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API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36초

다중 채널 기반 오픈 API 보안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en API Security Protocol based on Multi-Channel)

  • 김상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40-46
    • /
    • 2020
  • 금융권 공동 오픈 플랫폼 구축·서비스에 따라 스타트업 생태계에 안전한 보안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금융권 표준 오픈 API는 상호인증 과정의 핵심 API 인증키 보호를 위해, 결제 관련 핀테크 기업이 추가 보안 기술을 개발/적용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중 채널을 사용하는 강화된 API 보안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기존 오픈 API 관련 연구의 문제점과 취약점을 추가 분석하고, 이기종 플랫폼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기존 보안 프로토콜의 단일 채널에 추가 보안 채널을 분리하여 은닉하는 방법을 적용했다. 성능 분석 결과 다중 채널의 통신 세션 양방향 안전성과 강화된 인증키의 중간자 공격 안전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중 세션에서 지연시간의 연산 성능(1초 이하)을 확인하였다.

오픈API 기반의 정보전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Transmission based on OpenAPI)

  • 최신형
    • 산업과 과학
    • /
    • 1권1호
    • /
    • pp.1-6
    • /
    • 2022
  • 일상 생활에서 매일 다른 뉴스가 보도되듯이 우리 주변에서 발생되는 데이터의 양은 엄청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데이터에는 개인적인 것도 있지만, 날씨나 교통 정보와 같이 모든 사람들에게 공통적인 것도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런 정보를 효과적이며, 신속하게 사용하기 위해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정보전달에 관해 연구로서, 공공데이터와 API기술을 바탕으로 한 오픈API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쉽게 활용 가능한 오픈API를 사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이를 응용하여 다양한 오픈API를 활용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을 사용하여 공공데이터를 활용한다면 보다 쉽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모바일 벡터 그래픽 가속기 설계를 위한 OpenVG API 구현 (Implementation of OpenVG API for Mobile Vector Graphics Accelerator)

  • 김영옥;노영섭;오삼권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년도 제3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6권1호
    • /
    • pp.251-255
    • /
    • 2008
  • 최근 모바일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동적인 메뉴 구성과, 메일 및 이차원 지도 등의 표현에 벡터 그래픽을 도입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는 벡터 그래픽 처리 기술은 Flash Lite, SVG(Scalable Vector Graphics)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두 가지 모두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매크로미디어사의 Flash Lite는 연산에 많은 메모리를 필요로 하고, SVG는 웹 표준에 맞춘 스크립트 해석 기반으로 구동 속도가 느리다. 모바일 컴퓨팅 환경에서 벡터 그래픽스에 대한 필요성과 사용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메모리를 적게 사용하고 하드웨어 가속기를 지원 할 수 있도록 저 수준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인 OpenVG 1.0을 크로노스 그룹(Khronos Group)에서 제정하였다. 본 논문은 모바일 사용 환경에 맞추어 사용될 수 있도록 OpenVG 1.0에 기반한 API를 구현하고 실험하였다. 구현된 API는 느린 소프트웨어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 하드웨어 가속기 설계에 적합하도록 각각의 API 블록 및 형태를 하드웨어 파이프라인 형태의 관점에서 설계하였고, 구현된 API를 윈도우즈 환경에서 기능을 검증하였다.

  • PDF

키워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웹서비스 및 openAPI 검색 엔진 개발 (Development of Efficient Search Engine for Web services and openAPIs by Keyword)

  • 천동석;차승준;김경옥;이규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8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5 No.1 (C)
    • /
    • pp.159-164
    • /
    • 2008
  • 최근 많이 주목을 받고 있는 웹 2.0은 사용자의 참여, 개방, 네트워크 효과에 기반하여 누구나 데이터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의 인터넷 환경이다. openAPI는 웹 2.0의 근본 개념인 데이터의 개방 및 공유를 구현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포털은 자신의 서비스를 공개한다. 하지만 기존의 웹서비스와 openAPI 검색은 효율적인 검색 방법을 제공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Lee[1]의 논문에서 제공하는 효율적인 웹서비스 검색 방법을 이용하여 검색 엔진을 개발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웹서비스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openAPI를 수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penAPI의 정의 및 사용법이 웹서비스와 유사하다는 점을 활용하여 openAPI의 효과적인 검색을 위한 검색기법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검색기법은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여 키워드 기반 검색을 통해 원하는 서비스를 찾아주고, 매쉬업 서비스나 다른 openAPI와의 조합(Composition)을 위해 템플릿 기반 검색을 통해 효과적인 검색을 제공해준다.

