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Impact Profil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7초

구강내 통증 환자에 대해 턱관절 자세 음양교정술을 병행한 한방치료 치험 1례 (A Case Study of the Patient with Glossodynia Treated by Korean Medicine Treatment with Postural Yinyang Corre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 박정현;김태경;이영준;김철홍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0-24
    • /
    • 2021
  • 본 증례에서는 발병일 이후 약 1년간 경구 약물 및 구강 세척액 등 서양의학적 처치를 지속하였으나 증상의 개선이 보이지 않던 설통 환자를 대상으로 FCST를 병행한 약침, 침, 한약 등 한방치료를 적용하여 설통이 소실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에, 설통 치료에 있어서 한의학 치료가 구강 및 혀의 통증 개선, 설 색의 변화 등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체 장애인의 베체트병 약물치료 중 발생한 구강 건조증 치험 1례 (A Case of Xerostomia that Occurred during Behcet's Disease Drug Treatment of a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 강병수;강덕;김종한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2-135
    • /
    • 2021
  • 2020년 7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일개 보건소 건강증진과에서 관할지역 거주 중증 장애인 중 뇌병변 장애와 지체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의약 장애인 방문건강관리 표준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이 중 1명의 중증 지체 장애인이 구강 건조증을 앓고 있어, 한의 치료의 개입을 통한 통합적인 관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팔물탕(八物湯) 연조엑스제를 포함한 한의 치료는 YDQ에 의해 음허(陰虛)로 변증된 지체 장애인의 약물 유발성 구강 건조를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호전시켰다. 2. 건강 보험에 포함된 한의 치료를 제공하여 한·양방 통합적 개입으로 양약으로 발생한 구강 건조 증상을 관리할 수 있었다. 3. 6개월간 투약된 팔물탕(八物湯) 연조엑스로 인한 이상 반응은 없었다. 4. 팬데믹 상황에서 한의약 방문 진료와 전화 진료가 혼합된 형태의 공공보건기관의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으로 장애인의 SHCN를 충족하고 장애인의 만성 질환 관리가 가능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본 연구는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 증상 및 질환도 보건소 한의약 건강증진사업으로 포함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유관 학회의 협력 및 지원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방 치료로 호전된 만성 설염 치험 1례 (A Case of Chronic Glossitis Improved by Korean Medical Treatments)

  • 김태준;곽병문;이유정;김희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12-126
    • /
    • 202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al treatments on chronic glossitis using Yanggyeok-sangagam based on tutakbeop(透托法), and Ikgibohyeol-tanggagam based on botakbeop(補托法) and bobeop(補法). Methods : We treated a 83-year-old female patient who had glossitis by Korean medicine and acupuncture treatment. These treatments were performed from 2020.8.4. to 2021.3.4. We have confirmed the improvement of white plaque like a pseudomembranous pattern lesion and pain. We recorded images that include change of symptoms. Results : After the treatments were done, the scores of numeric rating scale(NRS), oral assessment guide(OAG)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14(OHIP-14) were decreased. The NRS score was decreased from 7 to 1. The OAG score was decreased from 20 to 9. The OHIP-14 score was decreased from 34 to 5.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result, Korean medical treatments such as Korean medicine and acupuncture treatment, followed by the cure rules- tutakbeop(透托法), botakbeop(補托法) and bobeop(補法) can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glossitis.

Improvement in periodontal healing after periodontal surgery supported by nutritional supplement drinks

  • Lee, Jaeri;Park, Jung-Chul;Jung, Ui-Won;Choi, Seong-Ho;Cho, Kyoo-Sung;Park, Yoo-Kyoung;Kim, Chang-S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4권3호
    • /
    • pp.109-117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utritional supplements on periodontal health and tooth mobility after surgery. Methods: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intervention group who consumed nutritional supplement drinks for 8 weeks, while the placebo group did not receive any such supplements. The gingival index (GI) and tooth mobility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t 1, 4, and 8 weeks. In addition,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14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long with loss of appetite and dietary intake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8 weeks. Results: At 1 week, GI values were reduced in the intervention group (P<0.05), and tooth mobility had increased, but to a lesser extent in the intervention group (P<0.05). At 8 weeks, the intakes of protein, vitamins A and B1, and niacin were increased in the intervention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nutritional supplementation improves early periodontal healing after surgery.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in Long-term Care Center)

  • 신민우;안권숙;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24-537
    • /
    • 2017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특성,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 신체적 기능(ADL, IADL) 및 정신적 기능(CES-D, MMSE-K)과 삶의 질(WHOQOL-BREF)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장기요양인정자로 판정받은 장기요양시설급여노인 602명으로 하였으며, 2016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직접 면접조사와 구강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생활비조달을 본인이 하는 경우보다 자녀가 조달하거나 정부의 보조를 받는다는 군에서, 요양기간이 길수록,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식사를 규칙적으로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하다는 군보다 건강하지 않다는 군에서, 1일 칫솔질 횟수가 적을수록, 구강건조증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가 낮을수록, 신체적 기능(ADL, IADL)이 낮을수록, 정신적 기능(CES-D, MMSE-K)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낮았다. 특히 삶의 질은 다른 요인보다 건강관련행위특성과 정신적 기능(CES-D, MMSE-K)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건강관련행위를 비롯하여 우울 및 인지기능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tandardizing the evaluation criteria on treatment outcomes of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a systematic review

