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nline education spac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6초

메타버스 ZEP 플랫폼 기반의 최적화된 수업 공간 및 맵 개발 (Development of an Optimized Class Space and Map based on the Metaverse ZEP Platform)

  • 박애란;이명숙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39 -447
    • /
    • 2023
  • 본 논문은 메타버스 플랫폼 중 ZEP을 이용하여 최적화한 수업 공간에 대한 맵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기존의 메타버스의 수업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의 주체가 학습자가 되도록 수업 공간을 구성하고, 초등학교 컴퓨터 수업에 적용하면서 수업 공간을 수정·보완하여 최적화하였다. 연구 내용은 학습자의 메타버스에 대한 사전 인식을 조사하였고, 메타버스 플랫폼의 장단점 들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맵을 설계하였고, 설계된 맵을 수업에 적용한 후 필요한 API와 앱을 설치하여 보완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학습의 주체자가 되어 자유롭게 공간을 파악하고,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오프라인에서 소극적인 학생, 실력이 부족하여 참여율이 저조한 학생은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향후, 학습분석을 할 수 있는 학습자의 로그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기능들을 API와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램 추가하여 학습자에게는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하게 하고, 교수자에게는 통계 데이터를 가지고 학습자에게 피드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 이것이 가능하다면 메타버스 공간이 학습자에게는 학습 보조자 역할과 교수자에는 교수 보조자 역할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COVID-19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Children's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Parental Challe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Arefeh Shahali;Mansoureh HajHosseini;Reza Ghorban Jahrom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2호
    • /
    • pp.133-140
    • /
    • 2023
  • Objectives: The coronavirus disease pandemic affected people's lives in different ways, including child education and parent-child interactions.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of children and challenges of parents during this pandemic.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alitative and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23 parents of children aged 7-12 years,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which continued until data saturation was reached, and then classified and processed following Strauss and Glasser's approach. Results: The findings were classified as parenting transformation, attachment challenges, and parenting challenges due to macro-systemic changes. Online education and changes caused by social distancing were the most significant parenting challenges. Moreover, children did not have the necessary space to be independent and self-sufficient. Conclusion: For many children, adapting to virtual education has been challenging; therefore, parents should change their parenting control and support. The emergence of such challenges has led to the creation of more opportunities in the field of child education.

Creating a Standardized Environment for Efficient Learning Management using GitHub Codespaces and GitHub Classroom

  • Aaron Daniel Snowberger;Kangsoo You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3_spc호
    • /
    • pp.267-274
    • /
    • 2024
  • One challenge with teaching practical programming classes is the standardization of development tools on student computers. This is particularly true when a complicated setup process is required before beginning to code, or in remote classes, such as those necessitated by the COVID-19 pandemic, where the instructor cannot provide individual troubleshooting assistance. In such cases, students who encounter problems during the setup process may give up on the class altogether before even beginning to code. Therefore, this paper recommends using GitHub Codespaces as a tool for implementing standardized student development environments from day one. Codespaces provides Docker containers that an instructor can configure in such a way as to enable students to practice installing various coding tools within a controlled space, while also providing a language-specific, fully optimized development environment. In addition, Codespaces may be used more effectively in collaboration with GitHub Classroom, which helps instructors manage both the starter code and coding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work. In this paper, we compare two semesters of university Node.JS programming classes that utilized different development environments: one localized on student computers, the other containerized in Codespaces online. Then, we discuss how GitHub Codespaces and GitHub Classroom can be us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programming classes while also increasing student engagement and programming confidence in class.

인문학 기반 예비대학 모델 연구: P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umanities-based Preliminary University Model : Focused on the P University)

  • 백상미;정선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57-364
    • /
    • 2022
  • 본 연구는 인문학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해 예비대학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 평가하는 플랫폼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 대학의 특성에 맞는 예비대학을 설계하기 위하여 전문가 인터뷰와 재학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인문학을 기반으로 하는 예비대학의 모델을 제안하였다. 전문가 대상 인터뷰 결과 온라인 플랫폼에 기반한 예비대학 모델 구축 및 인문학적 사고에 기반한 인재 양성 교육의 필요성 등이 제시되었다. 재학생 대상 설문 결과에서는 인문학 기반의 예비대학 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P 대학에 적합한 인문학 기반 예비대학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예비대학 모델 운영을 통해 참여 학생들이 대학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문학적 사고가 확장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본다. 후속 연구에서는 플랫폼 기반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교육적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초등과학교육에서 인공지능의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신원섭;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1호
    • /
    • pp.117-13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find out how to apply it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involved 95 teachers working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need to learn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I and how to apply it to education. Second, science classes had the highest preference for AI among elementary school subjects. Third, the preference for AI application by elementary science field was 68.4% for earth and space, 54.7% for exercise and energy, 32.6% for matter, 27.4% for life. Fourth, AI-based Science Education (AISE) teaching- learning strategies were developed based on AI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ing perspective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ISE'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re five: 'automation', 'individualization', 'diversification', 'cooperation' and 'creativity' and teachers can use them in teaching design, class practice and evaluation stages. Finally, the creative problem-solving Doing Thinking Making Sharing (DTMS) model was devised to implement the creativity strategy in AISE. This model consists of four-steps teaching courses: Doing, Thinking, Making and Sharing based on the empirical learning theory. In the future,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by applying it to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실과(기술·가정) 교과 '가족' 영역 메타버스 ZEP 플랫폼 기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s Based on the Use of the Metaverse ZEP Platform in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Focusing on the "Family Life" Unit)

