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e-hand

검색결과 5,350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 전문 학술지에 의한 위암 외과의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the Trend of Research on Gastric Cancer Reported in Professional Journals in the Field of Surgery in Korea)

  • 오정아;김대훈;오승종;조현진;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4호
    • /
    • pp.186-192
    • /
    • 2009
  • 목적: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게재된 위암 외과 관련 논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구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그간의 국내 외과 영역에서의 위암 연구들의 흐름을 살펴보고, 향후 방향점을 논의하고 미흡한 연구 부분에 대한 연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와 창간 이후 대한위암학회지의 질적 양적인 향상이 있었는지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평가해 보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분석 대상은 2001년도부터 2008년도까지 8년간 위암 분야 전문 학술지인 대한위암학회지와 외과 대표 학술지인 대한외과학회지에 투고된 위암 연구에 관한 논문들로 하였다. 결과: 대한위암학회지와 대한외과학회지의 투고 논문의 경향을 보면, 전자의 경우에는 종설은 많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최근에 증가하였다. 후자는 8년간 총 6편만 발표되었고 전반적으로 종설에 대한 발표 편수가 적었다. 증례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매년 1~3편 전후로 전반적으로 낮은 추세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독특하게도 보고서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만 2004~2005년도에 활발하였다. 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초기에 많았다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U자 형태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초기에 잠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향적 연구는 대한위암학회지에서 점차 증가하다가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한외과학회지에서는 계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위암의 생물학적 연구, 암표지자 연구, 유전자 연구는 두 학회지 모두 게재 비율이 낮았다. 결론: 앞으로의 연구의 방향은 후향적 연구에서 전향적 연구로 이행되어 가고, 임상적 연구보다는 기초에서 임상으로 이어지는 이행성 연구가 중시될 것이며, 단일 기관 또는 연구자 단독 연구보다는 다기관 또는 다학제간의 협력 연구가 더 높이 평가되고 지원되고 장려될 것으로 보인다.

  • PDF

관세율(關稅率) 조정(調整) 경제적(經濟的) 효과분석(效果分析) : 일반균형적(一般均衡的) 접근(接近) (Economic Impact of the Tariff Reform : A General Equilibrium Approach)

  • 이원영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2권1호
    • /
    • pp.69-91
    • /
    • 1990
  • 본고(本稿)에서는 1989년 1월에 시행된 관세율(關稅率) 조정(調整)이 산업별(産業別) 생산(生産), 수출입(輸出入), 물가지수(物價指數), 고용(雇傭) 등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경제(韓國經濟)의 다부문(多部門) 일반균형(一般均衡)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관세율(關稅率)의 조정(調整)은 대부분의 산업(産業)에서 수입(輸入)과 수출(輸出)을 동시에 증가(增加)시키나 수입(輸入)의 증대가 수출(輸出)의 증대보다 더 커서 국제수지(國際收支)는 악화된다. 또한 관세율(關稅率) 조정(調整)은 명목국민(名目國民) 총생산(總生産)을 증대시키고 물가(物價)를 하락(下落)시킨다. 수입(輸入)의 증가율이 큰 산업(産業)으로는 의복, 혁제품, 나무제품 산업(産業)을 들 수 있으며 수출(輸出)은 대부분의 산업(産業)에서 증가하나 특히 수입(輸入)된 원자재(原資材)를 많이 사용하는 비철금속 1차제품, 혁제품, 석탄제품, 고무제품산업의 수출증가율(輸出增加率)이 높다. 산업별생산(産業別生産)을 보면 혁제품, 비철금속 1차제품, 화학제품, 종이 지제품, 목제품 등 일부 수입경쟁산업(輸入競爭産業)에서는 생산(生産)이 감소(減少)되나 기타의 산업(産業)에서는 생산(生産)이 증가된다. 일반적으로 수출(輸出)의 비중이 높은 산업(産業)에서 생산(生産) 및 고용(雇傭)의 증가율이 높다.

