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Platform Board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9초

MOST150기반 MEP를 이용한 프리미엄 고속버스용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Multimedia Streaming System using MEP Based on MOST150 for Premium Express Buses)

  • 이재규;이상엽;조현중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5호
    • /
    • pp.1049-1057
    • /
    • 2017
  • 차량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특히, 프리미엄 고속버스와 같은 고급상용차에서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더욱 중요하다. 우리는 본 논문에서 MOST150을 기반으로 MEP(MOST Ethernet Packets)을 이용해 프리미엄 고속버스용 멀티미디어 시스템 구조를 제안했고, Prototype을 설계 및 구현했다. 제안한 시스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운용될 수 있는 I.MX6기반의 Board를 설계했다. 소프트웨어는 Open Source Platform인 Android를 기반으로 프리미엄 고속버스용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설계했다. MOST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네트워크 기술이며, 차량의 멀티미디어시스템 설계에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링 토폴로지(Ring Topology)를 사용하고, 최대 64개의 MOST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MOST 네트워크는 광모듈(POF)을 이용해 통신하기 때문에 EMI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및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요구조건을 충족한다.

HTML5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TV와 스마트 홈용 플랫폼 개발 (The Developement of Smart TV and Smart Home Platform based on HTML5)

  • 김광준;강기웅;한규철;장승진;윤찬호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991-998
    • /
    • 2014
  •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은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각종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드웨어와 그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동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 모바일 플랫폼인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ARM Cortex-A8 Core를 사용한 SAMSUNG의 S5PV210 CPU를 장착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서 효율적인 산업용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MPU 모듈 및 Base 보드를 설계 제작하여 구현하였다. 안드로이드 OS기반의 리눅스 커널을 통해 안드로이드 응용 계층의 네이티브 앱과 HTML5를 적용한 온도 및 습도 센서 모니터링 응용프로그램을 구현함으로서 본 논문에서 개발한 임베디드 플랫폼 설계의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한다.

음성 보안을 제공하기 위한 가상화 기반의 VoIP 설계 및 검증 테스트 (Design and Verification Test of Virtualized VoIP to support Secured Voice Communication)

  • 차병래;박선;김종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2462-2472
    • /
    • 2014
  • 최근 컴퓨팅 패러다임의 변화와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VoIP 기술이 재조명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VoIP 기반의 음성 보안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PBX인 오픈소스 Asterisk와 하드웨어 플랫폼,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간의 시스템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하드웨어 플랫폼에서는 싱글보드에서부터 가상화를 위한 XenServer 기반의 서버들을 이용한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트래픽의 지연 테스트와 음성 보안 테스트를 통해 검증하였다.

SELinux 기반 안드로이드 보안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Android Security System Based on SELinux)

  • 정성화;노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005-3011
    • /
    • 2010
  • 최근 고성능의 스마트 폰이 속속 등장하면서 스마트 폰의 보안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특히 오픈 플랫폼의 경우엔 더욱 바이러스의 타겟이 되기 쉬워졌다. 또한, 시만텍, 안철수연구소 등 많은 보안솔루션 업체들이 모바일 보안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지만, 아직 Android 관련 보안 프로그램은 상용화된 제품이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해결하기 위해 오픈 플랫폼 중의 하나인 Android 상에 일반 Linux에서 동작하는 SELinux를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하여 Android 시스템의 보안 기능을 개발하였으며, S3C6410 상에서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검증하였다.

AUTOSAR 기반의 FlexRay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FlexRay Module based on the AUTOSAR)

  • 주홍택;정설영;이명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6C권6호
    • /
    • pp.747-752
    • /
    • 2009
  • AUTOSAR는 자동차용 공개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서 차세대 자동차용 네트워크 표준인 FlexRay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AUTOSAR 규격을 기반으로 FlexRay 기본 소프트웨어 모듈들인 FlexRay State Manager, FlexRay Transport, FlexRay Interface, FlexRay Transceiver Driver, FlexRay Driver 모듈들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 과정에서 얻은 설계와 구현 방법을 함께 제시하고, 개발된 모듈들을 마이크로컨트롤러에 탑재하여 동작을 검증하였다.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프레임워크 설계 (Real Time Framework Design based on Android Platform)

  • 강기웅;한규철;장승진;임세정;김광준;장창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255-126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오픈 모바일 플랫폼인 안드로이드를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하는 ARM Cortex-A8 Core를 사용한 SAMSUNG의 S5PV210 CPU를 장착한 MPU 모듈, Base 보드 모듈 및 센서 모듈을 제작하여 실시간 프레임워크를 설계함으로서 효율적인 산업용 제어를 가능하게 하였다. 센서 모듈에서 획득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는 하이브리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서 Web Server를 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 클라이언트 User가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스마트 폰에서 확인 함으로서 실시간 프레임워크 설계의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한다.