  • PDF

시맨틱 기반의 Open API 정보제공을 위한 시맨틱 어노테이션 기법 연구 (A Study on Semantic Annotation Scheme for Providing Open API information Based Semantic)

  • 김상일;김화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1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8 No.1(B)
    • /
    • pp.175-176
    • /
    • 2011
  • 웹 서비스는 최근 급속한 발전과 함께 기존의 단절적이고 폐쇄적인 서비스에서 벗어나 정보를 개방하고 공유할 수 있는 웹 2.0 시대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빠른 보급과 함께 웹 서비스는 고정된 장소에서뿐만 아니라 이동 환경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어 웹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웹 서비스는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한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수집한 Open API 정보를 빠르고 쉽게 사용하려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외의 타겟 사이트에서 획득한 Open API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Open API정보의 시맨틱 어노테이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레즌스 및 openAPI를 활용한 URC서비스 플랫폼 (URC Service Platform based on presence and openAPI)

  • 배정일;김동훈;이현주;연승호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68-72
    • /
    • 2008
  • Combining robot and network gives us many advantages like lightweight hardware specification of robot, a various robot service, simple upgrade of robot, easy management and so on. Among these advantages, Presence service and openAPI are most important. Presence is simple but powerful service. It makes user to know the status information of robot and enables user to control robot from a remote place. OpenAPI which is also a feature of WEB2.0 enables $3^{rd}$ parties to make a various mashup service easily and rapidly. Finally presence and openAPI can help URC service to be ubiquitous and successful.

  • PDF

DOI 수집 API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OI Lookup API)

  • 김선태;예용희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1호
    • /
    • pp.221-237
    • /
    • 2008
  • CrossRef는 DOI 식별자 및 학술메타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다양한 쿼리(OpenAPI)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활용해 출판사 및 정보서비스 기관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rossRef에서 제공하는 쿼리를 면밀히 분석하였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DOI를 자동수집 하는 API를 개발하였다. 또한 자체적으로 학술메타데이터를 보유한 기관이 개발된 API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REST Open API 기반 정보시스템 성능 분석 (A Performance Analysis of RESTful Open API Information System)

  • 최민;오세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24-426
    • /
    • 2012
  • REST 웹 서비스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손쉽게 적용 및 배포할 수 있다. 최근 다양한 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가 REST Open API 웹서비스를 통하여 배포되고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웹(Web)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오픈 API 에 대한 시스템의 성능의 포인트에 서비스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REST 오픈 API 의 수행 성능 평가를 통하여 REST 오픈 API 웹 서비스의 확장성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REST 오픈 API 가 미래에 모바일 클라우드 플랫폼으로써 충분한 성능 및 활용될 수 있는지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큐잉 네트워크(Queueing Network)을 활용하여 REST Open API 웹서비스 서버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Open API 타입들을 지원하는 시맨틱 기반 매쉬업 개발 툴 (A Semantic-Based Mashup Development Tool Supporting Various Open API Types)

  • 이용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5-126
    • /
    • 2012
  • 최근에 매쉬업은 미래 IT 융합 서비스의 효과적인 구현 방법으로써 그 관심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그들의 활용도 매우 다양하다. 그렇지만 이러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Open API들을 매쉬업 속으로 결합할 때 여러 가지 이슈들이 있을 수 있다. 첫째, 포털사이트들은 매쉬업에서 사용 가능한 수많은 API들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들에 대한 적합한 API들을 수동으로 탐색하고 발견하는 것은 매우 힘들고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작업이다. 둘째, 현존하는 어떠한 매쉬업 포털 사이트들도 전통적인 SOAP 기반 웹 서비스 분야에서 보였던 것처럼 API들을 찾고 통합하는데 시맨틱 기법을 활용하는 사이트는 없다. 세째, 적합한 API들을 발견하였더라도 특별한 기술적 훈련 없이 값어치 있는 매쉬업을 생성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해 먼저 기존의 SOAP 기반 웹 서비스 분야에서 사용된 시맨틱 기반 기술 및 알고리즘들을 최소의 수정만으로 재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다음으로, 조합 가능한 API들을 발견하기 위해 어떻게 API 특성들이 신택틱하게 정의되고 시맨틱하게 묘사될 수 있는지 보인다. 그러고 이러한 신택틱/시맨틱 정보들이 어떻게 Open API들의 발견과 조합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보인다. 마지막으로, 동적 Open API 조합을 위한 대화형 목표 지향 접근 방법을 제안한다. 여기서 최종 매쉬업은 API들의 순차적 접근 방법에 의해 점차적으로 각 단계에서 하나씩 새로운 API가 조합에 첨가된다.

REST 프로토콜 기반의 API 선별 기법 및 Open API 자동 합성 방안 (API Selection and Automatic Open API Composition Method Based on REST Protocol)

  • 김상일;김화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C권7호
    • /
    • pp.587-594
    • /
    • 2013
  • 웹 2.0의 발전과 스마트 디바이스의 보급은 제한적인 정보와 평면적인 서비스에 맞춤화된 기존의 웹서비스를 탈피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차원적인 정보와 다양한 서비스가 융합된 형태의 매쉬업 서비스를 탄생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매쉬업 서비스는 다양한 웹서비스가 융합된 서비스를 지칭하며 웹서비스의 인터페이스인 Open API를 통해 보다 손쉽게 지원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매쉬업 서비스는 개발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 방식으로 인해 개인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 받고자 하는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매쉬업을 손쉽게 하는 매쉬업 프레임워크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그 수준이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으로 웹서비스를 합성하여 매쉬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쉬업 프레임워크의 요소기술로써 Open API 자동 합성을 위한 Open API 선별 기법 및 합성 방안에 대해 소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