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Lectures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1초

완전사이버 강의의 개선을 위한 방안: 교수자 제안을 중심으로 (A Study to Improve Full - Cyber Lectures: with Focus on Instructors' Proposal)

  • 이승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409-414
    • /
    • 2013
  • 본 연구는 사이버 강좌 중 사이버 위주, 사이버 중심의 완전사이버 강좌의 실효성을 점검하고,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가 재직하는 B대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면대면 중심의 일반 강좌, 그리고 부분사이버 강좌와 비교한 완전사이버 강좌의 강의평가점수 평균을 비교하고, 완전사이버 강좌를 운영하고 있는 교수들과의 면담을 토대로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2011~2012학년도 4학기 동안의 강의평가점수 평균은 완전사이버 강좌가 나머지 두 유형에 비해 4학기 내내 일관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부분사이버 강좌의 경우는 면대면 강좌와 같은 평균점수를 나타냈다. 결국, 15주 내내 사이버 공간에서 수업이 이루어지는 완전사이버 강좌의 경우 학생들의 수업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수들과의 설문과 면담을 통해 효율적인 완전사이버 강좌의 운영을 위해서는 60명 선에서의 수강인원의 제한과 초과 시 전문조교 지원, 콘텐츠의 수시보완을 위한 전문 인력의 협력체제, 교수자들의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 학습 분량의 적정화를 위한 노력, 그리고 오프라인을 통한 상호작용의 노력 등이 우선 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한 학습자특성과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for Effective Online Learning)

  • 이영림;임희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38-1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해 대학 온라인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특성과 선호도를 살펴보고 분석하는 데 있다. 총 101명의 온라인수업에 참여한 대학생이 학생들 개인의 특성과 온라인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요인들을 포함한 설문 작성을 완료하였다. 연구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녹화영상으로 학습한 학생들이 실시간수업으로 학습한 학생들보다 온라인수업이 더 효과적이라고 답할 확률이 높았다. 또한 온라인학습 시 어려웠던 점을 분석한 결과, 스스로 학습과 교수자에게 질문하기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에게는 온라인 학습이 비효과적일 확률이 높았다. 온라인 강의 학습시간이 많은 학생들과는 달리 과제수행시간이 많은 학생들에게는 온라인수업이 더 효과적일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수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보다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유형의 학생들에게 온라인학습이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온라인수업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학습자의 특성과 선호도를 바탕으로 온라인수업을 설계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Establishing Online Meeting Climate Types and Developing Measurements: Impact on Meeting Satisfaction

  • Jin, Xiu;Zheng, Fusheng;Hahm, Sangw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8호
    • /
    • pp.2751-2771
    • /
    • 2022
  • In the post covid-19 era, organizations will experience a new environment. Advances in technologies such as AI and big data, and new experiences such as online meetings and lectures, will increase the use of online communication. Businesses will increasingly engage in online-based information sharing, virtual team operations, and online meetings. This study focuses on meeting climate and satisfaction,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online meetings. Existing studies on meeting climate presuppose off-line situations. Offline and online communication methods and meeting formats are different. This paper proposes new climate types to develop an appropriate climate for online-based meetings. To apply these climates in online meetings, a measurement scale was developed and the impact on online meeting satisfaction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ity-oriented meeting climate was the most important, and relation-oriented and participation-oriented meeting climate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while the direction-oriented and task-oriented climates were relatively less important. This study develops new variables and measurements for online meeting climates, and explains their importance. Companies will be able to leverage the appropriate climates for online meetings to improve performanc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nline-based Arduino Programming Experience Program

  • Eun-Sang,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79-187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기반 아두이노 프로그래밍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ADDIE 모형과 Lee의 모형에서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기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2종을 개발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교수학습자료는 강의에서 사용할 실습 재료, 교수용 사이트, 동영상 강의 콘텐츠 등이었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학생이 등교한 상황과 등교하지 않은 상황에서 총 3회 적용되었다. 넷째,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본 개발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도서 산간 지역과 같이 강사의 접근이 쉽지 않은 장소에서 온라인 기반의 체험 활동을 기획하는 교수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참고 자료가 될 것이다.

온라인 글쓰기 수업 운영 사례 연구 - G대학의 <교양글쓰기> 사례와 학습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Online Writing Class - Focusing on at G University and the Response of Learners -)

  • 송대헌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15-125
    • /
    • 2021
  • 이 연구는 G대학교의 글쓰기 수업인 <교양글쓰기> 교과목을 중심으로 온라인 수업 사례를 선보이고 학생들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교육의 가능성을 분석하며 온라인 글쓰기 강의에 대한 효율적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G대학에서 운영한 온라인 글쓰기 수업 사례를 살펴 본 결과 온라인 글쓰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다. 제한된 상황 속에서도 수업의 참여도도 높았으며 온라인 첨삭 활동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반면에 과제도 발견할 수 있었다.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글쓰기 교육은 학생들과의 원활한 소통이라는 관점에서는 한계를 갖고 있다. 글쓰기의 첨삭 지도는 온라인으로 충분히 가능하지만 쌍방향 교육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통의 한계를 보완해야 하는 것이 과제이다. 또한 온라인 첨삭 지도에 참여한 학생들이 대부분이었지만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도 나타났다. 온라인 수업의 정착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는 것도 필요한 과제이다. 결국 온라인 글쓰기 수업의 효과적 운영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용 영상매체를 활용하며 글쓰기의 이론과 실제의 충분한 학습과 교수자와 학생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져야만 온라인 글쓰기 수업도 흔들림 없이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COVID-19 이후 물리치료과 학생의 온라인수업 실태 조사 연구 (A Study on Online Classe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since COVID-19)

