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ing height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2초

악관절내장환자에서 교합관계와 두경부자세의 임상적 양상에 관한 연구 (Clinical Features Related to Occlusion and Head and Neck Posture in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 정호인;한경수;이규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3권2호
    • /
    • pp.127-141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internal derange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For this study, 117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81 dental students without any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ere selected as the patients group and as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Preferred chewing side, Angle's classification, lateral guidance pattern, maximal mouth opening range, and affected side were recorded clinically. Head and shouldeer posture was measured in a groundplate on which square diagram of five centimeters each had been drawn, and cephalograph was also taken for measurement of head and neck posture. Sonopak of Biopak system (Bioresearch inc., USA) was used to record joint vibration for evaluation of internal healthy status of temporomandibular joint.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Frequency of left side chewing subjects was higher in patients than in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subjects by Angle's classification. Other types was prvalent in patients whereas group function was more in control group for lateral guidance pattern. 2. As to lateral guidance pattern by clinical diagnosis,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and/or degenerative joint disease showed higher frequency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 by Sonopak impression. 3. There was no difference for shoulder heigh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tilting of head and backward extension of cervical spine was more frequent in control group. 4. Acromion was positioned more anteriorly in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and/or degenerative joint disease than in control group and angle between eye and tragus was larger in patients. Patients with degenerative joint disease showed more flexed head posture than control group did in cephalometric profile. 5. Maximal mouth opening range in patients with internal derangement was the least in all subgroups in patients classified by Sonopak impression.

  • PDF

경사진 전극링에 의한 웨이퍼레벨패키지용 고균일도의 솔더범프 형성 (Formation of high uniformity solder bump for wafer level package by tilted electrode ring)

  • 주철원;이경호;민병규;김성일;이종민;강영일;한병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1
    • /
    • pp.366-369
    • /
    • 2003
  • The vertical fountain plating system with the point contact has been used in semiconductor industry. But the plating shape in the opening of photoresist becomes gradated shape, because bubbles from the wafer surface are difficult to escape from the deep openings, vias. So, we designed the tilted electrode ring contact to get uniform bump height on all over the wafer and evaluated the film uniformity by SEM and $\alpha$-step. A photoresist was coated to a thickness of $60{\mu}m$ and vias were patterned by a contact aligner After via opening, solder layer was electroplated using the fountain plating system and the tilted electrode ring contact system. In $\alpha$-step measurement, film uniformities in the fountain plating system and the tilted electrode ring contact system were ${\pm}16%,\;{\pm}3.7%$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could get high uniformity bumps by the tilted electrode ring contact system. So, tilted electrode ring contact system is expected to improve workability and yield in module process.

  • PDF

Lateral arthroplasty along with buccal fat pad inter-positioning in the management of Sawhney type III temporomandibular joint ankylosis

  • Malhotra, Vijay Laxmy;Singh, Virendra;Rao, JK Dayashankara;Yadav, Sunil;Gupta, Pranav;Shyam, Radhey;Kirti, Shrut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5권3호
    • /
    • pp.129-134
    • /
    • 2019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highlight the role of lateral arthroplasty along with interposition of the buccal fat pad (BFP) in the management of Sawhney type III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nkylosis. Materials and Methods: Ten patients with TMJ ankylosis (7 unilateral and 3 bilateral, total of 13 joints) were treated with lateral arthroplasty and BFP interposition. The bony bridge of the ankylotic mass on the lateral aspect was resected, leaving a distance of 1.5 to 2.0 cm from the base of the skull to the neck of the condyle. The condyle was left intact. Coronoidectomy was performed on the ipsilateral side via the same approach in all cases. The inter-incisal opening was measured at that time, and if it was less than 35 mm, contralateral coronoidectomy was performed by using the intra-oral approach. After satisfactory inter-incisal mouth opening (${\geq}35mm$) was achieved, the TMJ surgical site was revisited, and BFP was retrieved and used to cover the lateral aspect of the medially placed condyle. Results: With lateral arthroplasty, the medially displaced condyle can be left in-situ to maintain the mandibular ramal height and function and to act as a growth center in children. Interposition of the BFP prevents reformation of the lateral bony bridge that was removed. Conclusion: Lateral arthroplasty along with interpositioning of the BFP is a novel technique for managing Sawhney type III ankylosis that achieves management goals while avoiding complex and advanced reconstructive surgical procedures.

