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 board

검색결과 6,099건 처리시간 0.037초

비대면 미디 수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Non-Face-to-Face Midi Classes)

  • 백성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67-277
    • /
    • 2021
  • 코로나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교수자와 학습자는 비대면 수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갑작스러운 상황에 충분한 준비를 하지 못한 상태에서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었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했다. 본 연구는 비대면 미디 수업 시 생기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면과 비대면 수업 시 사용할 수 있는 기자재의 차이로 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컴퓨터 운영 체제에 상관없이 설치 가능하고 기능에 제한 없이 무료 사용할 수 있는 DAW인 리퍼(Reaper)를 사용하는 것으로 개선 방안을 찾을 수 있었다. 둘째, 줌(Zoom)의 화면 공유 기능을 사용할 시 DAW에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드라이버를 선택할 수 없어 레이턴시(Latency)를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교수자 관점에서는 오디오 아웃풋을 인풋으로 다시 받아 송출하는 방식으로 개선하였다. 또한 Windows 운영체제를 사용하며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없는 학습자는 실습 시 레이턴시로 인한 불편함이 생기는데 Asio4all을 설치하여 레이턴시를 줄일 수 있었다. 셋째, 컴퓨터의 리소스 부족으로 화질 저하 및 화면 끊김 현상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캡처 보드를 사용하여 2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리소스를 분산하여 고화질을 유지하면서 화면 끊김 현상을 개선할 수 있었으며, 비엔나 앙상블 프로를 사용하여 1대의 컴퓨터를 더 연결하여 추가 리소스를 확보하여 더 많은 플러그인을 사용하면서 비대면 미디 수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성공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미디 수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었다.

제주-대한해협 해역에서 에어로졸의 화학적 특성과 침적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eposition of Aerosols in the Cheju-Korea Straits)

  • 김석현;이현미;문덕수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297-310
    • /
    • 2022
  • To underst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aerosols in the Cheju-Korea Straits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ocean by deposition, aerosol samples were collected on board R/V Eardo from November 1997 to May 1999.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Al, NO3-, non-sea-salt (nss)-SO42-, and NH4+ in aerosols were 2.19, 5.59, 6.16 and 2.08 ㎍ m-3, respectively. The Al concentration in the high yellow dust period was about 100 times higher than that in the non-yellow dust period. The concentration ratio of NO3-/nss-SO42- ranged between 0.47 and 1.5, indicating that the aerosols in the Cheju-Korea Straits are under the effects of NOx and SOx emitted from China, Korea and Japan. The equivalent concentration ratio of [NH4+]/[nss-SO42-+ NO3-] with the average of 0.58±0.29 indicates that nss-SO42- and NO3- are not neutralized by NH4+. A high activity concentration of 210Pb with 1.13-1.23 mBq m-3 was observed during the high yellow dust period, indicating that 210Pb is easily adsorbed in the yellow dust originating from the continent of Asia. The distribution of 7Be and NH4+ concentrations showed a strong negative linear correlation during the low yellow dust period, April 1998. The total mineral dust flux in the Cheju-Korea Straits was estimated to be 1.21×106 tons yr-1, accounting for about 12% of the annual sediment discharge via the Nakdong River. The combined annual deposition of NH4+ and NO3- was 0.103 mole N m-2 yr-1 was estimated to support 4% of the annual primary productivity in the East China Sea.

국내 기항 외국적 외항선 항만국통제 현황 및 개선방안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ort State Control of Foreign Vessels in Domestic Port Calls)

  • 정규민;황제호;김시현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38-343
    • /
    • 2022
  • 글로벌 해운산업이 활성화됨에 따라 특정 국가들의 해양 영도를 경유하는 외국적 외항선의 규모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선박의 컨디션 관리, 안전 운항을 위한 체계 수립이 미흡으로 선박 운항에 기인한 대형 해양사고가 발생하여 인명 피해와 심각한 해양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따라서 IMO는 해양 영토의 관할권을 갖는 국가들에게 항만국통제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고 특히 외국적 선박에 대한 규정과 지침을 강화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TOKYO MOU 회원국으로 항만국통제를 수행하고 있지만 2020년을 기준으로 국내를 기항한 국적선 대비 외국적선의 비중이 3배 높음에도 불구하고 9% 수준의 저조한 점검률로 TOKYO MOU에서 권고하고 있는 점검률 수준을 하회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항만국통제에 대한 효율성과 효과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객관형 설문문항과 서면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항만국통제관들의 실무적 의견을 수렴하여 IPA분석과 컨텐츠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PSC점검의 질적 향상을 위해 수행 시 인적 요소와 관련된 선내 생활, 근무 환경, 안전사고 대응에 대한 중요성과 성과가 개선되어야 함이 도출되었다. 또한 PSC 점검성과 개선을 위해 유관 업무의 행정 일원화, 항만국통제관 인력 충원, 선박결함 신고제도 활성화, PSC 수행 그룹 재편성 등을 위한 다방면적 지원 기반이 마련된다면 우리나라 항만국통제에 대한 업무 환경과 성과가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가스상 물질 측정용 스마트센서 개발과 향후과제 (Development of an IoT Smart Sensor for Detecting Gaseous Materials)