  • 정은정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4-64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actual situation of online classes of college physical therapy students after COVID-19.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act-finding survey on how physical therap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es think about the online class method, what are the overall problems, and to what extent they are satisfie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2 students in the 3rd year of physical therapy at University A, and the survey period was from June 10 to June 23, 2020, and the perception and use of online class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ere investigated. Design: Cross-section study. Results: The perception of online lectures,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online classes after actual online classes was better than the perceptions before watching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with online classes was generally hi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ades in self regulated learning. The data values measur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Windows version 12.0 statistical program.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each class compared to online classes and face-to-face classes.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한 대학 신입생들의 비대면 강의 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Non-face-to-face Lecture by College Freshmen Using Focus Group Interview)

  • 강진호;손성민;한승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97-408
    • /
    • 2020
  • 본 연구는 COVID-19로 비대면 강의를 경험한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경험한 것을 알아보기 위해 1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비대면 강의 운영', '강의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탈', '한 방향 듣기', '강의 수강의 편리함'이었다.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비대면 강의 운영'의 경험으로는 혼선의 비대면 강의 시작, 번거롭고 불편한 온라인 시스템, 등록금 환불 요구를 경험하였다. '강의 방향감 상실과 학습 이탈'의 경험으로는 강의 집중의 어려움, 학습내용 인식 정도의 결손, 과제 및 시험에 대한 부담을 경험하였으며, '한 방향 듣기'의 경험으로는 교수자 및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부재와 현장의 생동감 미반영을 경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강의 수강의 편리함'으로 내가 원하는 시간에 어디서든 강의 수강 가능과 반복학습 가능에 만족감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참여자들은 수준 높은 강의 콘텐츠 및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 작용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였으며 대학에서는 수준 높은 강의 콘텐츠를 구성하기 위한 행·재정적 지원과 교육 설계 및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Exploring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in a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

  • PARK, Yujin;SUNG, Jihyun;CHO, Young Hoa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8권2호
    • /
    • pp.193-213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in South Korea, focusing on video lecture and discussion activities. A total of 269 teachers took an online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 for 14 days, using an online learning platform from which web log data were collected. The data showe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the initial participation time,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procrastinating behaviors. A cluster analysis revealed three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procrastinating (n=42), passive interaction (n=136), and active learning (n=91) clusters. The active learning cluster showed high-level participation in both video lecture and discussion activities from the beginning of the online course, whereas the procrastinating cluster was seldom engaged in learning activities for the first half of the learning period. The passive interaction cluster was actively engaged in watching video lectures from the beginning of the online course but passively participated in discussion activities. As a result, the active learning cluster outperformed the passive interaction cluster in learning achievements.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regard to how to improve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through considering online learning profiles of in-service teachers.

코로나19 이후 시대 (Post-Coronavirus Disease 2019)

  • 박은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9-141
    • /
    • 2020
  •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s currently in progress. Although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end of currently increasing COVID-19, it is expected to last for a long time. The COVID-19 is making a lot of changes. Due to physical distancing and living distancing, non-contacts such as wearing facial masks, online lectures, online medical services, telecommuting, and telemarketing are becoming common. In the era of post-COVID-19, online and offline will coexist. Many countries following China's lockdown strategy, which is agreed wit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hould be changed to Taiwan's facial mask strategy for reducing the economic problems. The prolonging COVID-19 will add to the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US-China confrontation will be difficult to rebound the global economy. COVID-19, such as plaque, smallpox, and Spanish influenza, will be a historical momentum. How to respond to the crisis of COVID-19 and post-COVID-19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the world and Korea.

Analyses on the Perception's Differences of Online Teach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Using the IPA Technique

  • SUNG, Eunmo;CHOI, Jieu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22권1호
    • /
    • pp.57-85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arners' perception of teaching activities in online classes that were forcibly switched due to COVID-19, and to compare and analyze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online teach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in university students. To address these goals, 31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courses operated as online classes at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IPA procedures and methods. As a result, for online teaching activities, class attendance check and encouragement, clarity of class objectives, the ability to deliver the content of learning, and the ability of the instructor to deliver lectures were identified as factors to be constantly emphasized.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high level learners' interaction strategy with instructor, interaction strategy with learner, and timely provision of instructor's feedback.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online teaching activities for learners with a low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effective online teaching activities in future university education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