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API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3초

시맨틱 기술을 활용한 OpenAPI 조합 가능 서비스 검색에 관한 연구 (A Survey of Mashup Capable Services' Retrieval Methods for OpenAPI using Semantic Technology)

  • 최영호;차승준;이규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34-1237
    • /
    • 2011
  • 본 논문은 시맨틱 기술을 활용한 OpenAPI 조합가능 서비스 검색 기법 개발을 위해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적용방안을 도출하였다. OpenAPI 조합가능 서비스 검색이란 선택된 서비스의 출력과 매칭이 되는 입력을 가진 서비스나 선택된 서비스의 입력과 매칭되는 출력을 가진 서비스를 찾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키워드 기반의 조합 가능 서비스 검색 기법의 한계를 시맨틱 기술을 활용하여 해결하기 위한 관련연구로 SAWSDL-MX2와 LOG4SWS.KOM에 관한 논문들을 분석했다. SAWSDL-MX2에서는 세가지 매칭 기법과 이에 따른 유사도 분석 기법을 제시하였고, LOG4SWS.KOM에서는 두가지 매칭 기법과 이에 따른 유사도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관련 연구들에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OpenAPI 조합 가능 서비스에 대한 매칭 기법의 정의, 유사도 분석 기법의 정의가 추후 진행되어야 한다.

A Study on Comparison of Response Time using Open API of Daishin Securities Co. and eBestInvestment and Securities Co.

  • Ryu, Gui Y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1호
    • /
    • pp.11-18
    • /
    • 2022
  • Securities and investment services have and use large data. Investors started to invest through their own analysis methods. There are 22 major securities and investment companies in Korea and only 6 companies support open API. Python is effective for requesting and receiving, analyzing text data from open API. Daishin Securities Co. is the only open API that officially supports Python, and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Co. unofficially supports Python. There are two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CYBOS plus of Daishin Securities Co. and xingAPI of eBest Investment & Securities Co. First, we must log in to CYBOS plus to access the server of Daishin Securities Co. And the python program does not require a logon. However, to receive data using xingAPI, users log on in an individual Python program. Second, CYBOS plus receives data in a Request/Reply method, and zingAPI receives data through events. It can be thought that these points will show a difference in response time. Response time is important to users who use open APIs. Data were measured from August 5, 2021, to February 3, 2022. For each measurement, 15 repeated measurements were taken to obtain 420 measurement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tudy, both APIs were measured alternately under same conditions.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 null hypothesis 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means. The p-value is 0.2961, we do not reject null hypothesis. Therefore, we can se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s. From the boxplot, we can see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response time of eBest is more spread out than that of Cybos, and the position of the center is slightly lower. CYBOS plus has no restrictions on Python programming, but xingAPI has some limits because it indirectly supports Python programming. For example, there is a limit to receiving more than one current price.

QoS제공을 위한 비동기 모델에 기반의 웹 서비스 (The Web Service based on Asynchronous Model for QoS Provisioning)

  • 정의헌;최영일;이병선;김화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3)
    • /
    • pp.388-390
    • /
    • 2004
  • 통신환경이 개방형 네트워크로 새로운 통신네트워크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면서 third-party업체들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광대역통합망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third-party에게 Open API를 통하여 하부 전달망 특성을 개방한다. Parlay API는 대표적인 Open API이며 Parlay API와 웹 서비스를 접목시키고 한 단계 더 추상화한 Parlay X API가 있다. Parlay X API는 웹 서비스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QoS제공을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Messaging Sever를 추가하여 QoS를 제공하기위한 방법에 대하여 제시한다.

  • PDF

통신 서비스를 위한 REST 기반 통화/메시징 Open API (REST based Call/Messaging Open API for Telecommunication Services)

  • 정순철;강미경;최대우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521-524
    • /
    • 2008
  • 기존 지능망 서비스들이 포화 상태에 이르게 됨에 따라 수익이 나는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요즈음 전통적인 전화망과 인터넷의 결합이 새로운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PC와 같은 인터넷 단말은 전화망의 전통적인 단말보다 저장 장치 및 유저 인터페이스 면에서 더욱 더 강력한 능력을 가지고 있다. IT 개발자들은 전화 분야의 전문 지식을 갖고 있지 않아도 Parlay API를 사용하면 새로운 통신 서비스를 쉽게 만들수 있다. HTTP 상의 SOAP을 사용하여 쉽게 두 컴퓨터 노드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더라도 일반적인 개발자는 현란한 XML 포맷 때문에 SOAP 메시지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REST 기반 API는 이러한 것의 좋은 대체재가 될 수 있는데, 추가적인 프로토콜 층이 없이 HTTP 층만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화 및 메시징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REST 기반의 Open APl 를 소개한다. 제안되는 API는 클릭투콜, 미니 컨퍼런스, 통화 녹음, 주문형 오디오 재생, 단문 메시징 및 음성 메시징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되는 API 특징은 전화망과 인터넷의 컨버전스의 강력함을 보여준다.