  • 김욱;김영교;유연선;정기효;최원준;이완형;강성규;함승헌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8-88
    • /
    • 2022
  • Objectives: To develop the smart sensor to protect worker's health from chemical exposure by adopt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echnologies. Methods: To develope real-time chemical exposure monitoring system, IoT (Internet of Things) sensor technology and regulations were reviewed. We developed and produced smart sensor. A smart sensor is a system consisting of a sensor unit, a communication unit, and a platform.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smart sensors, each sensor has been certified by the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KOLAS). Results: Chemicals (TVOC;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Cl2: Chlorine, HF: Hydrogen fluoride and HCN: Hydrogen cyanide) were selected according to a priority logic (KOSHA Alert, acute poisoning statistics, literature review). Notifications were set according to OEL (occupational exposure limit). Sensors were selected based on OEL and the capabilities of the sensors. Communication is designed to use LTE (Long Term Evolution) and Wi-Fi at the same time for convenience. Electronic platform were applied to build this monitoring system. Conclusions: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OEL of hazardous chemicals in workplace was developed. Smart sensor can detect chemicals to complement monitoring of traditional workplace environmental monitoring such as short term and peak exposu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pand the scope of application, improve reliability, and systematically application.

Saudi Experts Consensus 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ediatric Functional Constipation

  • Alshehri, Dhafer B.;Sindi, Haifa Hasan;AlMusalami, Ibrahim Mohamod;Rozi, Ibrahim Hosamuddin;Shagrani, Mohamed;Kamal, Naglaa M.;Alahmadi, Najat Saeid;Alfuraikh, Samia Saud;Vandenplas, Yv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5권3호
    • /
    • pp.163-179
    • /
    • 2022
  • Althoug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FGIDs) are very common in pediatric patients, there is a scarcity of published epidemiologic data,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atterns from Saudi Arabia, which is the 2nd largest Arabic country in terms of area and the 6th largest Arabic country in terms of population, with 10% of its population aged <5 years. Functional constipation (FC) is an FGID that has shown a rising prevalence among Saudi infants and children in the last few years, which urges us to update our clinical practices. Nine pediatric consultants attended two advisory board meetings to discuss and address current challenges, provide solutions, and reach a Saudi national consensus for the management of pediatric constipation. The pediatric consultants agreed that pediatricians should pay attention to any alarming signs (red flags) found during history taking or physical examinations. They also agreed that the Rome IV criteria are the gold standard for the diagnosis of pediatric FC. Different therapeutic options are available for pediatric patients with FC. Dietary treatment is recommended for infants with constipation for up to six months of age. When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ail to improve FC symptoms, pharmacological treatment with laxatives is indicated. First, the treatment is aimed at disimpaction to remove fecal masses. This is achieved by administering a high dose of oral polyethylene glycol (PEG) or lactulose for a few days. Subsequently, maintenance therapy with PEG should be initiated to prevent the re-accumulation of feces. In addition to PEG, several other options may be used, such as Mg-rich formulas or stimulant laxatives. However, rectal enemas and suppositories are usually reserved for cases that require acute pain relief. In contrast, infant formulas that contain prebiotics or probiotics have not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infant constipation, while the use of partially hydrolyzed formula is inconclusive. These clinical practice recommendations are intended to be adopted by pediatricians and primary care physicians across Saudi Arabia.

해수 중 유해위험물질 검출을 위한 금속산화물 나노 입자 센서의 시작품 제작 및 성능 평가 (Prototype Fabric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Metal-oxide Nanoparticle Sensor for Detecting of Hazardous and Noxious Substances Diluted in Sea Water)

  • 안상수;이창한;노재하;조영지;장지호;이상태;김용명;이문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spc호
    • /
    • pp.23-29
    • /
    • 2022
  • 해수 중 존재하는 유해화학물질 검출을 목적으로 센서 시작품 제작하고 성능을 확인하였다. 센서 시작품은 검지부, 기구부, 구동부로 구성하였다. 센서의 검지부는 ITO (Indium-Tin-Oxide) 금속산화물 나노입자 (metal oxide nanoparticle) 필름을 기판위에 인쇄하여 제작하였고, 온도와 HNS 농도를 동시에 검출할 수 있도록 2개의 검출 부분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센서의 기구부는 검지부와 구동부를 연결하며, 검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화학적 반응을 막기 위해 테프론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하였고, 특히 검지부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설계 하였다. 구동부는 브릿지 회로와 아두이노 보드를 이용하여 전원 공급과 데이터 측정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시작품의 성능에 대해서는 기존의 수질 센서를 참고한 성능 사양을 제시하고, 유기용제를 사용한 검지부와 시작품의 동작을 확인하여 응답 (ΔR), 검출하한 (Limit of Detection), 응답시간 (response time), 오차 (error) 등을 평가하였다. 또한 해수 중 동작 특성을 파악하여 설계 사양이 구현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방음판의 흡음률 측정방법 제안을 위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 for determining the absorption coefficient of sound barrier panels)

