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mistic earnings forecast bia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기업의 해외시장 집중화가 애널리스트 성과예측정보에 미치는 영향: 최고경영자 특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Firms' Foreign Market Focus on the Bias of Analysts' Earnings Forecasts: Focusing on CEO Characteristics)

  • 조혜진;안혜성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1호
    • /
    • pp.195-213
    • /
    • 2019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irms' foreign market focus on the optimistic bias of analysts' earnings forecasts. Based on a sample of 852 U.S. manufacturing firms between 1994 and 2015, our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higher growth of foreign market focus is associated with greater levels of analysts' forecast optimism. Drawing on the CEO career horizon and the upper echelon theory literature, we find evidence that CEOs' career horizon and functional background as a CFO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rate of foreign market focus and analysts' forecast optimism. This shows that while financial analysts perceiv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as signaling growth potential, such perception can vary depending on CEOs' individual characteristics.

경영자 능력이 재무분석가 이익예측 정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nagerial Ability on Analysts' Earnings Forecast)

  • 박보영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213-227
    • /
    • 2016
  • 본 연구는 경영자의 능력이 자본시장에서의 정보비대칭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2,246개 기업-연도 표본을 대상으로 경영자의 능력이 정보비대칭 변수의 대용치인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정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Demerjian et al. (2012)의 방법에 따라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이용하여 경영자의 능력을 측정하였고, 이렇게 측정된 경영자의 능력 변수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오차(error) 및 편의(bias) 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영자의 능력이 뛰어날수록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오차가 감소하였고, 재무분석가의 낙관적인 이익예측편의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영자의 높은 능력으로 인한 회계정보의 질적 향상이 자본시장에서 정보비대칭 현상을 감소시켰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공헌점을 가진다.

  • PDF

경영자의 이익예측정보공시가 미래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on Future Earnings Quality)

  • 김선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363-372
    • /
    • 2017
  • 본 연구는 경영자가 제공하는 이익예측정보가 미래 이익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기간은 관심변수(종속변수)를 기준으로 하여 2003년부터 2009년까지(2004년부터 2011년까지)이며, 유가증권상장기업 중 경영자가 영업이익의 예측치를 공시한 기업을 대상으로 총 475개 기업/년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당기 경영자의 이익예측성향이 낙관적일수록 미래 이익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당기 경영자의 이익예측정확성이 낮을수록 미래 이익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래이익의 질을 결정하는데 있어 경영자의 이익예측정보가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Foreign Income Growth and Analyst Forecast Optimism

  • Cho, Hyejin;Ahn, He-Soung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7-25
    • /
    • 2019
  • Purpose - The international market provides a growth momentum for firms by allowing them to tap into a new market. Given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firms and financial analysts, firms' international growth can be perceived as a higher business prospect by analysts.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nalysts' over-emphasis on foreign income growth in predicting earning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utilize a sample of U.S. firms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income growth and analysts' forecast optimism. Our sample of publicly listed and traded U.S. firms between 1976 and 2016 consists of 6,120 firm-year observations. Results - Empirical analyses show that firms that show higher international growth in earnings are likely to face forecast inaccuracy by financial analysts. From the perspective of firms, their earnings are less than what analysts forecasted. Contrary to our prediction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ve capabilities, optimistic bias is not intensified - rather, it is reduced - when firms have higher innovative capabilities. Conclusions - Our results imply that while analysts favor firms with higher international growth, innovative capability on the international market places additional risks to firms' operation.

이해상충과 애널리스트 예측 (Conflict of Interests and Analysts' Forecast)

  • 박창균;연태훈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1권1호
    • /
    • pp.239-27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주식시장에서 정보 생산자로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애널리스트'의 이익 예측치 편의와 정확도가 증권사와 평가 대상 기업의 동일인 소유 여부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지를 점검하였다. 소유구조에 기반한 증권사와 평가 대상 기업 간의 특수관계에 의하여 평가자의 행태가 달라지고 그로 인하여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에게 부정적 영향이 초래되는 경우 적절한 규제조치가 필요할 것이라는 측면에서 제기된 문제의 실천적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물론 평판효과(reputation effect)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증권업과 애널리스트 시장에서 시장규율(market discipline)이 원활히 작동한다면 특수관계로 인해 왜곡된 정보를 제공할 유인이 사라질 것이며 별도의 규제가 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특수관계가 존재할 경우 양의 예측편의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은 것은 사실이나, 예측편의의 크기를 포함한 종합적 상관관계를 고려할 경우 증권사와 평가 대상 기업 간의 특수관계가 유의한 예측편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정확도 또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결론짓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어도 현재까지는 증권사가 소유구조로 인하여 왜곡된 정보를 생산하려는 유인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평판을 지키려는 유인이 더욱 크게 작용한 결과 관측되는 현상으로 해석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