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board ship reserve servic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해상운송안보를 위한 선원 확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cruitment of Seafarers to Improve Military Sealift Capability in Korea)

  • 김성국;김여중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8-28
    • /
    • 2018
  • 한국의 해군은 점증하는 대양해군의 역량강화에 따라 충분한 항해능력의 확보와 우수한 병력을 확보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병력자원의 확보측면에서는 최근 전체적인 인구감소 추세에 따라 병력의 효율적인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용자원의 확보를 위해 국방민간인력으로서 선원을 활용검토하고 미국의 해상운송사령부를 벤치마킹하였다. 검토결과 해상운송사령부를 설립하여 작전지원함정을 운영할 경우 해군의 전투능력이 확장이 가능하다. 게다가 기존에 구축된 해양대학 등 국가 교육시스템과 민간의 해기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승선근무예비역 제도와 지정국제선박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해양력 강화를 위한 우리나라의 선원양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eafarers Education System for the Sea Power in Korea)

  • 김성국;정재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6-6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상선과 어선의 해기사, 해군의 함정장교 양성기관의 해기교육 시스템을 비교분석 함으로써 해양력 확보를 위한 해기교육 상황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상선의 해기사 양성과정을 제외하고는 선박운영에 관한 교육과정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선박운영에 필수적인 해기교육의 강화는 해양력 확보에 필수적이지만 인력공급이 어려운 선원직의 특수성이 교육과정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우수한 선원의 확보와 해기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관심과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