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portunity Tree Framework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일정관리를 위한 Opportunity Tree 및 알고리즘 설계 (Opportunity Tree and Algorithm design to schedule management)

  • 이은서;이상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7호
    • /
    • pp.965-978
    • /
    • 2005
  • 소프트웨어 개발 시, 일정과 품질에 저해 요인이 되는 결함이 다수 존재한다. 일정과 품질의 저해 요인을 제거하고 동시에 체계적으로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opportunity tree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유사한 프로젝트를 수행 시 영역 전문가의 지식을 활용한 opportunity tree 발생되는 문제점을 예측, 대비할 수 있게 하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시 발생하는 일정관리에 대한 결함을 찾아내고, 원인을 식별 및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Opportunity Tree 프레임워크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결함관리 (Manage the Software Defects using Opportunity Tree Framework)

  • 임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4
    • /
    • 2004
  • 신뢰성 있는 소프트웨어를 생산하기 위해 결함을 식별하고 연관성을 분석하게 된다. 또한 결함간의 원인을 분석하고 예측을 하며. 결함간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결함관리를 위한 Opportunity Tree 프레임웍크을 설계한다. Opportunity Tree 프레임웍크을 적용한 가시적인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품의 품질 보증을 통한 고객 만족과 제품의 유연성 제고 및 생산성 향상에 있고, 품질과 인도시간을 조정하여 시장 확장과 재무성과의 최대화할 수 있다.

  • PDF

INTERACTIVE SYSTEM DESIGN USING THE COMPLEMENTARITY OF AXIOMATIC DESIGN AND FAULT TREE ANALYSIS

  • Heo, Gyun-Young;Lee, Tae-Sik;Do, Sung-Hee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1호
    • /
    • pp.51-62
    • /
    • 2007
  • To efficiently design safety-critical system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with the requirement of high reliability, methodologies allowing for rigorous interactions between the synthesis and analysis processes have been proposed.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a reliability-centered design framework through an interactive process between Axiomatic Design (AD) and Fault Tree Analysis (FTA). Integrating AD and FTA into a single framework appears to be a viable solution, as they compliment each other with their unique advantages. AD provides a systematic synthesis tool while FTA is commonly used as a safety analysis tool. These methodologies build a design process that is less subjective, and they enable designers to develop insights that lead to solutions with improved reliability. Due to the nature of the two methodologies, the information involved in each process is complementary: a success tree versus a fault tree. Thus, at each step a system using AD is synthesized, and its reliability is then quantified using the FT derived from the AD synthesis process. The converted FT provides an opportunity to examine the completeness of the outcome from the synthesis process. This study presents an example of the design of a Containment Heat Removal System (CHRS). A case study illustrates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CHRS with an interactive design framework focusing on the conversion of the AD process to FTA.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성능의 최적화를 위한 Opportunity Tree 모델 설계 (Opportunity Tree Framework Design For Optimization of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Performance)

  • 송기원;이경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3호
    • /
    • pp.417-428
    • /
    • 2005
  • 오늘날 IT 조직들은 시장확보와 재정이득 측면에서 비전을 가지고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QCD관점에서 그 수god능력을 향상시켜 나가는 것이 비전을 실현하는 목표이다. 따라서 조직들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해 QCD관점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TBM, Ford, GE와 같은 대형 회사들도 컴퓨터에 의한 업무개선 효과보다는 IT를 이용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리엔지니어링을 통해 80퍼센트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러나,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관리해야 하지만 소프트웨어의 비가시성 특성으로 인한 정량적인 측정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며 이로 인해 프로세스 변경으로 인한 효과와 효율을 가시적인 확인하기 힘들고 효과적인 프로세스 개선전략을 도출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조직의 외부적인 효과와 내부적인 효율(품질, 납기일, 공정, 재사용)에 초점을 맞추어 프로젝트 성능을 측정하고 분석한다. 측정된 프로젝트 성능 점수를 기반으로 프로젝트 성능의 최적화를 위한 OT(Opportunity Tree) 모델을 설계하였다. 설계 과정으로서 먼저 프로젝트에서 공통적인 요소(Meta data)를 도출하여 정량적 GQM(Goal-Question-Metric) 설문서에 의해서 분석한다. 정량적 GQM 설문서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가지고, 프로젝트 성능 모델을 설계하고 조직의 영역별 성능 점수를 계산한다. 계산된 영역별 성능 점수와 모든 스테이크 홀더들(조직의 최고 경영자(CEO), 중간 관리자, 개발자, 투자가, 고객)로부터 받아낸 비전 가중치를 통합하여 보정된 값을 구한다. 이를 통해 개선을 위한 경로(Route for Improvement)를 제시하고 최적화된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방법은 '프로세스 구분'에큰 뛰어난 효과를 보였으나, 프로세스를 프로젝트에 대응시켜서 전략을 수립하고 조직적으로 관리하는 구조적 기능이 미비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 제시한 OT 모델은 해결책을 제시해 주고 있다. OT 모델의 효과는 조직의 목표에 맞게 최적화된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고, 제공된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할 경우 프로젝트를 개선할 때 생기는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정성적인 설문서를 통해 모든 스테이크 홀더들에게 중요도를 입력받아 계산되었으므로, 개선 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줄 수 있다. OT 활용에 의해서 품질, 납기, 공정, 재사용을 조정하여 시장 확장과 재무성과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MBASE 기반의 결함 및 진척도 관리를 위한 OT설계 (A Study on Opportunity Tree Framework to Manage the Software Defects and Monitoring)

  • 신솔민;이경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298-300
    • /
    • 2005
  •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공정 시 발생하는 결함을 찾아내고 원인을 분석하여 제거하는 동시에 제품 개발의 진척도를 관리하여 결함을 미리 예측하고 재 발생을 예방한다. 이를 통해 소프트웨어 생산성을 높이며 개발주기를 줄이는 동시에 높은 수준의 제품출하를 이루어 타 회사보다. 앞선 경쟁력과 Speed 경영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MBASE 기반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 모형과 함께 OT를 설계하고 구현하여 제품의 결함을 줄이고 공정의 진행사항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구현하였다.

  • PDF

위험요소의 상태분석에 의한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rocess Improvement by State Analysis of Risk Items)

  • 이은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5D권4호
    • /
    • pp.523-530
    • /
    • 2008
  • 소프트웨어 개발 시, 생명주기의 프로세스 개선에 저해 요인이 되는 결함이 다수 존재한다. 생명주기의 저해 요인을 제거하고 동시에 체계적으로 이를 관리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위험요소의 관리방안을 제안한다. 유사한 프로젝트를 수행 시 영역 전문가의 지식을 활용한 결함요소의 상태전이를 관리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예측, 대비할 수 있게 하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시 발생하는 위험요소 관리에 대한 결함의 전이를 찾아내고, 예방 및 원인을 식별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정량화 하여 전이단계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