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Health Evaluation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34초

맞춤형 반복교육에 따른 구강건강 관리효과 (Control Effect of Oral Health Following Individualized Repeated Instruction)

  • 조민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61-365
    • /
    • 2008
  • 본 연구는 환자 스스로 구강관리를 적절히 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도록 개개인을 상대로 4차례의 맞춤형 구강교육을 실시하여 성별, 나이별, 직업별, 가정의 월 평균 소득별, 학력별로 1차에서 4차까지의 치면세균막 관리점수를 산출하고, 이를 분석하여 환자의 구강관리 정도를 평가함으로서 국민 구강건강 증진을 위해 환자별 맞춤형 구강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1. 환자별 맞춤형 구강교육의 진행에 따라 치면세균막관리점수가 높아졌다. 2. 성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남자보다 여자의 점수가 조금 더 높았으나 큰 점수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3. 나이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50~59세, 30~39세가 전체 치면세균막 평균점수보다 1차~4차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20~29세, 40~49세, 60세 이상은 1~4차 모두 낮게 나타났다. 4. 직업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무직과 전문직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5. 가정의 월 평균 소득별 치면세균막 관리 평균점수는 250만원 미만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250~500만원 미만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6. 학력별 치면세균막 관리점수는 1차와 2차에서는 대졸이상이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3차와 4차에서는 전문대졸 또는 대학중퇴가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 PDF

OHIP-14를 이용한 일부 요양기관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Evaluation of the qualite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among elderly people in some elderly care facilities by OHIP-14)

  • 장선희;최미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75-487
    • /
    • 2011
  • Objectives :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and social changes have fueled a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elderly care facilities, but health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especially oral health services, have long been overlook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care of elderly residents in elderly care facilities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elderly's oral health care and the development of dental care programs geared toward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0 elderly people who were in elderly care facilities in Jeolla Province. An individual interview was held, and they got a dental checkup. As for data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utilized, and Scheffe post-hoc test was employed. Results : 1. In relation to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the elderly people investigated got a mean of 4.58, 4.47, 4.38, 4.09, 3.94, 3.91 and 3.76 respectively in activity disorder, mental disorder, social disorder, mental inconvenience, functional disorder, physical pain and physical disorder. 2. Concerning the overall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in this aspect according to gender, age, presence or absence of systemic disorder, presence or absence of eating difficulties, subjective health status, subjective oral health state and oral health concern. 3. The presence or absence of root carie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physical pain and social disorder among the subfactors of the OHIP-14, but that had nothing to do with functional disorder, mental inconvenience, physical disorder, mental disorder and activity disorder. Conclusions : The oral health indexes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in Jeolla Province were measured, and what factors affected the subfactors of oral health was checked. As a result, there appeared a close relation ship between or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effective oral health plans that cater to the elderly should be carried out to improve elderly people's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who stay in long-term elderly care facilities. In the future, prolonged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from diverse angles for the sake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양호교사의 학교구강보건에 대한 태도와 의견 (Attitudes and Opinions about School Oral Health Care among Health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