  • PDF

임플란트 고정체의 의원성 동요 후 골 유착 반응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re-osseointegration of implant fixture after mechanical unscrewing)

  • 장지훈;조진현;이청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09-214
    • /
    • 2010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 유착된 임플란트에 인위적 비틀림을 가한 후 골 유착이 다시 일어나는지, 혹은 일어나지 않는지, 일어난다면 이전의 골유착보다 강화되는지, 약화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상업적으로 순수한 티타늄 (commercial pure titanium 99%)으로 직경 3.75 mm, 길이 4 mm의 표면처리 없는 실험용 임플란트를 제작하였다. 3.0 kg이상의 뉴질랜드산 흰색 암컷 토끼 7마리의 좌우 경골에 제작한 임플란트를 2개씩 식립 후, 6주의 골유착 유도 기간 부여 후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한 경우를 I군으로, 다시 임플란트 고정체를 재위치시키고 봉합하여 4주간의 치유기간을 더 두고 측정한 경우를 II군으로 분류하였다. 광학현미경을 이용한 조직 형태학적 분석을 위하여, 1차 비틀림 제거력 측정 직후 1마리의 토끼를 희생시키고, 2차 비틀림 제거력 측정 직후 2마리의 토끼를 희생시켜 각각 4개, 7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광학현미경 (${\times}20$) 분석에서 골-임플란트 접촉 (Bone-Implant contact, BIC, %)비율과 치밀골 부위에 위치하는 임플란트의 나사산 수를 측정하여 CBa (Bone area in the cortical passage)비율을 측정하였다. 비틀림 제거력과 BIC및 CBa비율에서의 I군과 II군의 통계적 유의성 ($\alpha$=.05)을 평가하였다. 결과: 비틀림 제거력 측정에서 I군은 $10.8{\pm}3.6$ NCm로 측정되었으며, II군은 $20.2{\pm}9.7$ NCm로 측정되었으며, I군보다II군의 비틀림 제거력이 평균 98.1% 증가되었다 (P<.05). 조직 형태학적 분석에서 BIC와 CBa 비율은 I군과 II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P>.05), RT/BIC와 RT/CBa 값은 I군과 II군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냈다 (P<.05). 결론: 임플란트 고정체에 의원성 비틀림 동요가 발생한 경우에 초기 골유착을 얻기 위해 필요로 했던 치유기간보다 짧은 기간 내에 이전보다 견고한 골유착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기업특성과 호스트국가 환경이 해외시장 관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nfluences of Firm Characteristics and the Host Country Environment on the Degree of Foreign Market Involvement)

  • Maktoba, Omar;Nwankwo, Sonny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5-16
    • /
    • 2009
  • Against the backdrop of the increasing trend towards economic globalisation, many international firms are indicating that decisions on how to enter foreign markets remains one of the key strategic challenges confronting them. Despite the rich body of literature on the topic, the fact that these challenges have continued to dominate global marketing strategy discourses point to someevident lacunae. Accordingly, this paper considers the variables, categorised in terms of firm contexts (standardisation, market research, competition, structure, competitive advantage) and host country-contexts (economic development, cultural differences, regulation and political risk), which influence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UK companies in overseas markets. Following hypotheses were drawn from literature review: H1: The greater the level of competition, the higher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the overseas market. H2: The more centralised the firm's organisation structure, the higher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the overseas market. H3a: The adoption of a low cost-approach to competitive advantage will lead to a higher degree of involvement. H3b: The adoption of an innovation-approach to competitive advantage will lead to a higher degree of involvement. H3c: The adoption of a market research approach to competitive advantages will lead to a higher degree of involvement. H3d: The adoption of a breadth of strategic target-approach to competitive advantage will lead to a lower degree of involvement. H4: The higher the degree of standardisation of the international marketing mix the higher the degree of involvement. H5: The greater the degree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host market, the higher the degree of involvement. H6: The greater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home and host countries, the lower the degree of involvement. H7: The greater the difference in regulations between the home country and the host country, the lower the degree of involvement. H8: The higher the political risk in the host country, the lower the degree of involvement. A questionnaire instrument was constructed using, wherever possible, validated measures of the concepts to serve the aims of this study. Following two sets of mailings, 112 usable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data. Statistically, the paper suggests that factors relating to the level of competition, competitive advantages and economic development are strong in influencing foreign market involvements. On the other hand, unexpectedly, cultural factors (especially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low and high power distance dimensions) proved to have weak moderating effects. The reason for this, in part, is due to the pervading forces of globalisation and the attendant effect on global marketing. This paper has contributed to the general literature in a way that point to two mainimplications. First, with respect to research on national systems, the study may hold out some important lessons especially for developing nations. Most of these nations are known to be actively seeking to understand what it takes to attract foreign direct investment, expand domestic market and move their economies from the margin to the mainstream global economy. Second, it should be realised that competitive conditions remain in constant flux (even in mature industries and mature economies). This implies that a range of home country factors may be as important as host country factors in explaining firms' strategic moves and the degree of foreign market involvement. Further research can consider the impact of the home country environment on foreign market involvement decisions. Such an investigation will potentially provide further perspectives not only on the influence of national origin but also how home country effects are confounded with industry effects.

