • 최규일;김경미;윤현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9-35
    • /
    • 2020
  • 본 연구는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 정의적 요인이 구강건강 행위와 구강건강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충북지역 산업체 5곳 1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1월 19일부터 23일까지 단순무작위 표본추출방법으로 선발하여 설문지법으로 조사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독립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강보건 정의적 요인이 구강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보건 실천의지가 높을수록 구강건강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산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 행위와 구강건강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구강보건 정의적 요인을 변화 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구강건강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경인지역 근로자의 자기평가 구강건강수준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Self-perceived Oral Health Levels in Workers at Seoul-Inchon Area)

  • 김숙향;홍민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692-5699
    • /
    • 2011
  • 생산직과 사무직 간 구강건강수준에 관한 인식의 차이와 이에 관련되는 변수를 파악하고자 만 20세 이상의 생산직 근로자 200명과 사무직 근로자 100명을 편의 추출하여, 2011년 3월 1일 부터 2011년 3월 30일 사이에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SPSS VERSION 19.0으로 분석하였다. 구강건강수준의 인식에는 3가지 하위요인으로 신체적, 심리 사회적, 정신적 요인이 존재함을 요인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심리사회적 요인의 경우 연령별, 근무형태별 차이가 있었다. 생산직의 정신적 요인을 제외한 직종 간 차이 없이 신체적, 심리사회적, 정신적요인의 구강건강수준의 인식은 양적 관계를 나타냈다. 직종 간 구강건강수준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생산직의 경우 4변수에 의하여 51%, 사무직의 경우 시린 치아 1변수에 의해 30% 설명될 수 있었다. 따라서 구강건강수준의 인식이 생산직과 사무직의 근로자 간 다르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직종 간 구강건강증진사업은 차별화 되어야 하며, 근로자는 자신들의 치아 상태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예방을 위한 행위에는 매우 소홀한 경우가 많으므로 개인의 예방지향적인 계속구강건강관리 사업을 통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실천해야한다.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Behavior of the Industrial Workers)

  • 윤미숙;권현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2802-2811
    • /
    • 2013
  • 이 연구는 사업장 근로자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행태를 파악하여 근로자들의 구강건강관리 및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산업체 근로자 1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근로자의 행태는 구강검진 경험이 있는 자, 후속 진료를 받지 않은 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하루 평균 잇솔질 2회, 월 평균 소득 200~300만원 미만인 자가 잇솔질 빈도가 높았다(p<.01). 근로자의 관심 및 지식은 경력이 많을수록 구강건강 관심도가 높았으며(p<.01), 경력 10~20년 미만인 자가 치료를 위해 결근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근로자들 대부분이 기회가 없어서 교육 경험이 없는 자가 많았으며, 연령이 많을수록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p<.05). 따라서 사업자 근로자들을 위한 정기적인 구강검진과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구강보건사업 체계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요양보호사의 구강건강관리실태 및 구강건강관리교육 요구도 조사 (Oral health care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care workers)

  • 김희경;김경미;김선일;김은주;남궁은정;배수명;손정희;신보미;신선정;엄미란;이민선;이혜린;최용금;최진선;류다영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1-51
    • /
    • 2019
  • Introduction: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current oral health care status and demand of care workers for oral health education. Method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care workers working in 11 nursing homes for older people located in the Chungcheongdo Province. Of those distributed, 21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8.0. Results: The demand for an educational course on the 'Management of Oral Health Care for the Aged People' had a score of 4.22 points(full marks were 5.0 points), whereas the score for the necessity for control of oral health was 4.29 points. The control of oral health for the aged people suffering dysphagia scored 4.27 points, whereas the control of oral health for older people who have dementia was 4.27 points. The score for a course on the nutritional control for aged people having difficulties in masticating foods was 4.27. Conclusion: It is clear tha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urses and standardized manuals for care workers on aspects of oral health care is necessary.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develop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r dental hygienists to educate care workers on oral health.

융복합시대 광주광역시 일부 환경미화원의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Oral Health Behavior of Sanitation Workers in Gwangju Convergence era)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5-25
    • /
    • 2018
  • 연구는 환경미화원의 구강건강행태를 파악하여 산업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방향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일부 지역 환경미화원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 7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케일링 경험 80%에 비해 구강보건교육 경험은 약 25%로 나타났다. 구강위생관리는 학력, 고용형태, 근무년수와 관계가 있었다. 치주상태는 고졸이상에서 '시린이'와 '잇몸부음' 증상이 높게 나타났고, 소득과 학력이 높을수록 치주상태가 '보통'이거나 '나쁨'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노동자 중 환경미화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에 대하여 의의가 있으며, 환경미화원의 환경을 잘 고려하여 구강보건교육의 기회를 넓히고 적극적이고 융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업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다양한 노력과 대책이 필요하다.