  • 전진호;류원향;이성훈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5-218
    • /
    • 2002
  • Objectives : Becau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re sensitive and prevalent to dental caries, oral health care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OHCP) should be met the first priority for the national oral health care progra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posed the guidelines for executing the efficient ESOHCP through the evaluation of present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 status based on the attitudes and opinions of health teachers. Methods : Subjects were 181 health teachers those are a part of the total 273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in Busan. From April to June 2001, questionnaire survey on the teacher's attitude and opinion, present status of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 in their own school was done. Data was analyzed by $\chi^2$-test, t-test, ANOVA using SAS (ver 6.21) program. Results : Mean age of the teachers was 40 years (24~58 years) and mean scale of the subject school was 32 classes (5~58 classes). Above 90% of them agreed with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SOHCP, but actual level of concerning was lower. They gained the informations about oral health mainly from media (33%), PC net (26%), academic society (25%), and more used internet (p=0.012) in younger generation. Though most of them (96%) had a specified school dentist, only 58% had the experience of periodic oral health examinations in their own school. The major experienced ESOHCP was fluoride brushing and contest to choose the best healthy teeth. Oral health education given by the teachers was not professional but their own. About half (42%) of the teachers had never taken education during last one year. Major education materials were VTR tape (79%), teeth model (64%), CD (55%), booklet (50%), etc., and the teachers' preference was also VTR tape (43%) and CD (41%). When they need education materials, they frequently request to dentist's association (36%), academic society (35%), but rarely to dental clinics or dentists (6%). They prefer that two times (46%) of annual oral health education, with the contents of regular brushing (53%), but lower regular visit to clinics (13%). The interest to oral health care (p=0.016) increased with teacher's age. And, they agreed regular students education in case of higher interest(p=0.044). Intention about join in the model school program was decreased with scale of school (p=0.002). Conclusions : This result showed that the present status of ESOHCP is still insufficient. It considered that the health teachers' interest and role is most important for the maintenance and success of ESOHCP. The professional and efficient education program would be focused on the health teachers to induce drive on ESOHCP.

노인의 인지기능과 구강건강상태의 관련성: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를 중심으로 (Relevance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oral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Focusing on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 김인자;문희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33-340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oral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Methods: In this study, 5,794 respondents, aged 55 or older, who had participated in the 7th aging research panel survey were use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a complex samples cross-tabulation analysis, complex samples general linear model, and a complex sampl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fter analyz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oral health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suspicions of dementia (19.6%) and cognitive function decline (25.9%) were more common for those who wore dentures than for those who did not wear dentures (p<0.001).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wear dentures, those who wore dentures were linked to a 1.665 times higher suspicion of dementia (p<0.001). In comparison, cognitive decline was 0.964 times lower when the number of natural teeth increased by 1, and it was 0.941 times lower when the oral health evaluation index for the elderly increased by 1 point (p<0.001).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ognitive function and oral health status are related in the elderly. Therefore, systematic measures for oral health management and oral health promotion should be prepared in tandem with awareness of possible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일부 지역아동센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효과 평가 (Evaluation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Effect from some Part of Community Child Center)

  • 신선정;류다영;배수명;최용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3-171
    • /
    • 2011
  •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아동에게 일상적 구강보건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목적으로 일부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전문가와 지역아동센터 교사가 협력하여 운영한 4주간의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 후의 구강보건지식을 평가한 결과 교육 전 3.43점에서 교육 후 4.40점으로 상승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2. 구강보건인식의 점수를 분석한 결과는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에 16.3점에서 운영 후 18.7점으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구강보건인식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증가하였다(p<0.05). 3.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전후 구강건강행동의 변화에서 간식자체를 먹지 않거나 2~3일에 1회 섭취한다는 빈도와 어제 칫솔질 여부는 소폭 증가하였다. 4. 반복적인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아동들의 구강 내 치면세균막관리 점수는 개선되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들의 지속적인 감독과 교육이 진행될 수 있도록 구강건강 프로그램의 내용 개발과 프로그램의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ral findings and dental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Moebius syndrome: a case report

  • Lee, Eunkyoung;Kim, Youngjin;Kim, Hyunjung;Nam, Soonhyeun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1-105
    • /
    • 2014
  • Moebius syndrome is a rare, congenital neurological disease involving facial paralysis and limitation of eye movements. It results from maldevelopment of the sixth and seventh cranial nerves. Dental features of this syndrome include micrognathia, microstomia, tongue deformity, cleft palate, hypoplasia of the teeth, and congenital missing teeth. A 7-year-old female with Moebius syndrome was referred from a local dental clinic for caries treatment. She presented with facial paralysis and microstomia. Oral findings included multiple caries with enamel hypoplasia, congenital missing teeth, and tongue deformity. Dental treatments including restorative and preventive procedures were performed. Oral findings and management aspects of Moebius syndrome for this case are discussed. Early evaluation and multidisciplinary care are needed for children with Moebius syndrome.

