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Site Conservation

검색결과 687건 처리시간 0.025초

해저 발굴유물의 현장 보존처리 (On-Site Conservation of the Underwater Objects Excavated)

  • 문환석;김병근;양순석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5호
    • /
    • pp.133-150
    • /
    • 2004
  • Once the object has been excavated at underwater condition, it should be subjected to condition that may cause its deterior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object immediately keeps stable environment. It means that the object was excavated at underwater and it exposed the deterioration condition, as soon as possible it was not dried on surface, especially metallic and organic material. Iron objects is particularly notorious for rapid disintegration that it kept wet or stored in a stable environment. Ceramics, glass and stone were handled carefully that it prevented physical damage by mishandling. Organic materials of wood, leather, rope, bone must not be allowed to dry out because the creaking, shrinking and warping are well known disintegration. Therefore objects is basis of keeping stable condition in on-site and then it will have to pass through a detailed conservation process in the laboratory.

  • PDF

점토질 퇴적암의 강화처리 적용실험 연구: 함안층 새발자국 화석지 (Application Experiments of Consolidation Treatment for Pelitic Sedimentary Rocks: Bird Track Fossils in Haman Formation)

  • 이규혜;이찬희;양혜리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1호
    • /
    • pp.87-98
    • /
    • 2020
  • 함안층 새발자국 화석지는 퇴적순서와 구조 및 암상에 따라 7개의 지층으로 구분되며, 새발자국은 최상부층에서 나타난다. 이 화석층에는 연흔과 건열 등이 분포하며, 주로 적회색 미사암과 흑색 이암이 교호하는 암상을 보인다. 화석층과 동일 암석을 수습하여 물리적 및 광물학적 특성 분석 결과, 흡수율 0.62%, 공극률 1.64%, 비중 2.63이며, 조암 광물로는 사장석, 석영, 방해석, 녹니석 및 운모가 동정되었다. 화석지의 암석학적 및 풍화특성을 바탕으로 보존처리에 적합한 강화제 적정성 실험 결과, 시료의 무게변화가 가장 적은 것은 OH 100이었다. 강화실험에 따른 색차도 OH 100을 적용한 시료에서 가장 안정적임을 보였다. 팽윤저지제와 병행하여 강화제를 처리한 시료는 색차에 큰 변화가 있었다. 초음파 속도 변화 역시 OH 100에서 가장 높아져 암석의 물성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팽윤저지제와 함께 OH 100을 적용한 경우에 공극율이 감소하여 물성강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함안층 새발자국 화석지는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세립질 퇴적암으로 점토광물의 층간간격 및 흡수율 감소를 통한 물성강화를 위해 실제 화석지에는 팽윤저지제(antihygro)와 OH 100 강화제를 병행해 처리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실내 함침실험 결과이므로 화석지에 직접 사용하기 위해서는 현장 적용실험 등의 검증이 필요하다.

환경이 목조문화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Procedures of Investigating Environmental Influences to Wooden Cultural Property.(A critical review))

  • 김유선
    • 보존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3-58
    • /
    • 1995
  • In order to establish the procedures for investigating environmental influences to wooden cultural property, existing study data were surveyed and necessary steps for performing the investigation works were presented to be applied for the future works in this country.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nfluence to the conservation of wooden cultural property should first be studied for items concerned with their damage situations. On basis of these data, laboratory works to yield the standard value for each factor should be conducted by means of testing samples exposed under laboratory simulated environmental conditions. Outdoor measurements may be followed for samples exposed to the open air at the site of that property. These data may be compared with those of laboratory standard value and overall evaluation for the factor influencing mostly tn the damage status of that property may further be conducted. Referring data obtained in this investigation, necessary measures to be taken for conserving that property may be able to be established.

  • PDF

안동 옥동유적 출토 청동시(靑銅匙)의 미세조직 및 산지연구 (A Study of the Microstructure and Provenance Area of Bronze Spoons Excavated from the Ok-dong Site in Andong)

  • 정광용;이주현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1-420
    • /
    • 2009
  • 경북 안동 옥동유적에서 출토된 청동유물 14점 중 청동시(靑銅匙) 5점을 대상으로 하여 ICP, 미세조직, TIMS 등의 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청동시(靑銅匙)는 Cu- Sn 합금으로 Cu 75%이내, Sn 21~23%로 방짜유기에 해당되며, Pb, Fe, Zn 등이 미량성분으로 첨가되었다. 특히 납(Pb)은 0.04%의 미량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제련시 원광석에 포함된 불순물로 보인다. 청동시(靑銅匙)의 미세구조를 볼 때 청동시(靑銅匙)의 모양으로 골을 판 거푸집을 써서 주조한 다음 $586^{\circ}C$ 근방에서 가공하여 급랭한 것으로 추정된다. 열이온화질량분석(TIMS) 측정을 시행하여, 한국, 중국, 일본 납광석의 산지별 데이터 베이스에 대조해 봤을 때 청동시(靑銅匙)의 원료산지는 중국 남부의 납동위원소비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 PDF

천안 운전리 청동기 유적지에서 출토된 석기의 정량분석과 고고지질학적 해석 (Quantitative Analysis and Archaeogeological Interpretation of Stone Implements from the Unjeonri Bronze Age Relic Site)