낙동강하구의 어류 이동성 향상을 위한 수문운영 방안 제안 (The Gate Operation for Bolstering up Fish Migration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정석일;한정호;이지영;김화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68-480
    • /
    • 2022
  • 낙동강하굿둑의 건설로 원활한 용수 공급이 이루어졌으나, 하구 수생태계의 종적 연결성을 단절시켰다. 이에 낙동강하굿둑 개방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2017년부터 낙동강하구역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노력이 본격화되었다. 낙동강 하구에는 다양한 어종이 서식해 왔으며, 이들의 서식·이동 특성은 상이하므로 이를 고려한 수문운영은 기수생태계 복원에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하구에 서식·이동하는 어류를 모니터링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방류 시 수문운영 형태별, 개도별 평균 유속을 산출하여, 어종에 따른 원활한 소상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상어종을 선정하고, 주 분포 수심에 따른 수문운영 형태를 제시하는 등 낙동강 하구역의 기수생태계 복원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수문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두개하악장에 환자의 안면골 비대칭성에 관한 방사선사진상 비교분석 (RADIOGRAPHIC COMPARATIVE STUDY OF FACIAL SKELETAL ASYMMETRY IN CRANIOMANDIBULAR DISORDER PATIENTS)

  • 박원길;최의환;김재덕
    • 치과방사선
    • /
    • 제24권2호
    • /
    • pp.291-30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ial asymmetry of the patients with the craniomandibular disorder. In this study, 50 patients, who have joint clicking and pain, mouth opening limitation, and 40 dental students, Chosun University, who did not posses any restoration and orthodontic treatment, joint clicking and pain, mouth opening limitation,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patient group were takened skull P-A, submento-vertex radiogram by standized methods. After that, the deviation and facial asymmetry were measu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Skull P-A radiogram, the width difference of control group and patient group measured that the △ Cg-Go-Cl: control group were 3.35㎜, patient group were 4.51㎜ (P<0.05), the △Cg-Zy-Go: control group were 1.83㎜, patient group were 3.27㎜(P<0.001). 2. In the Skull P-A radiogram, the height difference of control group and patient group measured that the △ Cg-Go-Cl: control group were 131.85㎜, patient group were 188.45㎜(P<0.05), the △Cg-Zy-Go: control group were 1.58㎜, patient group were 2.68㎜(P<0.00l). 3. In the Skull P-A radiogram, the area difference of control group and patient group measured that the △ Cg-Go-Cl: control group were 120.76㎟, patient group were 185.49㎟(P<0.05), the △Cg-Zy-Go: control group were 2.29㎟, patient group were 3.37㎟(p<0.05). 4. In the submento-vertex radiogram, the width difference of control group and patient group measured that the △Mr-Cl-Ia: control group were 1.50㎜, patient group were 2.35㎜(P<0.05), the △Mr-Cm-Ia: control group were 1.75㎜, patient group were 3.17㎜(P<0.05), the △Mr-Go-Ia: control group were 1.96㎜, patient group were 3.24㎜(P<0.001), the △Mr-Cp-Co: control group were 1.74㎜, patient group were 2.73㎜(P<0.05). 5. In the submento-vertex radiogram, the height difference of control group and patient group measured that the △Mr-Cp-Ia: control group were 1.68㎜, patient group were 2.46㎜P<0.05), the △Mr-CI-Ia: control group were 2.38㎜, patient group were 3.74㎜(P<0.05), the △Mr-Co-Ia: control group were 1.63㎜, patient group were 2.80㎜(P<0.05), the △Mr-Cm-Ia: control group were 1.45㎜, patient group were 3.12㎜(P<0.001). 6. In the submento-vertex radiogram, the area difference of control group and patient group measured that the △ Mr-Cp-Ia: control group were 73.17㎟, patient group were 110.16㎟(P<0.05), the △Mr-Cl-Ia: control group were 105.09㎟, patient group were 180.87㎟(P<0.001), the △Mr-Co-Ia: control group were 103.31㎟, patient group were 148.48㎟(P<0.05), the △Mr-Cm-Ia: control group were 97.01㎟, patient group were 167.83㎟(P<0.05), the △Mr-Go-Ia: control group were 104.24㎟, patient group were 205.90㎟(P<0.05).

  • PDF

안강망어법의 개량과 어장의 원해로의 확대를 위한 연구 - 2 . 새로 설계된 어구의 모형실험 -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ow Net Fishing Technigue and the Enlargement of Fishing Groung to the Distant Waters 2 . Model Experiment on the Newly Designed Gear)