보건(지)소 치과위생사의 구강보건직무교육실태에 관한 단면적 조사연구 (A Cross-Sectional Study on Job Training Course of the Dental Hygienists at the Public Health (sub)Centers)

  • 김승희;김순복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3-89
    • /
    • 2009
  • 본 연구는 구강보건관련 직무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직무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4년 4월부터 5월까지 전국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1,255명의 치과위생사 중 층화무작위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380명의 대상자들에게 2003년도 구강보건사업관련 직무교육실태 및 교육과정내용의 필요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상자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보건(지)소의 치과위생사 집단의 일반적 특성에서 보건지소 근무치과위생사가 61.1%이었고, 보건소 근무 치과위생사가 35.3%이었으며, 연령은 36~40세가 62%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경력은 11~15년이 48.4%, 16년 이상이 35.7%, 10년 이하가 15.9%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장 높은 직급은 의료기사 7급이 85.5%로 나타났다. 2. 2003년 구강보건관련 직무교육 수료자율은 28.9%, 미수료자율은 71.1%이었고 '직무교육이 업무수행에 도움이 되었다'가 65.6%, '보통이다'가 34.4%, '도움이 되지 않았다'가 0%로 업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의견이 높았다. 또한 교육받지 않은 이유로는 '행정상 시간상 이유로 신청하지 않았다'가 44.6%, '신청을 하여도 선정이 안 되었다'가 29.3%순이었으며, 치과위생사업무가 아닌 타업무에 종사하여서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도 13.4%로 나타났다. 3. 직무교육의 교육과정내용별 필요에 대한 인식도는 초등학교 예방진료가 4.42, 구강보건교육이 4.41, 유아구강보건사업과 노인구강보건사업이 4.04, 장애인구강보건사업이 3.92, 구강보건기획 평가가 3.85, 구강보건진단이 3.69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근무기간에 따른 인식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 > 0.05), 근무지에 따른 인식도의 차이는 구강보건 기획 평가와 구강보건진단에서 보건소와 보건지소 근무치과위생사간에 유의성이 나타났다(p < 0.001). 4. 직무교육의 적당한 시기로는 전반기가 39.8%, 연중 무관하다가 34.4%, 중반기가 12.2% 로 나타났고, 전문치위생사 양성과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79.2%로 나타났다.

  • PDF

일부 보건소 고혈압·당뇨관리교실 연계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논리적 모형을 이용하여 (Evaluation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Connected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Management Programs: Use of a Logical Model)