  • 이찬희;오규진;이효민;이명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47
    • /
    • 2003
  • 천안 운전리의 청동기 유적지에서 출토된 석기 및 유적지 주변에 분포는 석기와 동일한 암석의 대자율 값은 보통 $0.5(\times10^{-3}\;SI\;unit)$ 이하이나, 섬장암질 석부(2.37), 편암질 석부(0.19) 및 점판암질 석도(0.11)는 노두의 암석과 차이가 있다. 이들을 석기와 근원암석으로 짝을 이루어 원소의 거동과 부화 및 호정성과 불호정성을 이용하여 표준화 하였을때 석기와 암석의 지구화학적 진화경향이 동일한 것으로 보아, 대부분의 석기는 유적지 주변에 분포하는 암석을 원료로 제작하였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그러나 일부 석부(편암), 석도(점판암) 및 석촉(셰일)의 구성암석은 운전리 유적지 및 반경 10 km 이내에서 전형적인 산출상태와 분포지역을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운전리 일대의 석기는 현지에서 재료를 구하고 현장에서 제작한 자급형 석기(갈판, 갈돌, 석부)와 다른 지역에서 도입된 외래형 석기(석도, 석촉 및 석부)가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반전위 측정을 통한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모르타르 복원부위 상태평가 연구 - 옥개석 모르타르 복원부위를 중심으로 - (The Condition Evaluation of Mortar Parts of Stupa of State Preceptor Jigwang from Wonju Beopcheonsa Temple Site by Half Cell Potential Measurement - with Focus on the Mortar Parts the RoofStone -)

  • 이태종;조하진;박희정;채승아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03-515
    • /
    • 2018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의 1957년 수리 복원에 사용된 모르타르의 손상정도를 평가하고 제거 필요성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콘크리트 분야에서 사용되는 반전위측정방법을 적용하였다. 철근이 사용된 옥개석 모르타르와 실내 실험체의 촉진부식시험 후 반전위 측정값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부식량과 피복두께에 따른 HCP 값의 결정계수는 0.86이상의 높은 상관식이 도출되었다. ASTM C876기준에 따르면 옥개석의 습윤상태 측정값 - 431~-663 mV는 철근의 부식손상 확률이 90%이상이기 때문에 손상된 모르타르를 제거한 후 신석재를 사용한 복원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관야정(關野貞)과 건축문화재 보존 - 한국건축문화재 보존과의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 (Sekino Tadashi and Architectural Conservation in Korea -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his methodology of studying architectural history and architectural conservation in Korea -)

  • 강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1호
    • /
    • pp.41-55
    • /
    • 2005
  • Most of researches in Korea by far on Sekino Tadashi were mainly focused on his historical view only. The main observations of this study, instead, are that; (1) his methodology of studying architectural history was closely related to his previous experiences with the conservation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in Japan, and (2) his earlier activities in Korea mad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servation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in Korea. Sekino started his carrier after the graduation from the university by participating in the restoration sites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in Japan, and his experiences at that time had founded the basis of his methodology of studying architectural history. Later, his on-site experiences were also adapted into the conservation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in Korea when Korea was about to be colonized by Japan. In other words, Sekino's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s started from 1902 had a meaning of not only the starting point of the study on the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but also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servation of the Korean architectural heritages. Especially, Sekino's study during 1909 1912 prioritized the conservation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a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influences of the study spanned over the entire colonial period by Japan. The influences were that; (1) Sekino's studies in 1909 1912 had outlined the colonial government's policy of the conservation of the architectural heritages, and (2) many restorations were made based on those studies.

  • PDF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누금세공 유물의 제작기술 연구 (A Study on Handiwork Technique of Filigree Artifacts Excavated from Neungsan-ri Temple Site in Buyeo, Korea)

  • 이선명;남궁승;김연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3-24
    • /
    • 2010
  • 부여 능산리사지 출토 누금세공 유물 4점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재질특성과 미세조직을 분석하여 각각에 대한 제작방법을 살펴보았다. 이 결과 모두 22.7K 이상의 비교적 높은 순도를 나타냈으며 일부 유물에서는 금과 은이 일정 비율로 합금된 상태를 보였다. 표면을 장식한 금선은 0.2~0.8mm 두께를 보이고 다양한 단면형태를 나타냈다. 금입자는 2개 또는 3개가 접합되어 부착된 상태로, 0.3~0.8mm의 직경을 나타냈다. 금세선과 금입자의 표면 접합부에서는 땜의 잔재가 관찰되었으며 성분분석을 통해 금 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사(HgS), 먹과 같은 안료를 감장하여 표면을 장식한 모습도 보였다.

감은사지서삼층석탑의 표면오염물 분석과 제거기술 (Analysis of Surface Contaminants and Removal Techniques on Three-story Stone Pagoda at the West of Gameunsaji Site)

  • 김사덕;이태종;김다람;한민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3-211
    • /
    • 2010
  • 감은사지서삼층석탑의 표면오염물과 세척사례 조사 연구는 부재 표면에서 관찰되는 무기오염물의 성분분석과 오염물 제거 방법을 선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표면오염물 조사는 육안관찰과 주사전자현미경, XRD를 이용하여 오염물의 상태를 파악하고 정성 정량분석을 통해 비교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표면오염물은 철화합물이나 황화합물 등 화합물로 존재하며, 결정 형태는 원형, 타원형, 침상, 각형이 주를 이룬다.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한 결과, 미립재를 와류형식으로 분사하는 저압와류세척방법이 적당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