  • PDF

연희지역 아파트주부의 건강관리실천의 결정요인분석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Decisive Factors in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of Housewives Living in Younhi Area Apartments)

  • 김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9-102
    • /
    • 1978
  • Owing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prolonging man's life, the sudden increase of population and betterment of the standard of living has increased health needs. In order to fulfill these health needs, more active plans for developing health should be made. Health education is one of the methods at hand that can improve the health behavior of the community and the individual through the contact of individuals with their groups.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d group and participation of individuals within the commun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ir health plan are needed for efficient health education. This study was attempted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some data helpful for pre-paring the fundamentals of a health education plan that can improve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of a community through efficient health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of subjects to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and selected decisive factors in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a systematic sample of 120 housewives selected from 600 housewives from B Zone Apt. Younhi-3-Dong in Seoul. Data was collected for 4 days from May 16th to May 19th, 1578 through personal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s by well trained interviewers. Percentage, t-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e of EDPS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bjects over 20 and below 40 years of age formed 62.5% of the toed and the rest were subjects of 40 years and upward. 76.7% of the subjects have less than 4 children. 51.3% of the subjects had completed at least the senior high school course. 2. The response of subjects to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Ratios of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to the maximum score for each category are as follows; 84.1% in the category of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which was the highest ratio; 82.4% in the prevention of accidents; 68.0% in control of communicable disease; 67.8% in personal health care and habits of daily life, 64.3% in mental health and 52.5% in control of parasites, which was the lowest. 3. The response of subjects to selected decisive factors. in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The arithmetic mean of the score for each decisive factor was as follows: the mutual relation between family members marked 18.33, which is under 73,3% of the maximum score; 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 marked 34.48, 70.0% of the maximum score: the degree of utilization and demand for health care facilities marked 25.79 or 64.5% of the maximum score and health maintenance of the family marked 11.58, 43.6% of the maximum score. 4.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s of children. (t = 1.83, d.f. =117, p< 0.1)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act rates with mass-media, (t = 5.02, d.f. = 118, p< 0,05) 5. The multipl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and their selected decisive factors. 1) The factor“the degree of interest in health”could account for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in 43.6% of the sample. (R = 0.6602, R²= 0,4359, F = 91.1678, p< 0.001) 2) When the factor,“health maintenance of family”is added to this, it accounts for 51.2% of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R = 0.7158, R²= 0.5124, F = 61.4653, p< 0.001) 3) When the factor,“mutual relations between family members”is also included, it accounts for 53.7% of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R = 0.7324, R²= 0.5365, F = 44.7509, p< 0.001) 4) When the factor, “the degree of utilization and demand for health care facilities”is included, it accounts for 55.1% of personal health maintenance practice. (R = 0.7421, R²= 0.5507, F = 35.2430, p< 0.001).