  • 유상희;신보미;배수명;신선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93-301
    • /
    • 2016
  • 본 연구는 강릉시보건소 고혈압 당뇨관리사업과 구강보건사업을 연계한 통합건강증진사업을 기획, 수행하고 단계적 평가지표를 제시하여, 고혈압 당뇨관리교실에 등록한 30세 이상의 성인 중 48명을 대상으로 진료실 개별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인력 시설 장비 등의 구조평가와 담당자의 적절성 및 프로그램 운영 충실도 등의 과정평가를 통해 사업의 기획 및 수행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개선방안 모색을 통해 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결과평가 결과로 '구강건강지식'은 8점 만점에 1차 5.52점, 2차 7.42점으로 나타났으며(p<0.001), '구강건강인식'은 20점 만점에 1차 13.31점, 2차는 17.29점으로(p<0.001) 지식과 인식 문항 모두 1차에 비해 2차 점수가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치은출혈' 검사 결과 1차 '출혈 있음'이 89.1%, 2차 71.7%로 감소하였으며(p=0.021), 'PHP index' 검사 결과 1차 3.28점, 2차 2.42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만족도는 '매우 만족, 만족'이 98.0%, 재참여 의사 및 권유 의사는 '매우 그렇다, 그렇다'가 각 97.9%, 93.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사업담당자 1:1 면접설문조사를 통한 질적 평가 결과,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구성의 적절성'은 내용이 짜임새있게 구성되어 '매우 적절, 적절'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연계 절차의 적절성'은 현황 및 요구도 조사에서 대상자의 위험요인을 적절히 파악하여 연계가 이루어졌으며, 당뇨와 치주질환의 연관성에 따라 사업을 연계하여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성과지표의 적절성'으로는 '참여 인원수, 효과성(치은출혈, PHP index, 구강건강지식 및 인식), 만족도 평가'가 성과지표로 '매우 적절,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논리적 모형의 사업은 투입-활동-산출-결과에 따라 구조, 과정, 결과 평가지표로 구조화되어 단계적 평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균형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평가지표는 정량적 지표와 정성적 지표로 구성되어 체계적인 사업 평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고혈압 당뇨관리교실 내소자의 통합적 건강관리를 위해 본 연구에서 기획된 개별 관리 프로그램과 평가지표의 적용 확대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며, 논리적 모형을 적용한 프로그램의 일반적인 적절성과 평가지표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만성질환 관리 측면에서 공통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운영과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울산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지식과 행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of Industrial Workers at Ulsan Province)

  • 김연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7-23
    • /
    • 2009
  • 본 연구는 울산 현대 중공업 근로자 244명을 대상으로 2008년 5월 20일부터 6월 30일까지 구강건강 수준 및 인식도와 행태를 분석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근로자의 예방목적 치과방문은 20대 보다 50대가 높았고(p < .001), 구강위생용품 사용은 중학교 졸업군보다 대학교 졸업 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5). 2. 구강보건지식은 중학교 졸업 군보다 고등학교 졸업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5). 1일 잇솔질 횟수는 3-5회가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고(p < .01), 교육정도별로는 중학교 졸업보다 대학교 졸업이 높게 나타났다(p < .001). 3. 구강건강상태에서 연령별은 50대 군보다 20대 30대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1). 교육정도별은 중학교 졸업 군보다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 졸업 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 .001). 구강건강 감수성에 대한 자기평가는 중학교 졸업 군보다 대학교 졸업 군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5). 4. 치과방문, 발치 수, 잇솔질 횟수 간의 상관관계는 치과방문과 구강보건지식 간에 가장 큰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다(r = .233, p = .001). 구강보건지식과 잇솔질 횟수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r = .161, p = .05). 또한 잇솔질 횟수와 발치 간의 관계는 음의 관계를 보였다(r = -.145, p = .05).

  • PDF

입원환자의 경구용 levofloxacin 약물 사용 평가 (A trial of Drug use Evaluation of oral levofloxacin in the Hospitalized Patients)

  • 노은숙;박윤희;방은미;김원규;임금숙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5-109
    • /
    • 2009
  • In July 2008, The National Police Hospital has developed the CPOE system(Computerized Physician Order Entry system) which links the medicine master and introduced the new program for the injectable antimicrobial agents. After introducing new system, we wanted to check the management of oral antimicrobial agents. Because new system has limitation that new system control only the use of the injectable antimicrobial agents. So we tried to evaluate the use of oral levofloxacin, which was chosen by a medical specialist of the infection.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appropriateness of oral levofloxacin through EMR(Electric Medical Record) of 72 inpatients who received oral levofloxacin in National Police Hospital in December 2008. We applied the modified ASHP(American Society of Health- System Pharmacists) DUE(Drug Use Evaluation) criteria, which is composed of justification of drug use, critical indicators, complications and outcome measures. Acceptable cases of use of levofloxacin were 67(93.01%) and 57cases(79.2%) showed good outcome. However critical indicators were not performed very well. We want to suggest the new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the medical therapeutics by the pharmacist in charg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