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corhynchus keta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46초

연어(Oncorhynchus keta)의 밀양강 분포 및 소상 한계선 파악 (The Distribution and Migration Boundary Lines of Oncorhynchus keta in the Milyang River)

  • 홍동현;성기백;고의정;정은송;조현빈;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53권4호
    • /
    • pp.445-452
    • /
    • 2020
  • 본 연구는 낙동강지류인 밀양강에 소상한 연어를 대상으로 소상, 산란 분포를 최초로 파악하고 소상 한계선을 확인하였다. 2020년 10월 25일부터 11월 28일까지 확인된 개체들 중, 사체는 전장을 측정하고 암-수 구별을 하였다. 조사 결과 총 40개체의 연어를 발견하였으며 이 중 사체는 25마리, 살아있는 개체는 15마리였다. 대부분 산란장으로 판단되는 지점 인근 수변부에서 살아있는 개체와 사체가 발견되었다. 연어의 소상 한계선 파악의 경우 연어가 소상할 수 없는 형태의 보가 등장할 때까지 상류방향으로 이동하여 확인하였으며, 밀양강 본류의 경우 예림교 기준 상류 13 km, 지천인 단장천의 경우 밀양강 합류부에서부터 12 km까지 연어의 소상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어가 소상하기 위한 보의 철거 및 어도설치와 같은 하천연결성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며, 연어의 치어생존률을 높이기 위한 산란장 및 미소서식처 자연성 확보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Expression of Leptin, Estrogen Receptors, and Vitellogenin mRNAs in Migrating Fema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The Effects of Hypo-osmotic Environmental Changes

  • Choi, Young Jae;Kim, Na Na;Shin, Hyun Suk;Choi, Cheol You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4호
    • /
    • pp.479-487
    • /
    • 2014
  • Leptin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ergy homeostasis and reproductive function in fish, especially in reproduction. Migrating fish, such as salmonoids, are affect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nd salinity changes are a particularly important influence on spawning migra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changes in salinity affect the expression of leptin, estrogen receptors (ERs), and vitellogenin (VTG) in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leptin, the expression of ERs and VTG, and the levels of estradiol-$17{\beta}$ and cortisol increased after the fish were transferred to FW, demonstrating that changes in salinity stimulate the HPG axis in migrating female chum salmon. These findings reveal details about the role of elevated leptin levels and sex steroid hormones in stimulating sexual maturation and reproduction in response to salinity changes in chum salmon.

Genetic Analysis of Asian Chum Salmon Populations Based on Microsatellite DNA Variation

  • Yoon, Moon-Geun;Abe, Syuiti;Jin, Deuk-He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0권4호
    • /
    • pp.186-190
    • /
    • 2007
  • We examined the genetic variability of Asian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populations using nuclear microsatellite (ms) DNA analysis with four polymorphic loci (OKM4, OKM5, OKM7, and OKM8) in 397 individuals from nine populations, including one in Korea, seven in Japan, and one in Russia. The msDNA gene diversity was highest in the Japanese populations, suggesting greater genetic variation in the populations in Japan than in populations in Korea and Russia. The pairwise $F_{ST}$ estimates based on our msDNA data showed that the Korean population was genetically different from the Japanese and Russian populations, and there were higher $F_{ST}$ estimates between Hokkaido and Honshu populations than between other population pairs. A neighbor-joining tree showed that the Korean population was distinct from two other clusters, representing the populations in Honshu and the populations in Hokkaido and Russ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bserved population genetic patterns of Asian chum salmon might be influenced by low or restricted gene flow.

국내 유통 중인 훈제 연어(Oncorhynchus keta)의 위생지표세균 및 Listeria monocytogenes 오염도 조사 (Investigation of Hygiene Indicator Organisms and Listeria monocytogenes Contamination in Smoked Salmon Oncorhynchus keta Distributed in Korea)

  • 이수정;이은우;장원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721-727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smoked salmon products sold in hypermarkets in major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Listeria monocytogenes is the primary cause of smoked and raw salmon product recalls. Here, we used L. monocytogenes as a bacterial hygiene indicator and investigated the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of frozen/refrigerated smoked salmon products collected from hyper markets. Contamination levels were analyzed by seasons, manufacturers, and consumption regions. For hygiene indicator bacteria, total bacteria count, coliforms, and Escherichia coli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food code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performed to detect Listeria sp. The highest contamination level was observed in spring in Busan among five consumption regions. Listeria was detected at a level of 2.1% among all samples collected. And especially L. monocytogenes was detected in two cases from the samples collected from Daegu and Daejeon. Sanitary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ontamination level of smoked salmon products investigated in this study, and continuous monitoring is necessary.