  • PDF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다중지능 활용 활동과제 분석 -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따른 '식생활' 단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activities task using multiple intelligence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 Focusing on the 'Dietary Life' unit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

  • 최성연;이영선;최예지;주현정;김승희;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4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중학교 교과서에서 '식생활' 단원의 활동과제를 다중지능 활용 교수·학습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 '청소년기의 영양과 식행동', '식사의 계획과 선택', '식품의 선택과 안전한 조리'를 내용 요소로 하는 본문 내용과 읽을거리, 평가 문항을 제외하고 학생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과제를 다중지능 활용 교수·학습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내용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학습 활동에 중심을 두고 분석하였고, 활동과제의 하위 질문들도 모두 각 한 가지의 활동으로 분리시키되, 연속선상에 있는 활동을 준비하는 과정은 한가지로 묶어서 분석하였다. 3인이 활동과제를 분석하고 협의를 통해 분석기준을 수정·보완하는 과정을 2회 진행한 후 다른 연구자 3인이 확인하였다. 12종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활동과제의 수는 교과서 종류별로 25~74개로 나타났으며, 활동과제의 수는 총 527개였다. 다중지능 영역별 비율을 살펴보면, 논리수학지능을 활용한 활동과제가 35%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지능 26.8%, 개인내적지능 23%, 대인관계지능 7.2%, 시각운동지능 3.8%, 신체운동지능 2.7%, 음악지능 1.5%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연탐구지능을 활용한 활동과제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연탐구지능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다중지능을 활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가정 교과가 실천을 본질로 하면서 식생활과 관련된 다른 교과의 내용이나 방법을 추출하여 새롭게 재조직한다는 점에서 가정 교과의 융합적 성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틀을 마련하여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하고, 가정 교과에서 융합 교육을 실현하는 데 대안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플레와 M2 유통속도(流通速度) (M2 Velocity and Expected Inflation in Korea: Implications for Interest Rate Policy)

  • 박우규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13권2호
    • /
    • pp.3-19
    • /
    • 1991
  • 인플레기대심리(期待心理)의 지속으로 통화량규제(通貨量規制)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투자금융회사의 업종전환(業種轉換), 금리자유화추진(金利自由化推進) 등으로 각종 통화지표(通貨指標)의 움직임이 불안정해질 우려 때문에 통화정책운용(通貨政策運用)에 어려움을 주고 있다. 그러나 본고(本稿)의 연구결과(硏究結果)에 의하면 70년대 중반 이후 금융환경(金融環境)이 급변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실질(實質)M2는 실질(實質)GNP 및 기회비용(機會費用)(예상(豫想)인플레율(率)에서 M2가중평균수신금리(加重平均受信金利)를 뺀 것)과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관계를 가지며, 이는 유통속도(流通速度)와 기회비용간(機會費用間)의 정(正)의 장기적 균형관계로 간략화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안(事案)의 성격에 따라서 다르겠으나 앞으로의 금융구조변화(金融構造變化)가 반드시 M2유통속도(流通速度)의 움직임을 불안정하게 할 것으로 미리 단정할 필요는 없겠다. 또한 예상(豫想)인플레율(率)이 M2가중평균수신금리(加重平均受信金利)를 지속적으로 상회한다면 유통속도(流通速度)도 그 간의 하락추세에서 벗어나 궁극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이는 기존의 금융정책기조(金融政策基調)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즉 금리자유화(金利自由化)가 이루어져 있지 않은 현여건(現與件) 하에서나 혹은 향후(向後)에 일부(一部) 금리(金利)만을 자유화할 경우에는 정책당국이 시장기능(市場機能)을 대신하여 예상(豫想)인플레율(率)의 변화를 감안하여 수신금리(受信金利)를 수시로 조정하여야 한다. 또한 실물적(實物的) 요인(要因)이 아닌 금융산업개편(金融産業改編)과 같은 금융적(金融的) 요인(要因)에 의한 통화증가가능성(通貨增加可能性)이 존재한다면 수신금리(受信金利)를 탄력적(彈力的)으로 상향조정함으로써 실물경제(實物經濟)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하는 등 금리정책(金利政策)의 중요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 PDF

전자빔 조사를 이용한 호박꽃과실파리의 불임 수컷 제조 기술과 유전방제 응용 (Technique to Generate Sterile Males of Striped Fruit Flies, Zeugodacus scutellata,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their Application to Genetic Control)

