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e Source Multi Us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9초

디지털 영상콘텐츠의 원소스 멀티유스(One-Source Multi-Use) 제작방식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application method of OSMU(One-source Multi-use) in digital contents creation)

  • 최정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51-560
    • /
    • 2008
  • 디지털 영상콘텐츠 분야에서의 원소스 멀티유스(One-Source Multi-Use) 전략은 하나의 소재(onesource)로 다양한 상품(multi-use)을 개발, 배급할 경우 시장에서의 시너지효과가 크다는 판단에 의해 서로 다른 장르에 적용하여 파급효과를 노리는 마케팅관점에서 중시된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문화산업재의 온라인화 및 디지털 콘텐츠화가 급진전되고 각 장르간 경계가 모호해지고 매체간 이동이 용이해짐에 따라 이 전략은 창구효과(Window Effect)가 큰 문화산업의 특성에 맞추어 기획 단계부터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캐릭터 등을 총 망라하는 문화 콘텐츠를 개발뿐만 아니라 플랫폼 재활용측면에서 소프트웨어엔지니어링 분야까지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하나의 인기 소재만 있으면 추가적 비용부담을 최소화하면서 다른 상품으로 전환해 높은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각광받고 있으며, 관련 상품과 매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마케팅 및 홍보 플랫폼 제작 등에서 제작비용 절감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영상콘텐츠산업 비중이 높은 한 미 일 3국의 제작방식의 비교를 통하여 각국이 선호하는 장르 및 제작방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between Two 450 mm Multi-Electrode Models

  • 박기정;이윤성;유대호;이진원;장홍영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90-490
    • /
    • 2013
  • In semiconductor industry, it is expected that plasma process which use 450 mm source will be used at next generation. However, main obstacle of the large area plasma source is plasma uniformity from it. When electrode is enlarged, field difference between center area and side area reduces the plasma uniformity [1-3]. Therefore we investigate multi-electrode which diminish this field difference.We designed two multi-electrode models. One has two segments and the other has five segments. Each multi-electrode model is connected with two power generator and two matchers. One generator and one matcher is connected with center electrode part. The other one generator and the other one matcher is connected with side electrode part. The ion density is measured at 29 points by using floating harmonic method [4-6]. After measuring the data of each multi-electrode model, we discuss the difference of profile between two models' data.

  • PDF

원소스 멀티유즈 One Source Multi Use(스타프로젝트) 연구 (Study on the One Source Multi Use)

  • 최성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3년도 창립학술대회
    • /
    • pp.323-329
    • /
    • 2003
  • 21 세기는 '굴뚝 없는 산업' 으로 불리는 '문화정보 산업'의 시대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영화, 음반 게임, 출판등의 문화정보산업은 이미 천문학적인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지속적인 성장세에 놓여있다. 이와 같이 거대한 '고부가가치 산업' 인 '문화정보산업'에 총체적 사업개념인 ${\ulcorner}OsMU{\lrcorner}$가 등장하여 그 영역과 규모를 확대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타프로젝트" 에 관하여 국내외 사례를 들어 연구하였다.

  • PDF

IPTV기반 방통융합 양방향 공공서비스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PTV based interactive public services of Converged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 박주기;최은복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89-496
    • /
    • 2010
  • 방송통신 융합 환경에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화나 규격정립이 되어 있지 않으므로 인해, IPTV 사업자별로 별도의 IPTV 서비스 개발 및 운영이 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른 공공기관과 IPTV사업자들의 중복투자 및 운영의 비효율성이 야기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ACAP-J기반의 One Source Multi-Use를 위한 양방향VOD형 공공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중복투자를 막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복수의 공공기관과 복수의 IPTV사업자간 효율적인 서비스연동 및 통신망 연동 체계와 One Source Multi-Use 구현을 위한 ACAP-J기반의 서비스 제공 플랫폼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템은 향후 IPTV기반 공공서비스 진화에 따른 신규서비스 개발을 위한 표준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시스템 개발을 위해 사용된 기술은 신규서비스 구축을 위한 가이드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사례 분석을 통한 방송콘텐츠 OSMU의 고찰 - OSMU 이론적 정립 및 비즈니스분류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Broadcasting Contents Using One Source Multi Use Strategy)

  • 조성룡;신호;장예빛;이성업;한민우;구본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23-43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방송콘텐츠 OSMU(One Source Multi Use, 원소스멀티유즈)의 현황 파악을 통해 OSMU의 개념적 틀을 정립하고, 한미 양국 간 사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방송 콘텐츠의 OSMU의 경쟁력 향상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우선 국내에서 통용되고 있는 OSMU의 어원과 개념 및 기존이론 고찰을 통해 방송콘텐츠 OSMU 명확한 개념을 정립함과 동시에 새로운 비즈니스 분류를 도출해냈다. 또한 개발된 OSMU 분류에 따라 한국과 미국의 대표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산업전문가들과의 간담회 및 인터뷰가 함께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방송 콘텐츠의 OSMU의 경쟁력 향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One Source Multi-Use 콘텐츠의 흥행요소 분석 (Analysis the Commercial Success Factors of the One Source Multi-Use Contents)