  • 고은미;김성숙;김형선;김연정;채정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543-56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 Metaverse ZEP platform-bas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by selecting learning topics that are commonly dealt with among the core concepts of the "family" area of practical (technical and home) subjects. To this end,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was developed through planning, Metaverse platform design, expert review, and revision stages. The Metaverse ZEP "Open Class Day" platform, a virtual learning space, was created and developed to further utilize EduTech programs, such as Padlet, Mentimeter, Jamboard, Miricanvas, and Spatial.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developed in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seven sessions, including approaching EduTech, Changing Families, Exploring Our Family, and Counseling Centers 1, 2, and 3. Among them, Geumji Counseling Center 1, 2, and 3 was designed as a class in which parents and children participate together in open classes using the ZEP platform. This platform can be used as part of parent classes as well as to encourage online participation in the open classes held periodically at each individual school. In terms of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of th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verified through five experts, 12 out of 15 questions had a CVR of 1, while the remaining three questions had a CVR of 0.6. The three questions with lower validity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사이버 교육효과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 방안 연구 (A Study on an Efficient Web Interface Design for Improving Education Effects on Cyber Spaces)

  • 박은영;박영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289-300
    • /
    • 2007
  • 최근에는 온라인을 통해 교육을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함께 UCC(User Created Contents)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로 자신의 전문지식이나 개성을 표현하려는 욕구 또한 함께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개인 홈페이지나 동영상, 게임 등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표출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교육 사이트는 대부분 흥미로운 요소들이 배제 된 채 획일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루하고 딱딱하다는 인상을 많이 받게 되는 아쉬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객맞춤형 디자인 방법을 통해 심미성과 기능성을 지닌 다양한 디자인 요소들을 본인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함으로써 학습효율을 고취시킬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을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교육 공간은 사용자의 개성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사용자 중심의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지닌 온라인 교육사이트의 모델을 디자인 측면에 포커스를 두어 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공공도서관 서비스 분석 및 확대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Expansion Plan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the COVID-19 Pandemic)

  • 오선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119-141
    • /
    • 2023
  • 코로나19 팬데믹은 근대 이래로 지구촌 공공도서관이 수행해 왔던 지식정보서비스 지형을 크게 변화시켰다.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면서 문화활동의 위축과 온라인 플랫폼으로의 이동은 도서관 방문·이용서비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대출과 열람, 공간과 시설 이용, 상호대차서비스, 프로그램 운영, 아웃리치서비스 등을 크게 위축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계기로 국내외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사서의 인식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반영하여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실제적인 서비스 개선 및 확대 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열람 및 대출서비스를 위한 온라인 예약시스템 개선 및 다양한 아웃리치서비스 개발·제공, 전자자료 확보 및 서비스 확대, 온라인 프로그램 서비스(독서, 문화, 평생학습 등) 확대, 지식정보 취약계층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강화, 신종 감염병 관련 정보 포털서비스 제공, 시설과 공간 제공서비스 강화, 감염병 대응지침 마련과 사서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제공 등이 있다.

융복합 교육 시대에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방안 (Educational Utilization of Smart Devices in the Convergence Education Era)

  • 피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29-37
    • /
    • 2015
  • 융복합 교육시대에 접어들면서 현재의 교육문화는 스마트교육을 통한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스마트기기의 등장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학습이 가능하므로 교육적으로 활용하면 학습자의 역량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도모할 수가 있다. 현재 대학교육에서 스마트기기를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나 체계적인 지침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스마트기기의 일반적인 이용실태를 분석하고 스마트기기를 교육적으로 정보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정보 활용과 관련하여 정보검색, 소통, 협력, 공유, 보고서작성, 자료보관, 온라인 평가, 프로젝터 관리 활동으로 명명하여 실험집단 학생들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 후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테스트와 설문지 분석을 통해 실험집단 학생들이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스마트기기를 정보로 활용하는 능력과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의 교육적 활용방안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과 더불어 다양한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효율적인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한 비콘 신호세기 분석 (Beacon Signal Strength Analysis for Efficient Indoor Positioning)

  • 황현서;박진태;윤준수;표경수;문일영;이종성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52-557
    • /
    • 2015
  • 최근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여 이루어지는 다양한 서비스가 근거리 무선통신기술들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그 중 비콘이 차세대 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비콘은 블루투스 및 인간이 들을 수 없는 비가청영역의 주파수를 활용하여 단말과 정보를 주고받는 단말로서, 최근 애플 iBeacon처럼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비콘이 주류로 부상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비콘을 활용한 서비스는 기본적은 실내 특정 장소에 단말을 설치한다. 사용자가 별도의 행동을 취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해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위치 기반 서비스들이 주목 받기 시작했다. 실내공간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들이 성공적으로 구축 및 제공되기 위해서는 실내공간에 대한 지도, 이동경로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구축하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해 특정 장소에서 비콘의 신호세기를 다르게 하여 측정 및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