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um Temperature

검색결과 6,353건 처리시간 0.028초

Lactobacillus casei IFO 3012 와 Kluyveromyces fragilis KFCC 35458의 혼합배양에 의한 두유의 젖산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in Soymilk by Single and Mixed Cultures of Lactobacillus Casei and Kluyveromyces fragilis)

  • 유주현;류인덕;박정길;임홍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8-525
    • /
    • 1988
  • 두유를 L. casei로 젖산발효시킬 때 L. casei 단독발효와 효모인 K. fragilis와의 혼합발효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두유를 L. casei로 단독발효한 경우 보다 K. fragilis와 혼합발효한 경우 산생성량이 많고 산생성속도가 빨랐다. 이 두균을 혼합배양하여 산생성을 높이기 위한 발효조건은 두유에 sucrose를 1.0% 또는 skim milk를 2.0%첨가하고 L. casei와 K. fragilis를 O.D 660값으로 $1\;:\;5{\sim}1\;:\;9$되게 접종하여 $35{\sim}37^{\circ}C$의 온도에서 24시간 발효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두유를 L. casei로 단독발효 한 경우와 L. casei와 K. fragilis로 혼합발효한 경우의 산도는 각각 0.31%와 0.44%로서 혼합발효한 경우가 1.42배 높았다. sucrose를 1.0% 첨가한 두유를 사용하였을 경우는 각각 0.43%와 0.97%로서 혼합발효한 경우가 2.26배 높았다. 그리고 skim milk를 2.0% 첨가한 두유를 사용하였을 경우는 각각 1.05%와 0.99%로서 L. casei로 단독발효한 것과 K. fragilis와 혼합발효한 것 사이에 차이가 없이 같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단지 skim milk를 1.5%이하로 첨가했을 때만 L. casei로 단독발효한 것보다 K. fragilis와 혼합발효 한 것이 산생성량이 많았다.

  • PDF

SCP 생산용 메탄올 자화균주의 연속배양에 의한 배지 최적화 (The Medium Optimization through Continuous Culture of an Methanol Utilizing Bacterium for SCP Production)

  • 김창호;김태진홍석인
    • KSBB Journal
    • /
    • 제5권4호
    • /
    • pp.355-363
    • /
    • 1990
  • 서울 인근의 생활하수에서 메탄올을 이용하는 박테리아를 분리하였다. 이의 최적 성장을 위한 온도 및 pH는 각각 $33^{\circ}C$ 및 7.1이었다. 최대비성장율은 $0.42hr^{-1}$을 나타내었다. 최소 배지조성은 기본배지의 양을 안정상테에서 연속발효법으로 구하였으며, 그 조성은 다음과 같다(g / l); Methanol 40, $(NH_4)_2\;SO_42,\;KH_2PO_4\;1.5,\;K_2HPO_4\;0.2,\;H_3PO_4\;0.79,\;Na_2HPO_4{\cdot}12H_2O\;0.15,\;MgSO_4{\cdot}7H_2O\;1.5,\;FeSO_4{\cdot}7H_2O\;0.034,\;MnSO_4{\cdot}4H_2O\;0.005,\;CuSO_4{\cdot}5H_2O\;0.0027,\;CaCl_2{\cdot}2H_2O\;0.25,\;ZnSO_4{\cdot}7H_2O\;0.007,\;(NH_4)_6\;Mo_7O_{24}{\cdot}4H_2O\;0.00048,\;H_3BO_3\;0.00068,\;CoCl_2\; 0.00024$ 최적 배지 조건에서 구한 최대 세포생산성은 3.8g / l / hr였으며, 이때의 회석율은 $0.23hr^{-1}$이었다. 최대 세포농도와 그대의 단백질의 함량은 각각 19.5g / l 및 70%였으며, 이때의 회석율은 $0.1hr^{-1}$이었다.

