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Access Journal

검색결과 821건 처리시간 0.031초

오픈 액세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학술지 발행기관별 차이 및 학문분야별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 among Journal Publisher and among the Academic Disciplines of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Open Access)

  • 고영만;김보애;박태식;이길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31-449
    • /
    • 2009
  • 본 연구는 오픈 액세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학술지 발행기관에 따라 그리고 학문 분야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학술지 발행기관의 오픈 액세스에 대한 태도, 능력, 자신감, 발행기관에 대한 사회적 압력 및 물질적 자원의 다섯 요인이 도출되었다. 학술지 발행기관에 따라서는 사회적 압력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행기관 회원들의 긍정적 인식을 위한 노력과 해당 기관에 대한 물질적 자원이 중요한 것임을 보여 주는 것이다. 학문분야에 따라서는 오픈 액세스에 대한 태도와 능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오픈 액세스에 대한 홍보 강화 및 능력이 있는 학문분야의 학술지를 오픈 액세스의 우선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공공기금으로 작성된 논문의 오픈액세스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en Access Policy to Public Funded Research Articles)

  • 정경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07-227
    • /
    • 2010
  •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의 약 18%가 공공기금을 지원받고 있으며, 특히 공학분야에 공공기금논문이 많았고, 다른 공공기관보다 재단의 지원을 받은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이들 공공기금 논문의 상당수가 상용DB를 통하여 유료 서비스되고 있는 반면, 기초학문자료센터나 NTIS에서 무료 원문서비스되는 경우는 극히 적었다. 국외의 연구기관 다수가 공공기금논문에 대한 오픈액세스정책을 채택하고 있는 반면 국내 공공기금 지원기관은 이러한 정책이 없었다. 본 연구는 공공기금논문이 가장 많았던 공학 및 농수해 분야와 기금지원 빈도가 가장 높았던 한국연구재단을 중심으로 오픈액세스 이해당사자들과 협의를 통한 정책개발과, 오픈액세스 정책에 규정되어야 할 세부사항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건강관련 공개자료 접근 및 활용에 관한 고찰 (Access to and Utilization of the Open Source Data-related to Adolescent Health)

  • 이재은;성정혜;이원재;문인옥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78
    • /
    • 2010
  • Background & Objectives: Current trend is that funding agencies require investigators to share their data with others. However, there is limited guidance how to access and utilize the shared data. We sought to determine what common data sharing practices in U.S.A. are, what data-related to adolescent health are freely available, and how we deal with the large dataset adopting the complex study design. Methods: The study included only research data-related to adolescent health which was collected in USA and unlimitedly accessible through the internet. Only the raw data, not aggregated, was considered for the study. Major keywords for web search were "adolescent", "children", "health", and "school". Results: Current approaches for public health data sharing lacked of common standards and varied largely due to the data's complex nature, large size, local expertise and internal procedures. Some common data sharing practices are unlimited access, formal screened access, restricted access, and informal exclusive access. The Inter-University Consortium for Political and Social Research and the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the best data depository. "Data on the net" was search engine for the website providing data freely available. Six datasets related to adolescent health freely available were identified. The importance and methods of incorporating complex research design into analysis was discussed. Conclusion: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standardize process for open access and open data using the information technology concept. However, it may not be easy for researchers to adapt themselves to this high technology. Therefore, guidance provided by this study may help researchers enhance the accessibility to and the utilization of the open source data.

  • PDF

R&D 성과물 공동활용에 대한 연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Perceptions of Researchers on Cooperative Utilization of Research Outcomes)

  • 장덕현;노류하;이수상
    • 정보관리연구
    • /
    • 제39권4호
    • /
    • pp.1-20
    • /
    • 2008
  • 최근 학술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변화 중 괄목할 만한 것이 '오픈액세스(Open Access)인데, 세계적으로 정보공유를 위한 연구자들의 참여와 학계와 정부에서의 지원 정책 발표가 이어면서 서구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정보공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보의 생산자이면서 소비자인 연구자들의 참여의지와 인식이다. 따라서 연구성과 정보의 공유에 대한 인식 조사는 대단히 긴요하다. 본 조사는 특정 주제 분야의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오픈액세스 환경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바탕으로 오픈액세스 환경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저작권 문제를 조명하였다. 결과적으로 국내 연구자들에게 있어서 '오픈액세스'에 대한 인식은 아직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저작권이 침해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명확한 출처를 밝히고 합법적인 목적으로 연구물을 사용한다면 오픈액세스 활동에 참여할 의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저작권과 라이선스의 마련, 그리고 산재한 연구성과물의 원활한 관리와 접근 및 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연구정보관리 체제의 구축이 필요함을 밝혔다.