  • 김용균;압둘라알바키;권기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25-35
    • /
    • 2020
  • 호박꽃과실파리(Zeugodacus scutellata)는 국내 자생종으로 국제적으로는 검역 대상 과실파리 중 하나로 분류되고 있다. 불임충방사기술(sterile insect release technique (SIT))은 검역 대상 과실파리를 박멸하는 데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호박꽃과실파리를 대상으로 불임충 제조 기술을 개발하여 SIT 기술로 이 해충에 대한 방제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앞서 먼저 형광현미경 기술로 호박꽃과실파리의 생식관련 기관을 관찰하였다. 다영양실형 난소소관을 갖는 1 쌍의 난소는 약 100 개의 난포를 발달시키며, 각 난포는 난모세포와 영양세포를 지니며 난포세포가 둘러싸는 구조를 지닌다. 난소 발육은 우화 후 10 일이 지나 발육을 시작하고 우화 후 20 일이 되면 난각을 가지고 있는 난모세포를 발달시켰다. 수컷의 경우 성숙된 정소가 우화 직후에 관찰되었으며 수정관에는 운동성이 있는 정자로 채워져 있었다. 불임 수컷을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선량(0~1,000 Gy)의 전자빔을 3~5 일 경과된 번데기에 조사하였다. 200 Gy 세기 전자빔으로 번데기에 조사하면 무처리와 차이 없이 성충으로 발육하였고 이후 정상 암컷과 교미행동을 보였다. 비록 이들 처리 수컷의 교미는 무처리 수컷과 비교하여 큰 차이 없는 산란력을 보였지만 산란된 알들은 부화하지 못했다. 다음으로 200 Gy 조사로 형성된 불임 수컷을 정상 암컷과 수컷이 함께 있는 장소에 방사하였다. 이때 불임충 수컷 은 정상 수컷에 비해 9 배 많은 수로 방사하였다. 이러한 불임충 처리는 차세대 부화율을 현격하게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200 Gy 세기의 전자빔으로 호박꽃과실파리의 불임충을 제조할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된 불임충은 SIT 방제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치과기공사의 증가현황 및 협회원의 지역별 분포현황 연구 (A Study on the Increase of Dental Technicians in Korea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Korea Dental Technician Association Members)

  • 권순석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34
    • /
    • 2004
  • The present study reviews the license registration status of dental technicians and dentists from 1970 to 2002, the number of technician members of The Korea Dental Technician Association from 1990 to 2003, and the number of dentist members in 2003. It also considers the yearly membership fluctuations, its growth rates, yearly increase/decrease, the rate of dentist to dental technician, regional distribution of association members, regional yearly increase/decrease of the members,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dentists and dental technicians. The purpose is to identify and predict the problems in the demand/supply of dental technicians and the regional imbalance of manpower distribution. By doing so,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the appropriate standard for the supply of dental technicians and point out the necessity of making mid- or long-term plans for ensuring the efficiency of manpower supply and balanced regional distribution. The result is as follows: 1. The number of dental technicians and dentists in 2002 has grown 36.79 and 9.27 times from 1970, and 2.20 and 2.05 times from 1990, respectively. It tool 11 years for the twofold increase of dental technicians from 1990, one year faster than the same increase of dentists. The number of dental technicians per a dentist was the lowest in 1972 (0.21 person), and the highest in 2002 (0.86 person). Specifically, the fastest growth was observed for a year from 1983 (0.47 technician per a dentist) to 1984 (0.6). From 1984 to 1986, the ratio grew by 0.1 every year. Summing up the numbers of dentists and dental technicians who passed the national certification examination, this study predicted the number of dental technicians per a dentist to be 0.88 in 2003, and 0.90 in 2004. 2. From 1990 to 2003, the average distribution of dental technician was 71.76%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28.24% in other smaller regions. The proportion of dental technicians working in the three major cities (Seoul, Busan, and Daegu) was the lowest in 2001 (52.39%) and the highest in 1996 (62.66%). The majority number of dental technicians who practiced in the metropolitan areas (about 70% of the entire population) were in service in the three major cities. 3. Compared with 1990, the number of dental technicians in 2003 grew 2.28 times in the large cities, and 2.05 times in other smaller regions. The yearly growth rate was the highest in 1994 over the previous year: 26.06% in large cities and 17.86% in the other regions. In the large metropolitan cities, the growth rate was the highest in Incheon (5.8 times for 5 years from 1998 to 2003), In the rest of the regions, the increase of dental technicians was the highest in Gyeonggi (6.5 times from 1990 to 2003). 4. In 2003, as much as 73.40% of all the members of the Korea Dental Technician Association were distributed in the large metropolitan cities, and the rest 26.60% were in other smaller regions. Meanwhile, 54.35% of the dentists practiced in the metropolitan cities, and the rest 45.65% were in service at other regions. This result indicates that more dental technicians than dentists are concentrated in large cities. More than half of all the technician members of the Association are distributed in the three major cities (i.e. Seoul, Busan, Daegu). On the other hand, 42.03% of dentist members are in these three cities and 53.97% of them practice in Seoul, Gyeonggi, and Busan. In 2003, the ratio of dentist to dental technician is 1:0.43 in general, while the ratio is 1:0.58 in the metropolitan cities, and 1:0.43 in other regions. In 2003, 33.30% of all the certified dental technicians are the member of the Korea Dental Technician Association, while 66.82% of all the licensed dentists are its members.