  • PDF

Microcontact Printing을 이용한 미세패턴 ZnO 박막 제조 (Preparation of in situ Patterned ZnO Thin Films by Microcontact Printing)

  • 임예진;윤기현;오영제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649-656
    • /
    • 2002
  • Zn(NO$_3$)$_2$ 수용액과 urea[CO(NH$_2$)$_2$]를 이용한 침전법과 Self-Assembled Monolayers(SAMs)를 이용한 microcontact printing 방법으로 미세 패턴화된 ZnO 박막을 Al/si0$_2$/si 기판 위에 제조하였다. Zn(NO$_3$)$_2$와 urea를 혼합하여 제조한 Zn(OH)$_2$ 박막은 침전온도와 urea 량이 증가할수록 Zn(OH)$_2$의 침전량이 증가하였고 Zn(NO$_3$)$_2$와 urea의 반응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Zn(OH)$_2$ 박막의 두께와 입자 크기가 증가하였다. Zn(NO$_3$)$_2$와 urea의 혼합비를 1 : 8, 용액의 침전 온도를 오일 bath내에서 8$0^{\circ}C$, 반응시간을 1시간으로 하여 Al/SiO$_2$/Si 기판 위에 침전된 Zn(OH)$_2$ 박막을 $600^{\circ}C$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균질한 크기의 ZnO 박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Microcontact printing방법으로 소수성과 친수성 SAMs인 Octadecylphosphonic Acid(OPA)와 2-Carboxyethylphosphonic Acid(CPA)를 각각 Al/SiO$_2$/Si 기판 위에 선택적으로 흡착한 후에 친수성 SAM인 CPA위에 Zn(OH)$_2$를 침전시켜 미세 패턴화된 ZnO 박막을 제조할 수 있었다

역삼투막 공정을 이용한 붕산수 중의 실리카 제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moval of Silica from the Boric Acid Solution by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

  • 구본문;임지원;이태원;박길웅
    • 멤브레인
    • /
    • 제5권4호
    • /
    • pp.137-144
    • /
    • 1995
  • Hydranautic사의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재질로 된 RO S/W 4040을 이용하여 2성분계의 붕산수용액 및 붕산수에 함유된 실리카의 3성분계 수용액에 대하여 조업온도, 운전압력 및 공급유량 변화가 투과량, 붕산회수율, 실리카 배제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붕산수용액의 경우 35$^{\circ}$C, 20atm 및 원액의 유속이 2.82l/min에서 붕산회수율 및 투과도는 각각 58.7% 및 2.82l/min, 35$^{\circ}$C, 10atm에서는 68.1% 및 1.56l/min이었다. 또한 실리카 및 붕산이 함께 함유된 용액의 경우 35$^{\circ}$C, 3.2atm에서 붕산회수율 69.7%, 실리카 배제율 97.5% 및 투과도 0.47l/min의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35$^{\circ}$C, 20atm에서 원액의 유속이 2.92l/min의 경우 붕산회수율 56.4%, 실리카 배제율 96.1% 및 투과도 2.72l/min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 PDF

플라즈마 풍동 시설용 분절형 아크 플라즈마 토치의 이론적 설계변수 해석 (Analytical Analysis of Segmented Arc Plasma Torch for Plasma Wind Tunnel Facility)

  • 서준호;최수석;최성만;홍봉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85-93
    • /
    • 2011
  • 아크 채널 모델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온도를 매개로 플라즈마 입력전력과 전류 조건에 따른 간극 반지름(R) 및 간극팩 묶음 길이(L) 변수 계산이 가능한 해석해를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300 A 전류조건에서 0.4 MW 급 분절형 아크 플라즈마 토치에 대한 해석적 설계 변수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R��${\leq}$ 7.5 mm, L ${\leq}$ 1.25 m 인 범위에 대해, L이 길어지거나 R이 작아질 때, 플라즈마 온도는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이상의 범위에서는 증가하다 감소하는 비선형 현상이 존재하여 주어진 전류 및 전력조건에서 아크 플라즈마의 형성이 불가능하거나 불안정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입력전류가 300 A 일 때, 아크 플라즈마 온도를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지는 0.4 MW 급 분절형 아크 플라즈마 토치의 간극 반지름 R 및 간극팩 묶음 길이 L의 설계범위를 각각 5.5 mm ${\leq}$ R ${\leq}$ 7.5 mm, 0.25 m ${\leq}$ L ${\leq}$ 0.5 m 범위로 제안하였다.