오픈 사이언스 시대를 위한 과학기술 연구지원 서비스 동향 분석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Support Service Trends for Open Science Era)

  • 김순;이보람;김환민;김혜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9-249
    • /
    • 2017
  • 공공연구 성과물(출판물 및 데이터)을 디지털 포맷으로 공개하여 이들 자료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자하는 오픈 사이언스 프로젝트가 국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오픈 사이언스의 주요 특징인 공개 연구, 오픈 액세스, 연구데이터 공유, 공개적인 동료 평가, 투명한 연구 성과 평가에 맞추어 연구자 중심의 다양한 연구지원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오픈 사이언스 시대를 대비하여 해외의 과학기술정보 서비스에 대해 심층 분석하고 국내 활용현황을 조사하였다. 국외의 적극적인 오픈 사이언스 대응현황에 비해 국내에서는 오픈 액세스나 기관 리포지터리 정도만 준비가 되어 있고, 연구데이터 관리나 협력 연구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준비가 미비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 정보서비스 기관에서도 오픈 사이언스 시대를 대비하여 해외 우수 사례들을 충분히 고찰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연구지원 서비스 정책과 가이드라인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실시간 동영상 데이터 송수신기 구현에 대한 접근 (Software-defined Radio (SDR): An Approach to Real-Time Video Data Transceiver Implementation)

  • 유동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49-15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SDR: Software-defined Radio)를 활용하여 실시간 동영상 송수신기를 구현하기 위한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개방형 무선 접속망(O-RAN: Open Radio Access Network)을 연구하고 이를 SDR 장치와 개방형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접근 문턱을 낮추고 새로운 시각과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기록관리학회지의 오픈액세스 출판 전환 과정 기록 (A Recording of the Transition Process to the Open Access Publishing in JKSARM)

  • 정경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5-227
    • /
    • 2020
  • 이 논문은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 학술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이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상용DB업체와 학회, 공공DB운영기관 사이에서 벌어진 저작권을 중심으로 한 갈등과 업체와 도서관 사이의 학술DB 가격에 대한 갈등문제를 설명하였다. 또한 최근 국내의 문헌정보학 분야와 인문사회분야 학회들의 오픈액세스 선언의 의미를 설명하였다. 한국기록관리학회지를 오픈액세스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부딪힌 출판비 문제, 논문 유통의 문제, 학술지 출판과 관련한 제도의 변경 등 학술지 출판사로서 실무적인 사안들을 처리한 방법과 과정을 기록하고 문제점들도 드러내고자 했다. 또한 이 논문은 기록관리학회지의 오픈액세스 전환을 학술논문의 지식커먼즈를 실현하려는 과정으로 설명하였다.

A Study on Direction of the Electronic Government: with Focused on Freedom of Information

  • Kim, Tae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13-119
    • /
    • 201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freedom of information and Information access right which improves transparent and speedy administration process. To build open Information, we scrutinize that causes of non access right and change of civil service consciousness, attitude for open information by effectively open system circumstances. The Important thing is basic information that is available to the public through an agency's FOIA Reference Guide, all agencies must notify potential FOIA requesters of the formal rules and requirements for the making and handling of FOIA request, through their FOIA regul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is paper focused on Information access right, causes of non access right and proposed policy. In this paper, The author emphasize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freedom of information' necessity and problem that scrutinize a theoretic analysis, second, to understand civil servant's attitude for the freedom of information, third, to suggest action plan and agenda for the better of Good Governance and Democracy of information.

동시출현단어 분석 기반 오픈 액세스 분야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Domain Analysis on the Field of Open Access by Co-Word Analysis)

  • 서선경;정은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07-228
    • /
    • 2013
  •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로 인해 오픈 액세스 분야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사용하여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를 규명하여 연구동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 수집은 Web of Science 기반으로 수행하였다. 검색 대상 기간은 1998년 1월 1일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이며, Topic검색을 통하여 총 479건의 저널 논문을 수집하였다. 총 479건의 저널 논문 제목과 초록에서 명사구 형태의 키워드는 총 8,643개(문헌 당 18.04개)를 추출하였다.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을 위해 첫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18개의 세부 주제 영역을 밝혔으며, 오픈 액세스 분야 키워드들의 지적 관계를 시각화하여, 키워드 관계, 중심성 분석을 통한 전역 중심 키워드와 지역 중심이 높은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둘째,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형성된 4개의 군집을 MDS지도에 표시하였으며, 각 키워드들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지적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를 밝히며, 향후 연구 방향성 모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공계 학술논문의 연구비 지원 및 오픈액세스 현황 분석:S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Current Research Funding and Open Access Status for Science and Technology Articles Published by S University Faculties)

  • 신은자
    • 정보관리연구
    • /
    • 제41권4호
    • /
    • pp.1-21
    • /
    • 2010
  • 이 연구는 국내 이공계 학술논문의 연구비 지원과 오픈액세스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소재 S대 이공계 학술논문 출판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다수인 71%의 학술논문이 교내외 연구비를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비를 지원받았지만 최종 연구성과물인 학술논문을 오픈액세스로 제공하고 있는 사례는 극히 드물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즉, 정부가 주체가 되어 공공재원에서 연구비를 지원한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구글스칼라 등의 정보검색시스템을 통해 원문에 접근하기 어려웠다. 이와같은 분석결과는 연구비를 지원받아 산출된 연구성과물의 경우 학술지 출판은 물론이려니와 디지털파일을 오픈액세스로 제공할 것을 의무사항으로 규정한 해외 사례와 대조를 이룬다. 이에 향후 국내의 연구비 지원 기관은 연구성과물 오픈액세스에 관한 규정을 정비하고, 디지털파일의 의무제출과 리포지터리에의 등재를 철저하게 준수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오픈액세스를 통해 학술논문의 영향력을 증진시키는 것은 연구자 뿐 아니라 연구자의 소속 대학에게도 중요한 일인 만큼, 대학은 구성원의 연구성과물을 등재할 수 있는 리포지터리를 구축하고 콘텐츠를 확충하는 데 보다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