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cology nurs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1초

일개 대학원 간호학과 교과과정개편을 위한 기초연구 (The Preliminary Study for Revision of Graduate Nursing Curriculum of one College of Nursing in Korea)

  • 서문자;홍여신;이은옥;박정호;이소우;홍경자;박영숙;박성애;최명애;윤순녕;유수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85-297
    • /
    • 2001
  • The rapid changes in graduate nursing curriculum have resulted in many challenges to the contents in masters and doctoral program of nursing. In order to meet the changing consumer demand, to respond the specializa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to reflect the evolving trend in the discipline and science of nursing, this study focussed on analyzing the present graduate nursing curriculum of one college of nursing in Seoul,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present curriculum, data were collected by survey from the enrolled graduate students, And curriculum contents of 10 graduate nursing curricula in Korea and 6 in United States were analyzed through internet information. Based on the data from the enrolled students' responses on educational goal and objectives and divisions of nursing and the data from the graduate curriculums of other universities both in Korea and United States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of graduate nursing curriculum of S university as follows; It is required that theoretical development, as well as education of enhancing clinical competences and preparation of specialization, innovative work for the change and global nurs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agreed with 6 division of nursing(Adult nursing ,Maternity nursing ,Pediatric nursing, Community nursing, Nursing administration) and the integration of nurse clinical specialist course(such as oncology nursing specialist) into the regular courses in Master and Doctorate program was required.

  • PDF

Comparing Perceptions, Determinants, and Needs of Patients, Family Members, Nurses, and Physicians When Making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for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 Kim, Semi;Ham, Eun Hye;Kim, Dong Yeon;Jang, Seung Nam;Kim, Min kyeong;Choi, Hyun Ah;Cho, Yun A;Lee, Seung A;Yun, Min Jeong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5권1호
    • /
    • pp.12-24
    • /
    • 2022
  •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compared the perceptions, determinants, and needs of patients, family members, nurses, and physicians regarding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for patients with hematologic malignancies in the hematology-oncology department of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Methods: In total, 147 subjects were recruited, gave written consent, and provided data by complet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the chi-square test, and the Fisher exact test. Results: Nurses (F=3.35) and physicians (F=3.57)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familiarity with the Act on Decision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than patients (F=2.69) and family members (F=2.59); (F=19.58, P<0.001). Many respondents, including 19 (51.4%) family members, 16 (43.2%) physicians, and 11 (29.7%) nurses, agreed that the patient's opinion had the greatest effect when making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Twelve (33.3%) patients answered that mental, physical, and financial burden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four groups (P<0.001). Twenty-four patients (66.7%), 27 (73.0%) family members, and 21(56.8%) nurses answered that physicians were the most appropriate people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s. Unexpectedly, 19 (51.4%) physicians answered that hospice nurse practitioners were the most appropriate people to talk to about life-sustaining treatment (P<0.001). Conclusion: It is of utmost importance that the patient and physician determine when life-sustaining treatment should be withdrawn, with the patient making the ultimate decision. Doctors and nurses have the responsibility to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The goal of end-of-life planning is to ensure patients' dignity and respect their values.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자격인증방안과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설문조사 (A Survey on the Certific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 강진아;김도연;신동욱;김시영;이순남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3권1호
    • /
    • pp.32-40
    • /
    • 2010
  •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의 질 관리를 위해 요구되는 자격인증체계 마련을 위해 전문인력들을 대상으로 자격인증체제의 필요성 및 구체적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 제시하여 제도 마련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방법: 국립암센터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에서는 2009년 6월 17일부터 23일까지, 보건복지가족부지정 34개 암환자 완화의료기관에 등록된 전문인력인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총 22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결과: 의사는 90% (46/51)가 자격인증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간호사는 84% (113/134), 사회복지사의 경우 89% (31/35)가 자격인증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자격인증 방안에 관해서는 의사의 경우 일정한 교육만 받으면 인정의 자격을 부여해 주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였고(46%), 사회복지사의 경우도 일정교육을 받은 의료사회복지사에게 자격을 부여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자격인증 주체에 있어서는 의사의 경우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 또는 보건복지가족부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각각 45%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와 사회복지사의 경우 보건복지가족부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각각 50%, 66%로 가장 높았다. 교육프로그램개발 및 인정주체에 관한 의견으로는 의사의 경우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가 51%로 가장 높았고, 간호사의 경우 보건복지가족부(또는 국립암센터)와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학회가 함께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23%로 가장 높았다. 사회복지사의 경우 보건복지가족부(또는 국립암센터)와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가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37%로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교육운영방식은 세 직종 모두 주말을 이용한 강의와 일부 실습이 결합된 형태를 가장 선호하였다. 결론: 국내 호스피스 완화의료 전문인력은 자격인증체제에 대한 높은 요구도를 가지고 있으며, 각 직종별요구를 반영하는 적절한 자격인증체제 및 교육프로그램개발이 시급하다.

촬영 테이블과 IP Cassette의 세균 오염도 측정 및 소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the Pollution Level of Bacteria and Disinfection of Table and IP Cassette)

  • 배석환;이무식;임창선;김가중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1권3호
    • /
    • pp.229-237
    • /
    • 2008
  • 목적 : 검사실별 IP카세트와 테이블의 미생물 수와 세균학적 오염도를 알코올과 소독제가 포함된 티슈를 사용 전 후로 나누어 동정한 후 통계적으로 검정을 실시하여 영상의학과내 병원감염관리의 예방과 올바른 소독 지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재의 1개 대학병원 영상의학과의 일반촬영실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간은 2007년 4월 5일부터 4월 1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검사실별 IP카세트와 테이블의 미생물 수와 세균학적 오염도를 알코올과 소독제가 포함된 소독용 티슈를 사용 전, 후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정확한 수집을 위하여 병원내 감염관리 전문 간호사와 함께 시료를 채취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13.0을 사용하였으며, 전 후 비교를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 24개의 대상 중 19개(79.2%)에서 세균이 검출 되었으며 5개(20.8%)에서는 세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분리된 세균의 종류는 7종의 세균이 검출 되었는데 그 중 Methicillin Resistant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MRCNS)가 15(62.5%)곳으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가 6(16.7%)곳으로 많았으며, Enterococcus Faecium(EFM)이 5(20.8%), Acinetobacter baumannii(ABA) 2(8.3%), Bacillus sp,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CNS), Enterococcus sp(ENT)가 각각 1(4.2%)곳에서 검출되었다. 또한 ABA를 제외한 모든 것이 그람양성구균(Gram positive bacilli)이 30(97%) 례에서 검출 되었으며, 1(3%)례에서만 그람음성균(Gram positive bacilli)이 검출되었다. Group별 70% Alchol 사용 전 후 균의 종류 및 군락 수에서는 70% Alchol로 소독을 한 후 세균을 동정한 결과 70% Alchol 소독군에서는 IP Cassette와 Table 그룹 모두에서 100% 세균이 사멸되었다. Group별 Tissue Cleaner 사용 전 후 균의 종류 및 군락 수에서는 Tissue Cleaner 그룹에서의 균의 사멸률은 10그룹(71.2%)에서만 세균이 완전히 사멸되었으며, 4 그룹에서는 많은 감소를 보였으나 여전히 세균이 검출되었다. 전체 균의 사멸률은 91.5%로 나타났는데 다른 균들은 모두 사멸된 반면 MRCNS 균은 사멸률이 가장 낮았(83.6%)으며, 다음으로 MRSA(95%)가 낮았다. 결론 : 70% Alchol과 Tissue Cleaner의 사용전 후 검출되는 세균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모두에서 유의수준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