수확후 유통중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딸기 무름병 발생 (Occurrence of Strawberry Soft Rot by Rhizopus stolonifer on Distribution after Harvest)

  • 권진혁;윤혜숙;남명현;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7-119
    • /
    • 2009
  • 2008년 4월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유통 판매중인 딸기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과실표면에 상처 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면서 빠르게 부패되었다. 균총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갈색으로 되고 검은색의 포자낭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이었다. 포자낭은 검은색으로 구형 또는 반구형이며 크기는 $82{\sim}195{\mu}m$이었다. 포자낭경은 처음 흰색에서 연한 회색을 나타내며 폭은 $12{\sim}24{\mu}m$이었다. 주축은 반구형이며 크기는 $68{\sim}92{\mu}m$ 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이고 불규칙한 것도 있으며 크기는 $9{\sim}20\;{\times}\;7{\sim}8{\mu}m$이었다. PDA배지에 배양할 경우 포복균사를 형성하는데 접촉부위에 뿌리모양의 가근을 형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딸기 과실에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본 병해를 Rhizopus stolonifer에 의한 딸기 무름병으로 보고한다.

표면 활성화된 폐 EPDM 분말의 물성과 냄새 성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urface Activated Waste EPDM and The Analysis of Odor Materials)

  • 최종만;김섭;정경호;정진수;유태욱;양준호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2권4호
    • /
    • pp.249-25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웨더스트립 공정스크랩인 폐 EPDM을 재활용하기 위해 고온전단분쇄기를 이용하여 표면활성화 된 EPDM 분말을 제조하여 이의 물성과 냄새성분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폐 EPDM은 solid, sponge, solid+sponge, solid+metal형으로서 입도분석과 SEM을 통해 입자크기와 입도 분포도를 조사하였고, 가교제를 첨가하여 활성화 된 분말표면의 재가교 여부를 조사하였다. Solid형의 경우 가장 좁은 입도 분포도와 작은 입자크기, 상대적으로 높은 인장 물성을 나타내었다. 화학적 표면 탈황을 유도하기 위해 표면활성화제를 첨가한 결과 표면활성화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효율적인 탈황이 유도되었다. TPE제조를 위해 폴리올레핀과의 블렌드 시 활성화된 EPDM 분말의 동적가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교제를 첨가하여 반응을 진행한 결과 황을 첨가할 경우 가교반응이 진행되지 않았고, DCP(dicumyl peroxide)의 경우 6 phr이 첨가되었을 때 효율적인 표면 가교반응 및 최적의 인장 물성을 나타내었다. 화학적 표면 활성화를 유도한 폐 EPDM 분말의 경우 표면활성화제의 첨가로 인해 냄새가 발생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수분흡착 공정과 rose oil 첨가 공정을 진행하였으며 GC/MS를 통해 냄새 성분을 분석하였다.

한국산(韓國産) 가문비나무 자생집단(自生集團)의 구과(毬果), 종자(種子) 및 발아특성(發芽特性) 변이(變異) (The Variation of Cone, Seed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Picea jezoensis (Siebold & Zuccarini) Carriere Populations in Korea)