  • 박찬익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788-791
    • /
    • 2010
  • One Source Multi-Use(원 소스 멀티 유스)'란 하나의 소재를 서로 다른 장르에 적용해 파급효과를 노리는 마케팅 전략을 말한다. 이 같은 '원 소스 멀티 유스'의 대표적인 소재가 바로 만화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는 만화를 비롯하여 소설, 게임, 애니메이션, 영화 등을 원천소스로 하여 다양한 장르로 변형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공포의 외인구단'과 '바람의 나라'를 들 수 있다. '공포의 외인구단'은 이현세의 원작이고(1982-1983)이고 '바람의 나라'는 김진의 만화가 원전이다(1992-2008현재). '공포의 외인구단은 곧바로 영화화 됐으며 20년 후인 2009년에 드라마로 만들어 졌다. '바람의 나라는' 1997년 국내 최초의 온라인게임으로 만들어져 현재까지 많은 사랑을 받으며 서비스되는 게임이며 또한 2006년과 2007년에는 뮤지컬로도 만들어졌고 최근에는 TV드라마로 만들어져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또 다른 예로는 '툼레이더'를 들 수 있는데 이는 게임이 원작이고 게임의 인기를 업고 영화로 만들어졌으며 세계적인 흥행성공에 힘입어 속편까지 제작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 소스 멀티 유스'의 대표적인 성공사례인 '바람의 나라'와 '툼 레이더'의 여러 요소 중 시각적인 요소인 캐릭터와 영상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흥행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멀티 홉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WiMedia D-MAC에서의 효율적인 멀티 홉 자원 예약 기술 (Efficient Multi-hop Resource Reservation Scheme in WiMedia D-MAC for Multi-hop N-Screen Services)

  • 허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091-109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멀티 홉 N-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무선 통신 MAC 구조로서, WiMedia Distributed-MAC 프로토콜을 적용하고, D-MAC 프로토콜에서 P2P 스트리밍이 가능한 OSMU (One Source Multi Use) 멀티 홉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종단 간 지연시간을 감소시키는 멀티 홉 자원 예약 기술을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운 MSCDRP (Multi-Stage Cooperative DRP) IE 기술을 제안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N-스크린 멀티 홉 MSCDRP 기술은 다양한 멀티 홉 환경에서 기존 D-MAC 방식보다 향상된 지연시간 및 수율 성능을 나타내었다.

다중 이용 시설에 대한 온.습도 모니터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Monitoring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n Public Utilization Facilities)

  • 최만용;채경희;김기복;김수언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70-1475
    • /
    • 2009
  • Until now for the safety of structures and equipment monitoring technology to measure the amount of the physical, if that is the one, one-point or single-source target is one the most. Therefore, becoming more numerous and complex to measure the amount of physical measurement technology that is comprehensive and complex, multi-source concepts to the monitoring of a multi-sensing technology is required.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of multi-source multi-use space such as a multi-structure of facilities/equipment is. The people's safety in a multi-use facility will be directly related to life and even a little carelessness can lead to large-scale disaster occurs because of several factors, risks and to manage detect in advance the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monitoring technology is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multiple structures/facil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human life in research to maintain a safe and comfortable living space for multi-source intelligence to the development of monitoring technology to achieve that goal, and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system on the basis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module, and multiple research facilities/equipment for the ultra-small sensors for health monitoring study was performed.

  • PDF

N-Sceen Serivce의 ASMD를 지원 방안 연구 (N-Screen Service for ASMD support)

  • 윤상준;김기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15-617
    • /
    • 2012
  • N-Screen Service는 하나의 Content를 다양한 Device에서 사용가능하게 해주는 Service를 의미한다. 현재 N-Screen Service는 Content Service 형태로 봤을 때 OSMU(One Source Multi Use) Service를 제공한다. ASMU(Adaptive Source Multi Device) N-Screen Service의 조건으로 Device에 최적화된 Content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Device에 최적화된 Content의 변환 및 Metadata의 이동이 자유로워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ASMD를 지원하는 N-Screen Model을 제안한다. 특히 Home Network와 Cloud 사이의 Devicerks Content Metadata 이동과 Content 변환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만화원작의 한국영화 흥행요소 분석 (Analysis the Korea Movie's Success Factors of Comics Published)

  • 박찬익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50-553
    • /
    • 2011
  • 영화산업의 메카라 불리우는 헐리우드를 비롯한 세계 영화계는 극심한 소재의 고갈로 비슷비슷한 내용의 반복, 기존의 영화를 리메이크하여 제작하는 관행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런 현상은 다른 영역의 콘텐츠를 영화로 재가공하는 'One Source Multi Use'의 확산을 가지고 왔는데, One Source Multi Use의 원천 소스로 가장 각광받고 있는 것이 만화다. 미국은 1930년대 초반부터 코믹스라는 장르의 만화산업이 발전하여 방대한 그래픽노블과 코믹스를 원천소스로 '슈퍼맨', '배트맨', '스파이더맨' 등의 시리즈를 내놓고 있다. 한국 역시 많은 수의 만화원작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한국이 다른 나라와는 확연하게 차이가 나는 만화생산 및 소비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데 그것이 바로 만화가게로 일컬어지는 대본소 시스템이다. 대본소를 통한 만화의 보급은 가공할 만화의 생산을 주도했고 일간지를 통해 연재된 장편만화 역시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시스템이다. 근래에 이르러 문화산업의 원천소스로 각광받는 만화는 스토리텔링을 근간으로 하기에 다양하게 다른 매체로 전이되고 재생산이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지 만화로서가 아닌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 만화원작의 필요조건이 무엇인지 분석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