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source

검색결과 2,043건 처리시간 0.031초

응용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특징에 적합한 논리적 품질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Logical Quality Evaluation Model based on Application Open Source Software Characteristics)

  • 김지혁;류성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1호
    • /
    • pp.73-82
    • /
    • 2009
  •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를 활용하기 위한 객관적인 품질 모델이나 지표에 대한 연구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이를 평가하기 위한 정량적인 평가 기법에 대한 연구도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에 활용할 수 있는 품질평가 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품질평가 모델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정량적 품질 평가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품질 모델은 문헌 자료를 기반으로 품질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ISO 9126의 품질 특성과 비교 검토하여 6개의 주특성과 12개의 부특성과 이를 정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12개의 평가 메트릭으로 구성된 '논리적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품질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품질 평가 모델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커뮤니티에 있는 상위 Rank 5개의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PMS) 관련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제안한 품질평가을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오픈 소스 라이선스 양립성 위반 식별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Open Source License Compatibility Violations)

  • 이동건;서영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7권12호
    • /
    • pp.451-460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각종 산업 분야를 불문하고 소프트웨어 개발 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는 자유로운 사용에 대한 권리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책임을 라이선스(license) 형태로 요구한다.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자와 이용자 간의 조건 범위를 명시한 계약이기 때문에 개발자가 규정한 라이선스를 지켜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에는 저작권 침해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된다. 특히, 새로운 소프트웨어 개발 시 기존에 개발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경우, 각 코드의 라이선스가 양립성(compatibility)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서로 호환되는지 확인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에 반하여 양립성 문제 관련 사건들이 다수 발생하고 소송으로 이어지기도 하면서 원활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들 간에 오픈 소스 규칙을 준수하고 라이선스 양립성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 식별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인 OSLC-Vid를 제안한다. 이렇게 제안된 기법은 실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위반사례 식별 성능을 검증하였다.

상용 오픈소스 취약점 스캐닝 도구의 성능 시험을 위한 효율적 평가 기준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icient Evaluation Criteria for Performance Testing of Commercial Open Source Vulnerability Scanning Tools)

  • 신강식;정동재;최민지;조호묵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709-722
    • /
    • 2022
  • 최근 "Log4j 보안 취약점 사태" 가 발생함에 따라 오픈소스인 "Log4j"를 활용하는 정보시스템이 취약점에 노출되었다. 이번 사태로 인해 전 세계뿐만 아니라 국내 주요 정부 기관 또는 기업들의 정보시스템에 큰 취약점이 발생하여 오픈소스의 취약점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오픈소스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개발하는 현재의 개발 패러다임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보안 취약점이 손쉽게 확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많아 오픈소스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하기 위해 오픈소스에 대한 취약점 점검이 필요하다. 하지만 오픈소스 취약점 스캐닝 도구는 종류도 많고 지원하는 언어와 기능들이 상이한 다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 소프트웨어 평가 기준으로는 평가하기 모호하고 장단점을 평가하기 어려우므로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취약점 분석 도구에 대한 새로운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오픈스택 기반 클라우드 시스템의 구축 검증 도구 (Development of a Testing Tool to Validate Integrity of a Constructed Cloud System based on OpenStack)

  • 손석호;강동재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658-663
    • /
    • 2014
  • OpenStack과 같이 오픈 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플랫폼 (Cloud Management Platform) 의 빠른 구현으로 인하여, 오픈 소스를 이용한 개인 및 기관의 클라우드 구축 시도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클라우드 운영자들에게, 구축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의 동작 검증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 검증하기 위한 오픈 소스 기반의 클라우드 테스트 도구를 디자인하며 구현한다. 특히, 제안된 테스트 도구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인 Tempest를 활용하며, Tempest의 테스트 케이스를 통해서 OpenStack기반의 클라우드를 검증한다. 제안된 소프트웨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되는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 테스트 도구의 프로토타입이며, 앞으로 클라우드 기술 개발 및 사용자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Awarematics/WMSServer : 오픈소스 웹 맵 서비스 서버의 설계와 구현 (Awarematics/WMSServer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Open Source Web Map Service Server)

  • 남광우;하수욱;하태석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70-72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웹 맵 서비스 서버인 Awarematics/WMSServer의 설계와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최근 GIS 분야에서 오픈소스 GIS를 이용한 시스템 구축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나,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오픈소스 GIS 엔진은 많지 않았다. 이 논문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하고 군산대가 오픈소스화한 Awarematics/WMSServer의 기능과 설계, 구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 PDF

Experiments of Search Query Performance for SQL-Based Open Source Databases

  • Min, Meek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2호
    • /
    • pp.31-38
    • /
    • 2018
  • As the use of open source databases grows, so does ne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earch queries for these databases. This paper compares the search query performance of SQL-based open source databases with commercial databases through experiments. The targets are MySql, MariaDB, and MS-SQL Server. In this study, the execution time of various types of search queries are measured. Also, search query performance was experimented according to change of index and number of tupl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SQL-based open source databases have the potential to replace commercial databases when indexes are used and the number of tuples is not very large.