  • 이병기;김진건;이주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5권1호
    • /
    • pp.6-11
    • /
    • 1989
  •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재식성안강망 그물은 본 연구의 제1보에서 그 1/20 크기의 모형어구를 측정.조사한 결과, 몇 가지 흠함이 규명되었으나, 여기서는 그 흠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망지배치와 구성을 새로하고, 그 1/20크기의 모형어구를 써서 전개장치를 측정.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새로 설계된 어구의 특징은 (1) 망지배치는 등판.밑판.양 옆판의 앞끝을 재뢰식보다 20%정도 줄이고, 옆구리의 폭을 10%정도 늘였으며, 등판.밑판의 앞쪽 중앙부는 길이의 20%정도까지 만곡되게 사단했다. (2) 뜸줄.발줄의 길이는 망지배치상 재뢰식보다 6%정도 짧게 했다. (3) 그물의 네모서리에서 적당한 성형을 하면서 힘줄을 붙였다. (4) 전개장치의 높이는 재뢰식보다 17%정도 짧게 했으며, 상단에 붙이는 뜸의 부력은 20%정도 크게 했다. (5) 네갈랫줄의 길이는 중앙부의 것을 길게, 상하의 것을 짧게 했다. 2. 이 어구로서 측정한 결과는 (1) 등판.밑판 앞쪽 중앙부의 구김살이 제거되어 상면에서 본 그물 언저리 선이 원활해 졌다. (2) 망구의 전개 높이는 재뢰식보다 3%정도 커졌다. (3) 망구의 전개간격은 재뢰식보다 1.5~1.6배로 커졌다. (4) 유체저항은 재뢰식보다 10~17% 작아졌다

  • PDF

안강망어법의 개량과 어장의 원해로의 확대를 위한 연구 - 3 . 시험어구의 전개성능과 선미식 어업방법에 관한 해상시험 -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ow Net Fishing Technique and the Enlargement of Fishing Ground to the Distant Waters - 3 . Field Experiment on the Efficiency of Newly Designed Net and the Stern Operation System)

  • 이병기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5권2호
    • /
    • pp.75-81
    • /
    • 1989
  •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안강망어패의 흠함을 보완하기 위하여 새로 설계된 어구의 모형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실물 크기의 시험어구를 제작하여, 그 전개성능에 관한 해상시험을 실시함과 아울러 선미식 조업방법의 가능성과 문제점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1. 어구의 전개성능 시험어구가 현용 어구와 다른 점은 그물의 등판.밑판의 아궁이 쪽을 만곡되게 사단하여 성형율이 25%정도 되게 뜸줄과 발줄을 붙이고, 양옆판의 아궁이쪽의 뻗힌 폭을 20%정도 줄이는 대신에 옆구리의 폭을 10%정도 크게한 점, 전개장치의 높이를 현용어구보다 17%정도 작게 한 점, 전개장치의 상단에 붙이는 부력을 16%정도 크게 한 점, 또 각판의 그물감을 서로 잇대는 네모서리에는 적당한 성형율을 주면서 힘줄을 붙인 점, 네갈랫줄의 길이를 맨 아랫것부터 차례로 75m, 77m, 80m, 78m로 다르게 한 점등이다. 어구의 전개성능은 어군탐지기를 써서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 망구의 전개높이는 시험어구가 유속이 비교적 느릴 때는 현용어구보다 3m 정도 낮으나, 다소 빠를 때는 오히려 1m 정도 더 높고, 망구의 전개간격은 시험어구가 현용어구의 1.4배 정도이며, 망구의 전개면적은 1.3~1.6배여서 시험용어구가 현용어구에 비하여 어획성능이 상당히 클 것으로 기대된다. 2. 선미식 조업방법 선미식조업은 시험선의 선수를 조류에 향하게 해 놓고, 그물은 선미 슬립웨이에서 투양망하며, 전개장치는 선미갤로우스의 양현쪽에 있는 톱로울러를 통한 돋움줄에 의하여 오르내리게 하였다. 이와 같이 선미식 조업방법으로 개량하면 기계화로 성역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조류와 바람의 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때는 전개장치와 그물이 서로 얽힐 우려가 있으므로 이 점을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일부지역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Occupational Stress of the Some Local Worker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 이정화;박의정;최정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15
    • /
    • 2009
  • 측두하악장애의 절정기 연령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가 측두하악장애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치는지를 관찰함으로서 측두하악장애의 예방과 치료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8년 1월 7일부터 1월 26일까지 D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서비스직, 사무직, 생산직 근로자 21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PSS 10.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별 정도, 측두하악장애 유무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직무스트레스정도와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의 주관적 증상에서는 관절잡음에서 가끔 그렇다 45.8%, 자주 그렇다 12.0%였고, 관절탈구는 가끔 그렇다 12.0%였다. 저작시동통에서는 41.2%, 비저작시동통에서도 24.1%가 가끔 경험하고 있었다. 개구장애에서는 2.8%가 자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관절 잡음에서는 연령에 따라 30대에서 가장 높이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 < 0.05), 관절탈구에서는 근무기간이 1년미만 37.9%, 3년미만 31.0%, 5년미만 20.7%로 근무기간이 짧을수록 많았으며, 근무 형태에서는 교대 34.5% 보다는 주간 근무 58.6%가 높게 나타났다(P < 0.05, P < 0.01). 또한 저작 시 동통에서도 근무기간이 낮을수록 유병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개구장애에서는 근무기간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1). 3. 개구장애가 있는 근로자는 직무자율성에서 스트레스를 더 높게 나타났고(P < 0.05), 탈구유무와 비저작시 동통과는 관계갈등 부분에서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P < 0.05, P < 0.01). 직무불안정이 높은 근로자일수록 탈구유무와 비저작시 동통에 문제가 있었으며, 탈구에 문제를 가진 근로자가 보상부적절에 관한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5). 4. 관절탈구가 있을 경우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보상부적절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P < 0.01, P < 0.05), 비저작시 동통이 있는 근로자 일수록 관계갈등, 직무 불안정에 대한 스트레스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 0.05, P < 0.01). 개구장애가 있을수록 직무자율성에 대한 스트레스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 PDF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시 개방부 압력과 동종 쐐기 골편의 최대압축하중 비교 (Comparison of Gap Pressure in Opening Wedge High Tibial Osteotomy versus Compressive Strength of Allogenous Wedge Bone Blocks)

