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corhynchus keta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9초

산란을 위해 회유한 한국 연어(Oncorhynchus keta) 지역개체군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Migratory Population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Spawning in Korea)

  • 김수경;성기백;이채성;김영대;김완기;조규태;전창영;공용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2-187
    • /
    • 2008
  • Nin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emale Oncorhynchus keta subpopulations that migrate to three streams (Namdaechun, Myeongpachun, Oshipchun) in Gangwon, Korea, were evaluated during November 2006: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creatine kinase, triglyceride, cholesterol, glucose, hemoglobin, and urea in the blood and RNA/DNA in muscle. The three subpopulations were identical morphologically, but differed in thei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RNA/DNA ratio could be useful for distinguishing the subpopulations. RNA/DNA ratios of the Namdaechun and the Myeongpachun and Oshipchun subpopulations were $3.52{\pm}0.7$ and $2.9{\pm}0.7$ and $2.4{\pm}0.8$, respectively.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By contrast, the blood parameters were somewhat ambiguous.

연어, Oncorhynchus keta전기자어의 난황흡수 및 초기성장 (Yolk absorption and growth of churn salmon, Oncorhynchus keta alevin)

  • 장창익;손명호;성기백;박인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39-548
    • /
    • 1995
  • 연어, Oncorhynchus keta 전기자어의 부화 직후부터 부상기 이전까지의 난황흡수과정 및 체성장의 형태가 조사되었다. 한국 동해안 남대천에서 채포된 암수 친어로부터 채취한 알과 정자를 사용하여 인공수정을 시켰다 사육수온은 $13^{\circ}C$로 조절되었다. 부화 직후와 부화 후 12일부터 부화 후 33일까지 3일 간격으로 매회 40마리의 난황자어가 임의로 표본되었다. 부화 직후 난황자어의 평균 전장 및 평균 전중은 각각 1.97cm, 1.859이었으며 난황흡수는 부화 후 33일에 거의 이루어졌다. 전장, 전중 및 체세포 중량의 성장곡선은 Gompertz의 성장모델에 잘 적합되었다. 그러나 난황장, 난황중, 난황고 및 난황부피는 난황흡수가 완전히 이루어지기까지 선형의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전장과 전중 혹은 전중과 난황중 등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상대성장도 역시 조사되었다.

  • PDF

태화강 내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방류에 따른 성장 모니터링 (Monitoring the Growth of Juveni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Released to Taehwa River of Korea)

  • 허준욱;윤지우;임한규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6-116
    • /
    • 2021
  • 태화강에서 방류한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성장, 생존 및 어류상 등의 모니터링를 통한 생태학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방류 후 연어 치어의 지점별 포획개체수, 성장 및 어류상 특성을 조사하였다. 태화강 상류로부터 총 4개 지점[선바위교(St.1), 구영교(St.2), 삼호교(St.3), 명촌대교(St.4)]에서 2년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2017년 연어 치어 방류 후 전장은 평균 10 mm, 체중은 평균 0.8 g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2018년 연어 치어 방류 후 평균 전장 10 mm, 체중 0.5 g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연어 치어를 포식할 수 있는 어식성 어류는 St.1에서 6종(동사리, 숭어, 배스, 꺽지, 황어 및 끄리), St.2에서 5종(동사리, 황어, 배스, 꺽지 및 끄리), St.3에서 6종(큰가시고기, 가물치, 날망둑, 배스, 황어, 끄리) 및 St.4는 8종(큰가시고기, 베도라치, 문절망둑, 날망둑, 풀망둑, 강준치, 점농어 및 황어)이 출현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어 치어는 체중의 증가보다 전장 및 체장의 성장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정 방류지역은 포식생물의 서식이 적고 수심, 유속, 염분 등의 변화가 적은 St.1과 St.2 지점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며 방류 시기는 끄리 및 배스 등의 포식어류의 먹이활동이 활발하지 않은 1월 초순 혹은 포식 활동이 적은 야간이나 새벽시간에 방류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생존, 성장 및 생리학적 반응에 미치는 염분의 영향 (Effect of Salinity on Survival,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e of Juvenile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 조규석;장석우;이유진;강동양;강한승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0-186
    • /
    • 2022
  • 본 연구는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성장, 생존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염분 농도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실험은 염분 농도 0, 10, 20 및 30‰에서 30일간 실시되었으며 3반복으로 진행되었다. 4주 후 생존율은 0, 10 및 20‰ 실험구에서 87.5% 이상이었으나, 30‰ 실험구는 75%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증중율(Weight gain), 일간 성장률(specific growth rate), 사료효율(feed efficiency), 일간 사료섭식량(daily feed intake), 일간 단백질섭취율(daily protein intake), 단백질효율(protein efficiency ratio)은 10‰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다. 혈장성분 중 ALT(alanine aminotransferase)는 10, 20 및 30‰ 실험구가 0‰ 실험구에 비해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Na+ (sodium)과 Cl- (chloride)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실험기간 중 TP (total protein)과 K+ (potassium)은 변동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연어 치어(11~33 g)의 성장과 생존에 적합한 최적의 염분 농도는 10‰로 보이나, 혈액 성상의 영향은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남대천 연어(Oncorhynchus keta) 치어의 먹이 생물 (Stomach Contents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Fingerlings in Namdae Stream)

