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tical absorption

검색결과 1,478건 처리시간 0.03초

렌즈 염색제와 칼라 렌즈의 광흡수 특성 (The Properties of the Absorption Spectra in Tinted Material of Lens and Color Lens)

  • 김용근;박상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5-71
    • /
    • 1999
  • 렌즈 염색 powder, 염색 solution, 염색 렌즈에 대한 가시 광 영역에서 광 흡수 spectrum을 측정하였다. 염색 powder는 광 흡수가 높아 염색렌즈의 색과 전혀 다르고, 짚은 회색 칼라로 구성된다. 염색 solution의 광 흡수는 전이금속의 ion들의 에너지 분리에 의한 광흡수가 미약하게 나타나 각 색조를 구성하였다. 염색 렌즈의 광 흡수는 전이금속의 ion에 의한 에너지 분리의 광 흡수 peak가 나타나 색구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각 렌즈의 광 흡수 peak는 염색 시간 의존성을 갖는다. 청색칼라 렌즈는 500nm 보다 단파장에서 흡수가 크고, 이상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황색의 경우 청색과 정반대의 광 흡수가 나타나, 녹색 칼라 렌즈의 경우 가시광 양 끝단에서 광 흡수가 크고, 중간 영역에서는 흡수가 낮았다. Pink 칼라 렌즈의 경우 녹색과 정반대의 흡수 형태로 서로 보색 관계가 나타난다. Brown 칼라 렌즈의 경우 단파장에서 최대 흡수를 갖고 장파장으로 갈수록 광 흡수가 감소한다.

  • PDF

반도체의 비선형 광학적 특성 및 그 응용 (Nonlinear Optical Properties of Semiconductors and Their Applications to Optoelectronic Devices)

  • 박승민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91년도 광학 및 양자전자학 워크샵
    • /
    • pp.129-134
    • /
    • 1991
  • 반도체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흡수 끝 (absorption edge) 근처에서 비선형 광학 계수가 이례적으로 크고, 그 반응 속도가 빠른 특성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도체와 반도체 미세구조에 있어서의 비선형 광학적 특성 및 초고속 논리 광소자로서의 응용을 고찰하였다.

  • PDF

비구면 광학계의 제작과 응용

  • 정진호;전영세
    • 광학세계
    • /
    • 제12권3호통권67호
    • /
    • pp.45-53
    • /
    • 2000
  • 각종 비구면 렌즈를 개발해 첨단장비로 생산하고 있는 서울광학산업㈜이 진행하고 있는 비구면 광학계 제작에 대한 내용이다. 비구면렌즈의 개념과 제작 방법을 간략하게 정리하고 DOAS(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meter)용 광학계, CTR노광계. 콜리메이션 방식 노광계와 같은 서울광학사업㈜의 비구면 응용제품에 대해서 설명했다. 직접 보유하고 있는 비구면렌즈 제작 관련 장비도 소개한다. 서울광학산업㈜ 연구소 정진호

  • PDF

Optical Biosensors

  • 강신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105-110
    • /
    • 2000
  • Biosensors consist principally of two basic components, receptor and transducer. The transducer part of the sensor serves the signal transfer from the output domain of the recognition system. Optical method of transducer have many benefits, based on phenomena like emission and absorption. This paper will review the methode of optical transduction in brief and out some new development.

  • PDF

1550 nm 영역에서 아세틸렌 분자의 포화흡수분광 (Saturated absorption spectroscopy of 13C2H2 in the 1550 nm region)

  • 문한섭;이원규;서호성
    • 한국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7-182
    • /
    • 2004
  • 우리는 외부공진분광법을 이용하여 $^{13}$C$_2$H$_2$ 분자의 회전-진동전이의 V$_1$+V$_3$ 밴드 P(16)전이선의 포화흡수신호를 관측하고, 이 포화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1550 nm 영역에서 반도체 레이저 주파수 안정화를 수행하였다. 측정된 포화흡수 스펙트럼의 크기는 선형 흡수에 대해서 약 7%이고, 선폭은 약 1.8 MHz로 측정되었다. 반도체 레이저 주파수를 $^{13}$C$_2$H$_2$ 분자P(16) 전이선에 안정화했을 때 안정화된 레이저의 상대주파수 흔들림은 게이트 시간 0.1 s에서 약 $\pm$20 KHz로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