  • 윤경호;김정석;권유범;김응주;이명규;김상균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27-134
    • /
    • 2020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동종 쐐기 골편의 성상과 최대압축하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동종 쐐기 골편의 최대압축하중과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시 측정된 개방부의 압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을 시행하기 전 연구에 동의한 10명의 환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수술 중 절골 부위를 8 mm에서 14 mm까지 개방시키면서 1 mm 간격으로 개방부의 압력을 측정하였다. 대퇴골, 경골 및 상완골에서 U자형 동종 쐐기 골편을 채취하여 골편의 높이, 폭, 단면적 및 피질골의 두께를 측정한 뒤에 골편이 파괴되기 직전의 최대압축하중을 측정해 골편의 성상과 최대압축하중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시 별도의 신연장치 없이 개방부에 동종 쐐기 골편을 삽입할 수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시 측정된 개방부 압력과 동종 쐐기 골편의 최대압축하중을 비교하였다. 결과: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중 절골부를 많이 개방할수록 개방부 압력이 증가해 14 mm 개방하였을 때 개방부의 압력(평균 282±93 N, 최대 427 N)이 가장 크게 측정되었다. 동종 쐐기 골편의 최대압축하중은 평균 13,379±6,469 N (최소값 5,868 N, 최대값 29,130 N)으로 측정되었으며 피질골의 두께(상관계수=0.693, p=0.002) 및 단면적(상관계수=0.826, p<0.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살균 방법에 따라 동결 건조(freeze-dried) 골편은 평균 13,406±5,928 N (최소값 5,868 N, 최대값 25,893 N), 동결(fresh frozen) 골편은 평균 13,348±7,449 N (최소값 5,916 N, 최대값 29,130 N)으로 측정되었다. 동종 쐐기 골편의 최대압축하중 최소값은 경골 근위부를 14 mm까지 개방하였을 때 측정된 개방부의 최대압력에 비해 13.7배 높았다(5,868 N vs. 427 N). 결론: 동종 쐐기 골편의 최소 압축 강도는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시 측정된 개방부의 최대 압력보다 충분히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경골 근위부 개방 절골술 중 별도의 신연장치 없이 동종 쐐기 골편을 개방부에 안전하게 삽입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양문형 냉장고 도어의 자동 단차 맞춤 메커니즘 개발 (Development of the auto leveling mechanism for side-by-side refrigerator doors)

  • 웡레이;윤재득;정융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3165-3174
    • /
    • 2012
  • 최근 보편화되고 있는 대형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나란히 있는 양문형이다. 그런데 양문형 냉장고에 대한 고객들의 가장 큰 불만 중의 하나는 양쪽 도어를 닫았을 때 높이 차가 발생하는 문제이며, 이를 도어의 단차라고 한다. 단차 문제의 가장 큰 원인은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이 평편하지 못하거나 사용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냉장고 캐비닛이 변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단차를 확인하였을 때 지금까지는 고객이나 A/S 직원이 렌치 등을 사용하여 냉장고 하부의 지지나사를 조절하여 냉장고의 수평을 맞춘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대형 냉장고의 경우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주부나 노인이 조작하기에는 어려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식을 고객에게 요구하는 것 자체가 고객의 불만족을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어의 단차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양쪽 도어를 같은 높이로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메커니즘은 공구를 사용하여 힘들고 번거롭게 단차를 조절할 필요 없이 냉장고의 도어를 열고 닫는 동작만으로 자동으로 단 맞춤이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