아두이노 하드웨어와 안드로이드 ADK 소프트웨어의 결합 (Arduino hardware and Android ADK software combination)

  • 이성진;최철길;이경무;최병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36-339
    • /
    • 2013
  •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 기반 전자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으로서, 예술가, 디자이너, 취미 활동가 등 인터랙티브 객체 또는 환경 구축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아두이노의 강점은 하드웨어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어도 손쉽게 하드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아두이노의 구성은 AVR 마이크로컨트롤러 ATmega 168을 사용하며 아두이노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로는 아두이노 프로그램, MATLAB, Processing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 기반이며 하드웨어를 직접 제작할 수 있거나 실드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아두이노를 결합할 수도 있다. 안드로이드 ADK는 오픈 소스로 공개되어 있으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때 사용한다. 그런데 이 안드로이드 ADK에 아두이노 Manifast를 추가하면 서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두이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아두이노 브레드보드에 하드웨어를 설계 후 버튼 클릭을 제작하여 서로 연동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부분은 아두이노 프로그램과 안드로이드 ADK를 사용하였고 하드웨어 부분은 아두이노 MegaADK 보드를 사용하였으며 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하나의 앱세서리를 제작한 후 검증하였다.

  • PDF

아두이노를 사용하여 노약자 자동 인식 기술 구현 (Automatic recognition of the old and the infirm using Arduino technology implementation)

  • 최철길;이성진;최병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4-457
    • /
    • 2014
  •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 기반 전자 프로토타이핑 플랫폼으로서, 예술가, 디자이너, 취미 활동가 등 인터랙티브 객체 또는 환경 구축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아두이노의 강점은 하드웨어에 대한 깊은 지식이 없어도 손쉽게 하드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다. 아두이노의 구성은 AVR 마이크로컨트롤러 ATmega 168을 사용하며 아두이노를 동작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로는 아두이노 프로그램, MATLAB, Processing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 기반이며 하드웨어를 직접 제작할 수 있거나 실드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아두이노를 결합할 수도 있다. 아두이노는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해 계속해서 확장이 가능한데 이를 실드라고 통칭하고 있다. 실드는 기본 보드로 주어지는 아두이노 Uno 보드를 다양한 방면으로 확장시켜 더 많은 기능을 탑재할 수 있게 도와준다. 실드의 종류로는 이더넷 실드, 모터 실드, RFID 실드 등이 있으며 이 실드는 다시 실드 위에 결합할 수 있어 단순한 확장성을 넘어선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약자 자동 인식 기술은 RFID 실드를 이용하여 노약자를 식별하고 있으며 이를 호환할 태그는 SM130 13.56Mhz 태그를 결합하여 하드웨어를 구성하였다.

  • PDF

IoT 기반 지능형 수위 모니터링 플랫폼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T-Based Intelligent Platform for Water Level Monitoring)

  • 박지훈;강문성;송정헌;전상민
    • 농촌계획
    • /
    • 제21권4호
    • /
    • pp.177-186
    • /
    • 2015
  •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IoT (Internet of Things)-based flood management under climate change by developing intelligent water level monitoring platform based on IoT. In this study, Arduino Uno was selected as the development board, which is an open-source electronic platform. Arduino Uno was designed to connect the ultrasonic sensor, temperature sensor, and data logger shield for implementing IoT. Arduino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was selected as the Arduino software and used to develop the intelligent algorithm to measure and calibrate the real-time water level automatically. The intelligent water level monitoring platform consists of water level measurement, temperature calibration, data calibration, stage-discharge relationship, and data logger algorithms. Water level measurement and temperature calibration algorithm corrected the bias inherent in the ultrasonic sensor. Data calibration algorithm analyzed and corrected the outliers during the measurement process. The verification of the intelligent water level measurement algorithm was performed by comparing water levels using the tape and ultrasonic sensor, which was generated by measuring water levels at regular intervals up to the maximum level. The statistics of the slope of the regression line and $R^2$ were 1.00 and 0.99, respectively which were considered acceptable. The error was 0.0575 cm. The verification of data calibration algorithm was performed by analyzing water levels containing all error codes in a time series graph. The intelligent platform developed in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public IoT service, which is applicable to intelligent flood management under climate change.

IoT환경에서의 센서 네트워크와 영상처리 기반의 융합 스마트 홈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Smart Home Platform based on Image Processing and Sensor Network in IoT Environment)

  • 안예찬;이정필;이재욱;송준권;이근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37-41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영상처리기술과 네트워크와 연동이 가능한 센서 기술을 활용하여 발빠른 첨단기술에 맞춘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가정 및 사업 환경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OpenCV 라이브러리의 분석 알고리즘을 활용한 영상 처리 기술을 사용하여 객체를 탐지 및 추적하고 그에 대한 데이터로 객체를 추적하고 다양한 센서들을 제어한다. 또한, 마스터 싱글보드와 슬레이브 싱글보드를 통하여 다양한 센서들을 통제하고 센싱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 및 연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록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현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