  • PDF

진흙버섯속(상품명: 상황버섯) 재배방법에 따른 경제적 효과 분석 (Economic analysis of Phellinus spp. cultivation)

  • 장현유;이영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76-87
    • /
    • 2004
  • 상황버섯은 한번 접종하여 4년간 재배되는 버섯으로서, 원목의 일부를 땅에 묻어서 재배하는 지면재배 방식으로 상업적 재배가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보다 집약적인 재배방식으로 원목을 덕(균상)에 매달아서 재배하는 지상재배가 시도되고 있다. 지상재배는 덕(균상)을 만들어 많은 숫자의 골목을 매달아 재배하는 것을 제외하면 그 재배과정이나 작업요령에는 큰 차이가 없다. 다만 지상재배는 덕(균상)이라는 시설투자에 5,678,230원이 더 들고, 원목이 지면재배 5,200본의 2.8배인 14,400본이 소요되어 368만원의 원목비와 그에 따른 종균비 1,104,000원 등이 더 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재배사 100평을 기준으로 한 4년간의 생산비는, 지면재배가 20,180,971원 지상재배가 37,953,825원으로, 지상재배가 지면재배의 1.9배에 이르고, 경영비는 지면재배가 12,077,712원, 지상재배가 24,075,432원으로, 지상재배가 지면재배의 2.0배가 되었다. 순수익은 4년간 100평에서 지면재배가 5억 8,094만원, 지상재배가 16억 8,330만원으로, 지상재배가 2.9배 많았고, 소득은 지면재배가 5억 8,904만원, 지상재배가 16억 9,718만원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득도 지상재배가 지면재배의 2.9배가 되었다. 이는 재배 원목수의 차이 2.8배에 골목 1본당 수확량의 차이 1.03(541g : 523g)가 더해진 것과 비슷한 수준으로, 생산비 차이 1.9배나 경영비 차이 2.0배보다 훨씬 크다. 이상을 종합하면, 지면재배는 지상재배에 비하여 투자비는 적게 들지만, 소득도 그만큼 낮고, 재배 원목과 버섯 수확량이 지상재배에 비하여 적기 때문에 저투입-저수익 재배방식이라고 말할 수 있고, 지상재배는 투자비와 노동력 투입이 많지만, 수익은 그보다 더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현금흐름 측면에서는, 지면재배의 경우는 첫해의 자금지출은 지상재배보다 적지만, 첫해에 수확이 전혀 없기 때문에 투자 후 2년 정도가 지나야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지만, 지상재배는 비록 첫해의 자금수요는 그보다 크지만, 첫해부터 수확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부는 아니더라도 첫해부터 투자비 회수가 가능하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