인공지능 데이터 품질검증 기술 및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분석 연구 (An Evaluation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Validation Methods and Open-source Frameworks)

  • 윤창희;신호경;추승연;김재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403-1413
    • /
    • 2021
  •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automated data validation technique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training, and also disclose open-source frameworks, such as Google's TensorFlow Data Validation (TFDV), that support automated data validation in the AI model development process. We also introduce an experimental study using public data set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open-source data validation framework. In particular, we presents experimental results of the data validation functions for schema testing and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open-source frameworks for semantic data. Last, we introduce the latest studies for the semantic data validation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공개 소프트웨어 기반 5G 프로젝트 개발 동향 분석 (Analysis of Current 5G Open-Source Projects)

  • 김민재;박경민;박종근;김영수;이종훈;문대성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6권2호
    • /
    • pp.83-92
    • /
    • 2021
  • 5G networks are rapidly expanding. Simultaneously, the need for a testbed-not a commercial network-is increasing to verify aspects such as 5G network security vulnerabilities. Open-source projects in 4G networks already exist and are implemented similarly in commercial networks. Due to the compatibilty between 5G and 4G networks, 5G networks are being developed and implemented as open-source projects on the basis of 4G networks. In this study, we review the development trends of 5G open-source projects and simulators that can be used for 5G research.

오픈 소스를 활용한 소형 드론 설계와 제작에 대한 연구 (A Design of Small Drone with Open Source Frame and Software)

  • 이준하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8-81
    • /
    • 2019
  •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desig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se small drones using open source. These drones are used in flight exercises, aerial photography, and coding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the development of sensor technology, expansion of open source sharing,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ected to be able to demonstrate convergence.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e design and fabrication of small drones using open source. In the case of drones, various functions and differentiated materials are required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and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unmanned mobile object, namely the drone, in which the creativity and the technology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continues to be enhanced by the improvement of autonom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based architecture-based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embedded SWs that combine sensors, motors, and control systems. In hardware, it is customary to use a combination of materials and design to increase the freedom of design. It will be made in a free structure.

기록시스템의 오픈소스화 전략 연구 (A Study on Open Source Transition Strategy of Record System)

  • 안대진;임진희
    • 기록학연구
    • /
    • 제52호
    • /
    • pp.119-170
    • /
    • 2017
  • 이 연구는 국가기록원과 서울특별시가 기록시스템을 오픈소스화하기 위한 환경을 분석하여 위험요소를 식별하고, 국내에서 이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 어떤 요건이 갖춰져야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2장에서는 소스코드 공개가 수요기관이나 개발업체, 그리고 이용자 모두에게 비용 및 효율성 측면의 전략적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협력적으로 개발하여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절차와 이를 지원하는 기술 인프라에 대해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기록관리 분야의 대표적인 오픈소스 프로젝트 6종을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했다. 종합적인 시사점을 얻기 위해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개발 주체를 국제기구, 국제협력체계, 국립아카이브, 개발업체 등으로 구분하였다. 각 프로젝트별로 추진배경과 목적, 개발과 펀딩의 주체, 거버넌스 모델, 개발기간과 비용, 비즈니스 모델과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커뮤니티 구성과 라이선스 전략 등을 분석하였다. 사례를 통해 네 가지 핵심 성공요소를 도출했다. 기술적 측면에서는 컴포넌트 기반의 설계가 필요했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와 모델-뷰-컨트롤러 패턴을 제안했다. 다음으로는 기록관과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시스템 필수요건 재정립이 필요했다. 그리고 개발업체가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쉽게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듀얼 라이선스 전략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를 만들기 위해 강력한 거버넌스 조직과 효율적인 협력체계를 강조했다. 수요기관 중심의 시장 환경에서 기록시스템의 오픈소스화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동체 안에서 개발업체와 이용자의 역할이 더 발휘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한 협력도구와 개발 인프라를 기획 단계부터 중앙집중식으로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