  • 송정호;장경환;김두현;임효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75
    • /
    • 2011
  • 우리나라 가문비나무 천연집단의 구과,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 변이를 조사하였다. 지리산과 덕유산 집단의 25개 개체목에서 구과를 채취하여 13가지 구과 및 종자특성과 3가지 발아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종자의 폭 및 무게, 종자날개지수 및 평균발아일수 특성을 제외한 9개 형질들에서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변이계수 값은 구과와 종자의 무게, 충실율, TTC, 발아율 및 발아속도 형질들에서 29.7%~57.1% 범위의 높은 값을 보였으며, 나머지 형질들에서는 10% 내외의 비교적 변이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형태적 특성은 지리산집단의 경우 구과 및 종자날개가 작으며 긴 경향을 보인반면 덕유산 집단이 종자가 크고 긴 형태를 나타냈다. 종자충실율과 TTC 활력은 지리산 집단이 덕유산 집단에 비해 각각 1.79배, 1.87배 정도 우수한 집단간 차이를 나타냈다. 가문비나무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온도조건의 영향을 보면 발아적온은 $20^{\circ}C$였으며, 이때의 평균발아일수는 7.5일, 발아속도는 2.9개/일로 나타났다. 지리산 집단의 경우 평균발아율이 40.7%, 발아속도가 0.90개/일로서 덕유산 집단(17.7%, 0.37개/일)보다 발아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과, 종자 및 발아특성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국내 가문비나무 천연집단은 종자활력이 한정된 분포에 따른 근친교배 및 특정 개체의 편중개화 현상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어 소멸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N-Acyl Taurates의 환경친화적인 제조공정 개발 및 이의 물성 연구 (Development of Environmental-friendly N-Acyl Taurates Manufacturing Process and Evaluation of their Physical Properties)

  • 박지나;송아람;정용우;배재흠;지흥진;임호
    • 청정기술
    • /
    • 제11권4호
    • /
    • pp.195-204
    • /
    • 2005
  • 기존 공정에 비하여 오염물 발생이 적고 수율이 60 % 이상의 환경친화적인 새로운 N-acyl taurate 단일축합공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공정의 최적 운전조건은 석유계 정제유인 parasol 123 용매와 반응촉매로 sulfone산계 촉매와 인산계 촉매의 혼합촉매를 사용할 때 반응온도가 $210{\sim}230^{\circ}C$이며 반응시간이 6 ~ 9시간 이었다. 이렇게 제조된 제품은 기존 수입된 N-acyl taurate와 비교하여 산가, 아민가, 색상 등의 물성이 비슷하거나 더 좋고 부산물도 적게 배출되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공정이 기존 공정보다 우수한 공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조된 N-acyl taurate를 시판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표면장력, 기포력, 기포안정성, 경수안정성, 유화력 등의 물성을 비교할 때 동등 이상의 물성을 보여 기존의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Glomerella cingulata에 의한 비름 탄저병 (Anthracnose of Amaranthus mangostanus Caused by Glomerella cingulata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0-43
    • /
    • 2003
  • 2002년 9월 경상남도 산청군 비름 군락지에서 줄기에 탄저병이 발생하였다. 분리된 병원균의 PDA 배지에서 균총은 회색이고 배지상에서 자낭을 형성하였다. 분생포자 모양은 단세포로 원통형이며 크기는 $10.5{\sim}21.7{\times}3.8{\sim}6.0{\mu}m$였다. 부착기 모양은 원통형 또는 난형으로 암갈색을 띠고 크기는 $5.6{\sim}13.7{\times}4.6{\sim}11.4{\mu}m$였다. 자낭각의 색깔은 검은색으로 구형이며 크기는 $79.7{\sim}286.7{\mu}m$였다. 자낭은 8개이며 모양은 곤봉 또는 원통형이며 크기는 $47.7{\sim}89.7{\times}8.1{\sim}13.3{\mu}m$였다. 자낭포자는 방추형 또는 원통형으로 약간 굽었으며 크기는 9.3{\sim}20.3{\times}4.6{\sim}6.3{\mu}m$였다. 분리된 병원균을 건전한 비름에 접종한 결과 감염을 일으켰으며 병징은 같았다. 이 병원균을 Glomerella cingulata에 의한 비름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