  • 강수경;양현;이채성;최승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2호
    • /
    • pp.86-93
    • /
    • 2007
  • 양양 남대천에 서식하는 연어 치어의 먹이섭식 생태조사를 위해 환경 중 수서곤충 군집과 연어(Oncorhunchus keta) 치어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양양 남대천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은 모두 6목 25과 52종으로, 개체수에 있어서는 파리목(Diptera)이 가장 많은 전체의 91.7%를 차지하였으며, 하루살이목(Ephemeroptera)이 3.6%, 날도래목(Tripchoptera)이 3.3%, 강도래목(Plecoptera)이 1.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중량은 파리목이 전체의 40.9%, 날도래목이 40.3%, 하루살이목이 14.8%, 강도래목이 2.6% 등의 순이었다. 남대천의 수서곤충상과 연어 치어의 위내용물은 개체수나 중량에 있어 대부분 비슷하여 먹이 선택성은 거의 없이 입의 크기에 맞는 모든 살아있는 생물을 섭식하였다. 동소서식어종의 위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연어 치어와 가장 유사한 위내용물을 보인 종은 산천어의 치어였다. 연어 치어와 동소적으로 서식하는 어종들의 먹이생물을 분석한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연어 치어 방류사업에 있어 하천 수용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Change in plasma cortisol and glucose levels of Oncorhynchus keta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 Young Seok Seo;Hyo Bin Lee;Joo Hak Jeong;Seong Jun Mun;Han Kyu Li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117-132
    • /
    • 2023
  •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is a species of anadromous salmonid inhabiting coastal rivers in the North Pacific and the Arctic in the Bering and is the most widely distributed among Pacific salmon species. It is an important fish species in Korea as the salmon releasing project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O. keta according to water temperature. Thre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and period, and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cortisol and glucose were analyzed from the blood samples of the experimental groups. Experiment I is a short-term water temperature experiment, in which water temperature stimulation was given for 4 hours at water temperatures of 12℃, 16℃ (control), 20℃, and 24℃, and a recovery period was given for 4 hours. Experiment II is an experiment in which water temperature stimulation was given for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at a high temperature of 24℃, and a recovery period was given for 12 hours, respectively. Experiment III is a long-term water temperature experiment, in which the water temperature was 12℃, 16℃ (control), 20℃, and 24℃ for 8 week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Experiment I,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but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and glucose in the plasma according to the set water temperatur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 II, there was no significant trend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time of the high-temperature state, but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the plasma cortisol and glucose level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Experiment III, all of the experimental group C (24℃) died in the 1st week,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sma glucose at the 1st and 8th weeks among the remaining experimental groups.

강원도 대포항에서 구입한 연어(Oncorhynchus keta)와 송어(Oncorhynchus masou)의 Anisakid 유충감염상 및 기생윤충류에 관한 조사 (A Study About Infection State of Anisakid Larvae and Parasitic Helminths in Salmon(Oncorhynchus keta) and Sea-trout(Oncorhynchus masou) which Caught from Taep'o Port, Kang-won-do)

  • 김기홍;주경환;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5권2호
    • /
    • pp.89-96
    • /
    • 1990
  • The results of infection state of anisakid larvae and parasitic helminths in salmon and sea-trout which caught from Taep'o port. Kang-won do were as follows. 1) From twelve specimens of sea-trout. 122 individuals of anisakid larvae were found and mean infection number of anisakid larvae per individual sea-trout was 10.17. 2) From total extracted anisakid larvae from sea-trout. 37 larvae(30.3%) were found in the muscle. This percentage was lower than that of salmon. but higher than that of other sea-fishes. 3) The taxonomic list of parasitic helminths which found in salmon and sea-trout was as follows. Class Trematoda Family Hemiuridae l. Brachyphallus crenatus(Rudolphi. 1802) 2. Lecithaster salmonis Yamaguti. 1934 Class Cestoda Family Phllobothriidae 3. Pelichnibothrium speciosum Monticelli, 1889-larval form Family Tentacuariidae 4. Tentacularia sp. - larval form 4) Among those 4 species of helminths. B.crenatus. L.salmonis, P.speciosum were the first recording species in Korea.

  • PDF

Characteristics of the Protease Inhibitor Purified from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Eggs

  • Kim, Kenn-Yeong;Ustadi, Ustadi;Kim, Sang-M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28-32
    • /
    • 2006
  • Protease inhibitor of 72.6 kDa was successively purified from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eggs by ion exchange, gel permeation, and affinity chromatographies. Protease inhibitor was purified with yield and purification fold of 1.50% and 58.11, respectively. SDS-PAGE results showed purified protease inhibitor consisted of two protein subunits of 54.0 and 18.6 kDa. Chum salmon inhibitor exhibited stability between 20 and $40^{\circ}C$ in weak acid environment (PH 6), and inhibited papain and cathepsin, members of cysteine protease, but not chymotrypsin. The protein inhibited cathepsin more effectively than did egg white protease inhibitor, whereas the reverse was true for papain. These results indicate chum salmon egg inhibitor is heterodimer, thus the inhibitor was classified as cysteine protease inhibitor.

한국산 연어속 어류의 형태학적 연구- III 연어, oncorhynchus keta의 성별 형태 차이 (Morphological study of Oncorhynchus spp.(Pisces : Salmonidae) in Korea- III. Sexual dimorphism of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 명정구;홍경표;김용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5-95
    • /
    • 1993
  • 1990년 성숙한 연어의 성별 형태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성숙한 수컷은 연장되고 휘어진 턱을 가지고 있으며 턱 위에 강한 이빨을 가지고 있다. 두장에 대한 주둥이의 길이와 위턱은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반면 두장에 대한 안경과 뺨은 수컷이 암컷보다 작았다. 표준체장(PBL)에 대한 체고, 미병고, 등지느러미, 기름지느러미 길이는 모두 수컷이 컸다. 각 지느러미 줄기수, 새파수와 유문수의 수는 암수 차이가 없었으나 측선비늘수와 미추골수는 암컷이 수컷보다 많았다. 두개골 중 인설골과 서골의 형태는 암수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상사골의 길이에 대한 폭의 비값은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부설골의 앞 뒤돌기 비값은 암컷이 수컷보다 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