한국 연어의 소상하천간 유전적 유사성과 차이점 및 일본 연어와 유전적 관계 (Genetic Similarity-dissimilarity Among Korea Chum Salmons of Each Stream and Their Relationship with Japan salmons)

  • 김고은;김충곤;이윤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2호
    • /
    • pp.94-101
    • /
    • 2007
  • 한국 동해안의 가장 대표적인 연어과 어류인 연어(Oncorhynchus keta)의 집단 분석을 위한 연구가 국내에서는 많이 수행되지 않았다. 최근 연어과 어류의 계군을 분석하는데 유전자를 이용하는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단일염기다형성(SNP)을 이용한 집단 구분 방법이 점차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어의 소상하천간 유전적 유사성과 차이점 및 일본 연어와 유전적 관계를 살펴 보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의 COIII-ND3-ND4L 지역 720 bp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다. 한국의 3개 지역(고성 북천, 양양 남대천, 울진 왕피천)에서 채집된 108개체와 일본의 2개 지역(홋카이도의 마시케와 하코다데)에서 채집된 44개체를 분석하여 29개의 haplotype을 확인하였다. 유전적 다양성은 남대천 연어에서 가장 높고 하코다데에서 가장 낮았다. Pairwise $F_{ST}$와 AMOVA를 이용한 집단 분석 결과, 한국 연어는 소상하천간 유전적 차이가 거의 없으며 일본 연어와도 크게 구분되지 않았다($F_{ST}<0.07$). 그러나, haplotype 유사성으로 본 각 개체의 유전적 관계는 한국 연어의 일부(약 25%)가 일본 연어와 구분되는 독특한 유전적 가계(lineage)를 형성하고 있으며, 국내 남대천과 북천 연어에는 왕피천과 구분되는 연어 가계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해면연어의 성숙을 유도하기 위한 시상하부호르몬의 이용 (Utilization of Hypothalamic Hormones for Maturational Induction in Seawater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 박우동;이철호;손영창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2호
    • /
    • pp.121-124
    • /
    • 2007
  • 강원도 양양군 연안으로 회귀한 성숙중의 연어(Oncorhynchus keta)를 국립수산과학원 영동내수면연구소로 수송하고 담수에 1일 이상 순치시킨 후, GnRH 유사체(GnRH-a)와 시상하부 도파민수용체의 길항제인 pimozide를 복강에 주사하여 생식소중량지수[GSI, (생식소중량/체중량)${\times}100$]와 간중량지수[HSI, (간중량/체중량)${\times}100$]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GnRHa와 pimozide는 각각 $70\;{\mu}g$$700\;{\mu}g/kg$ 어체중 농도로 단독 또는 혼합주사하여 주사후 7일째까지 조사하였다. 2004년도의 실험에서는 GSI의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2005년도에도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지만, 5일째 및 7일째에는 호르몬 주사군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HSI는 주사후 7일째에 대조군에 비하여 GnRH-a 주사군 및 pimozide 혼합 주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2004년; P<0.05). 2005년도에도 호르몬 주사군에서 HSI는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결과이었으나, GnRH-a 주사후 7일째의 연어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pimozide를 단독주사 한 2005년도의 실험에서는 유의차는 없었지만, GSI는 증가하고 HSI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성숙중인 해면연어가 연안에서 포획되었을 경우에는 담수에 일시적으로 순치시킨 다음, 시상하부호르몬 및 도파민 길항제를 주사하면 최종성숙을 조기에 유도할 수 있음이 부분적으로 시사되었으며, 향후 이에 대한 효과가 검증될 수 있게 되기를 바란다.

이석 내 미량원소 함량비율을 이용한 한국산 연어(Oncorhynchus keta)의 계군분리

  • 손동화;강수경;김수암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266-267
    • /
    • 2003
  • 최근, 기계의 분석 정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어류 이석 내 미량원소를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석은 균형감각기관으로서 칼슘과 단백질의 복합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류의 전 생활사에 걸쳐서 성장한다. 이렇게 형성된 어류의 이석내 화학조성은 형성 후엔 변화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Campana,1999). 위와 같은 특징을 바탕으로 이석 내 미량원소 또는 동위원소의 함량비율을 분석하여 어류에 대한 계군분리, 어류의 서식환경 추적, 오염 정도, 그리고 어류의 회유 유무와 경로, 연령사정 등의 연구를 하고 있다(Campana, 1999). (중략)

  • PDF

북태평양 연어(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계군의 유전학적 구분

  • 이윤호;정웅식;김수암;진덕희;성기백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2-42
    • /
    • 2003
  • 연어는 북태평양 연안의 냉수역에 서식하는 소하성 어류이다. 한국을 비롯한 북태평양 연안국들은 연어 치어를 생산하여 방류한다. 각 나라에서 방류된 연어의 회유경로가 서로 겹치고 인접국의 배타적 경제수역을 지나게 되는 경우가 많아 연어를 방류하는 나라들 간에 자원분쟁의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분쟁을 조정하고, 연어자원에 대한 합리적인 관리를 위해 연어 계군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