병원 시설 파견·용역 근로자들의 주관적 구강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Occupational risk factors influencing subjective oral symptoms in hospital facility Temp·Contract Workers)

  • 홍민희;이정민;장기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98-306
    • /
    • 2021
  • 본 연구목적은 병원 시설 근로자들의 구강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 위험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수도권 지역의 대학병원 시설 관리 파견·용역 근로자 627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17일~2021년 5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근골격계 질환과 상해 위험이 높은 근로자들에게서 구강 증상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 불안정과 조직 불공정성의 영역에서 구강점막, 악관절 장애, 구강건조증 증상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직 의도와 질병 출근 요인에서 구강건조증 위험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로자들의 업무 위험 요인과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구강 증상 위험도가 증가하였다. 추후 병원 시설 근로자들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구강보건정책 개선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서울시 돌봄 서비스 노동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이 주관적 구강 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of Care Service Workers on Self-diagnosed Oral Symptom in Seoul)

  • 홍민희;이정민;장기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74-28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돌봄 서비스 노동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요인이 구강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돌봄 서비스 노동자 150명을 대상으로 7월 24일부터 8월 6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 직무스트레스, 정신건강(신체증상, 불안, 불면), 주관적 구강 증상을 조사하였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다. 직무스트레스(p=0.001)는 구강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증상(p<0.001), 불안 증상(p<0.001), 불면 증상(p<0.001) 모두 구강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 요인 중 신체 증상이 구강 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불안 증상, 불면 증상, 구강 증상의 상관성 결과,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신체 증상(p<0.001), 불안 증상(p<0.001), 불면 증상(p<0.001), 구강 증상(p<0.01)이 모두 증가하는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돌봄 서비스 노동자들은 돌봄 대상자를 신체적·정신적으로 보살펴야 하는 업무를 수행하므로 육체적·심리적 노동력 소진이 크다. 자신의 건강과 구강건강 상태가 좋아야 업무수행력을 높일 수가 있기에 노동자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제도적 확대 방안이 필요하며,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맞춤별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도입이 매우 필요하다고 사려된다.

OHIP의 구성개념 타당성 검증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validated for constituent concepts validity using OHIP)

  • 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41-453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831 industrial workers in Gumi City in Gyung-Sang-Buk Do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knowledge to improve quality of life though industrial workers' oral health promotion. Oral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ing were used to evaluate workers' oral health state and subjective health state and analyze their effect on quality of life. At the same time, the scales used in measuring the subjects' health state and quality of life-OHIP and WHOQOL-BREF-were validated for their constituent concepts and their relations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stituent concepts of OHIP and QOL factor structural models were validated since they were all in the range of appropriateness, as shown in the result of analysis using Indices of Fit-GFI, CFL, TLI and RMSEA. The result of analysis of constituent concepts to identitify the relations between OHIP and QOL confirmed that OHIP influences QOL.

  • PDF

외국인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리실태에 따른 구강건강영향지수(OHIP)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according to the oral health behavior of foreign workers)

  • 윤성욱;남인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51-459
    • /
    • 2015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ral health behavior, PHP index and OHIP, awareness,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oral health in the foreign factory workers. Thsi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foreigners' quality of life.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26 Sri Lankans and 76 Chinese over 20 years old in Daegu and Gyeongbuk from January to April, 2012 through man to man interview after receiving informed consent. The questionnaire included oral health status, PHP index and OHIP. Results: OHIP was closely related to sex, marital status, and medical expense burden. PHP index was closely related to religion and income. The averages of OHP and PHP were 4.36 and 3.7, respectively and very bad. OHIP was influenced by number of toothbrushing, time of toothbrushing, use of oral hygiene device, and dental visit within a year. PHP index was influenced by the area of toothbrushing, time of toothbrushing, and the dental visit within a year. Regression analysis of PHP index according to OHIP and oral care conditions showed the equation. Y(OHIP)=2.999+0.103(area of toothbrushing)+0.346(the use of oral hygiene article)+ 0.077(visiting to the dentist during the past one year)-0.173(PHP index)(p<0.05). Conclusions: Low PHP index in the foreign workers affected quality of life. So the company must provide the continuing oral health care for the foreign workers every year. The concern for the health care for the foreigners will improve oral health behavior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