  • PDF

얼굴 인식 Open API를 활용한 출입자 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Visitor Recognition System Using Open APIs for Face Recognition)

  • 옥기수;권동우;김현우;안동혁;주홍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4호
    • /
    • pp.169-178
    • /
    • 2017
  • 최근 보안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가하면서 출입자 인식 시스템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출입자 인식 시스템은 출입자를 인식하기 위해서 다양한 생체인식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특성과 강점을 가진 다수의 얼굴인식 Open API 서비스를 통합하고, 그 인식결과를 앙상블 함으로써 인식 성능을 개선하는 얼굴인식 기반 출입자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다양한 얼굴 인식 Open API 서비스를 앙상블 하는 출입자 인식 시스템의 구조를 제안한다. 성능 측정은 약 5개월 간 수집한 얼굴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측정결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출입자 인식 시스템이 단일 얼굴인식 Open API 서비스를 사용했을 때보다 더 높은 얼굴인식률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안드로이드 기반 OpenAPI를 이용한 SNS 연동 지역정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NS-linked Location based Mobile AR Systems using OpenAPI on Android)

  • 김정길;정지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2호
    • /
    • pp.131-140
    • /
    • 2011
  • 최근 무선 통신 기술과 반도체 설계 및 공정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기존 데스크톱 컴퓨팅 환경은 급속히 테블렛 PC와 스마트 폰 기반의 모바일 환경으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의 확산은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기반 서비스 응용분야를 확대시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OpenAPI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동시에 다양한 실시간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 가능하도록 위치기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도 OpenAPI를 이용하여 통합 구현하였다. 구현에 이용된 다양한 OpenAPI들은 개발자가 포털 사이트의 방대한 정보에 쉽게 접근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도록 지원한다. 제안 시스템은 프로토타입으로 구현되어 스카이사의 시리우스 안드로이드 폰에 동작시킴으로 모바일 기기에서도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용자의 실시간 사진, 동영상, 메시지 데이터들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도 효율적으로 연동시켰다.

광대역통합망에서의 비동기 구조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웹 서비스 제공방안 (A Reliable Web Service Support Mechanism based on Asynchronous Architecture in BcN)

  • 김형민;정의헌;김화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6호
    • /
    • pp.773-780
    • /
    • 2005
  • 최근 정보통신환경은 통신, 방송, 인터넷이 통합되는 디지털 융합 서비스 제공 형태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통신환경이 개방형 네트워크 형태의 광대역통합망으로 변화하였다. 이런 광대역통합망에서는 Open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 의하여 감third-party 응용의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Open API에는 대표적으로 Parlay API가 있으며 Parlay API와 웹 서비스를 접목시키고 한 단계 더 추상화한 Parlay X API가 있다. Parlay X API는 웹 서비스를 이용한다. 따라서 Parlay X API는 웹 서비스의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웹 서비스의 단점도 가지고 있다. 웹 서비스의 가장 큰 단점으로는 웹 서비스에 QoS(Quality of Servixe)제공을 위한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 서비스를 광대역통합망에서 효율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 QoS의 여러 문제 중 신뢰성 지원방안에 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제안된 방안은 웹 서비스의 신뢰성 지원을 위하여 비동기 구조를 적용하고, 예상응답시간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재전송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능평가를 실행하였으며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보았다 피 결과 제안된 방범이 기존의 방법보다 좋은 성능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pen API Mashup 활용한 시민 참여형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가능성에 관한 연구 (Citizen Participation-Based Smart Phone Application's Potential Development throughout Open API Mashup)

  • 기정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93-101
    • /
    • 2012
  • 도시계획이나 재난방재와 관련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설계용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환경의 변화와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의 발전, 그리고 web 환경의 변화는 도시계획이나 재난방재 분야에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특별히 Open API와 Mashup의 성장과 발전은 도시계획이나 재난방재 분야에 시민참여형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가능성을 넓혀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민 참여형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기술적, 경제적 및 행정적 파급효과를 가져올 뿐 아니라, 최근 활발히 건설되고 있는 U-City, U-health, 그리고 재난방재에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RESTful Open API를 이용한 ESB 모니터링 시스템 (Monitoring System for ESB using RESTful Open API)

  • 양세열;이재만;이성재;홍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1-93
    • /
    • 2012
  • Open API는 기존 웹 서비스를 결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는 최신의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RESTful 웹 서비스를 Open APT화 하여 그것을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보인다. 본문의 개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모니터링 시스템의 통합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으며, 차후 다른 시스템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축소된 호출 메시지 크기료 인해 서비스 제공 속도와 네트워크 대역 사용량에도 이점이 있다.

딥러닝과 교통정보 Open API를 이용한 시각장애인 버스 탑승 보조 시스템에서 딥러닝 알고리즘 성능 비교 (Comparison of Deep Learning Algorithm in Bus Boarding Assist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Deep Learning and Traffic Information Open API)

  • 김태홍;여길수;정세준;유윤섭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8-390
    • /
    • 2021
  • 본 논문은 키패드, 도트매트릭스, 라이다센서, NFC 리더기를 부착한 임베디드 보드와 공공데이터포털 Open API 시스템과 딥러닝 알고리즘(YOLOv5)를 사용하여 시각장애인의 버스 탑승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이용자는 NFC 리더기 및 키패드를 통해 희망하는 버스번호를 입력한 뒤, Open API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해당 버스의 위치 및 도착예정시간 정보를 시스템에 입력해놓은 음성 출력을 통해 얻는다. 또한 도트매트릭스로 버스번호를 출력하여 기사와의 상호작용을 대기함과 동시에 딥러닝 알고리즘(YOLOv5)은 정차하는 버스 번호를 실시간 인식하고 거리센서로 버스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정차유무정보를 확인, 전달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