  • Kim, Ha-Young;Shin, Sang-Wan;Lee, Jeong-Yo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6권5호
    • /
    • pp.325-332
    • /
    • 2014
  • PURPOSE. The aim of this review was to analyze the evaluation criteria on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suggest standardized evaluation criteria. MATERIALS AND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by PubMed search strategy and hand-searching of relevant journals from included studies considering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Randomized clinical trials (RCT) and clinical trial studies comparing attachment systems on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s until December, 2011 were selected. Twenty nine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and the data about evaluation methods were collected. RESULTS. Evaluation criteria could be classified into 4 groups (implant survival, peri-implant tissue evaluation, prosthetic evaluation, and patient satisfaction). Among 29 studies, 21 studies presented implant survival rate, while any studies reporting implant failure did not present cumulative implant survival rate. Seventeen studies evaluating peri-implant tissue status presented following items as evaluation criteria; marginal bone level (14), plaque Index (13), probing depth (8), bleeding index (8), attachment gingiva level (8), gingival index (6), amount of keratinized gingiva (1). Eighteen studies evaluating prosthetic maintenance and complication also presented following items as evaluation criteria; loose matrix (17), female detachment (15), denture fracture (15), denture relining (14), abutment fracture (14), abutment screw loosening (11), and occlusal adjustment (9). Atypical questionnaire (9), Visual analog scales (VAS) (4),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1) were used as the format of criteria to evaluate patients satisfaction in 14 studies. CONCLUSION. For evaluation of implant overdenture, it is necessary to include cumulative survival rate for implant evaluation. It is suggested that peri-implant tissue evaluation criteria include marginal bone level, plaque index, bleeding index, probing depth, and attached gingiva level. It is also suggested that prosthetic evaluation criteria include loose matrix, female detachment, denture fracture, denture relining, abutment fracture, abutment screw loosening, and occlusal adjustment. Finally standardized criteria like OHIP-EDENT or VAS are required for patient satisfaction.

맞춤형 턱관절 균형 구강내 장치를 활용한 턱관절 자세 음양교정술의 환상미각증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Phantogeusia Managed by Postural Yinyang Corre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 with Customized TMJ Balancing Intraoral Appliance)

  • 박은진;임재은;이영준;김철홍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4-29
    • /
    • 2018
  • 본 증례에서는 발병한지 1개월 된 환상미각증 환자에게 FCST의 CBA를 이용한 상부 경추 교정 치료를 시행하여 환상미각 증상이 완전 소실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다른 치료를 병행 하지 않고 CBA를 이용한 상부 경추 교정 치료만으로 효과를 본 것에 임상적 의의가 있다. 뇌신경계의 안정을 목표로 비침습적인 구강내 장치를 이용하여 미각이상 증상의 개선을 관찰하였고, 추후 미각장애에 대하여 FCST 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작은 직경 임플란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에 대한 환자 만족도 조사 (Patients satisfaction for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with small diameter implant)

  • 이상엽;최대균;백장현;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9-37
    • /
    • 2011
  • 연구 목적: 양악 총의치를 사용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악에 4개의 작은 직경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로 전환 시 환자의 만족도 (저작, 유지, 발음, 심미, 사회적 문제, 심리적 문제)를 평가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60세 이상의 완전 무치악 환자 중 상하악 총의치를 장착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에 진단 스텐트를 이용한 방사선 사진 (CT, panorama) 촬영을 시행하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의치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후 하악 이공 전방부에 4개의 mini dental implant 식립 및 immediate loading 후 방사선 사진 촬영을 하였다. 식립 1달 후와 3달 후에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수술 전과 동일한 설문지를 통한 overdenture 사용 시 만족도 조사하였다. 결과: 현재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1. 총 36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으며 이중 1개의 임플란트가 실패하여 97.2%의 생존률을 보였다. 2. 임플란트 식립 전, 후 만족도 비교는 oral health impact profile 49를 이용한 설문 조사를 통해 이루어 졌다. 저작 시 불편감, 유지, 발음, 심미, 사회적 활동시 불편감, 심리적 불편감 등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5점 기준으로 불편감이 심할 수록 낮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상승하였다. 그 중 유지력 면에서 가장 크게 만족도가 상승하였으며 사회활동시 불편감, 심리적 불편감, 저작시 불편감, 심미, 발음 순으로 개선되었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하여 mini dental implant를 이용한 의치를 사용시 환자의 만족도가 높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추 후 좀 더 많은 환자를 통해 장기간 연구를 할 예정이며 추가적인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임플란트 주위 골 소실 여부를 관찰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