  • 오양기;김하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2-160
    • /
    • 2023
  • 방음벽은 도시 주거환경의 소음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방음판의 가장 중요한 음향적 기능은 음향투과손실과 흡음률로 표시된다. 특히 주거시설이 밀집되어있는 도심구간의 철도나 간선도로에서 원하지 않는 반사음에 의한 2차 소음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는 방음판의 흡음성능이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방음판의 흡음률 측정방법에 관한 규격이 마련되어있지 않다. 또한 방음판의 전반적인 음향규격이 이미 만들어져 있는 유럽규격에서조차 흡음률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건축마감재료의 흡음률 측정기준을 준용하고 있을 뿐, 방음벽과 방음판의 특성을 감안한 별도의 측정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흡음률은 재료의 내부로 흡수된 에너지 뿐 아니라 재료를 투과한 에너지까지 합산하여 평가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유럽규격은 투과음 에너지를 감안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제시되고 있는 방음판의 흡음률 측정 규격에 대해 고찰하고, 우리나라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방음판을 대상으로 투과음을 감안한 새로운 측정방법과의 결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방음판 흡음률 측정규격의 마련을 위한 기초적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단일 및 이중 코어 PBD에 의한 대심도 연약지반 개량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ison on the Performance of Soil Improvement in Thick Soft Ground Using Single-Core and Double-Core PBD)

  • 양정훈;홍성진;김형섭;이우진;최항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8호
    • /
    • pp.33-45
    • /
    • 2009
  • 단일코어 연직 배수재 공법은 현재까지 폭넓게 사용되는 연약지반 개량공법이다. 그러나 얇은 플라스틱 보드 형태의 PBD 구조로 인해 압밀 도중 큰 횡 방향 토압과 이에 따른 necking 현상이 발생하고 이는 PBD의 통수능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 대상인 부산신항만 조성 공사현장은 대심도의 연약지반으로서 PBD 설치 시, 큰 횡 방향 토압에 의한 통수능 감소를 예상되어 통수능 감소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중코어 PBD를 도입, 시공하고, 기존 형태의 단일코어 PBD를 동시에 설치한 후, 현장에서의 배수재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실내실험으로는 개량 델프트 실험을 수행하여 연직배수재의 통수능을 측정하고,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이용해 기본 물성실험 및 CRS 압밀시험을 수행하여 수치 해석 프로그램인 ILLICON에 적용하여 침하거동 양상을 파악하였다. 개량 델프트 실험에서는 이중코어 PBD의 통수능이 단일코어 PBD보다 높게 측정되었으나, 현장 계측 및 수치해석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일발전인 대심도 지반에서 압밀시 발생되는 물의 배수량은 상대적으로 작은 단일코어 PBD의 통수능 범위 보다도 작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는 단일코어 PBD와 이중코어 PBD의 성능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스마트 센서 세트를 활용한 화학물질 상시모니터링 시스템의 작업현장 적용 결과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a Real-time Chemical Exposure Monitoring System in a Workplace)

  • 김욱;류장진;정종득;박귀현;김기영;강진주;정기효;함승헌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15-229
    • /
    • 2023
  • Objectives: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a real-time chemical exposure monitoring system developed by KOSHA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e applied the system to a workplace in the electronics industry for 153 days. Methods: The monitoring system consisted of a PID chemical sensor, a LT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web-based platform. To monitor chemical exposure, four sets of sensors were placed in two manufacturing tasks - inspection and jig cleaning - which used TCE as a degreasing agent. We reviewed previous reports of work environment measurements and conducted a new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on one day during the period. The PID sensor systems detected the chemical exposure levels in the workplace every second and transmitted it to the platform. Daily average and maximum chemical exposure levels were also recorded. Results: We compared the results from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d th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by traditional methods. Generally, the data from the real-time monitoring system showed a higher level because the sensors were closer to the chemical source. We found that 28% of jig cleaning task data exceeded the STEL. Peak exposure levels of sensor data wer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sk's chemical us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were reviewed for the adoption of the system for preventing poisoning caused by chemical substances. Conclusions: We found that the real-time chemical exposure monitoring system was an efficient tool for preventing occupational diseases caused by chemical exposure, such as acute poisoning.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applicability of the system. We also believe that forming a social consensus around the system is essential.

에지 클라우드 협동 이미지 처리기반 메타버스에서 스트리밍 가능한 저전력 AI 소프트웨어의 런타임 실행 (Low-Power Streamable AI Software Runtime Execution based on Collaborative Edge-Cloud Image Processing in Metaverse Applications)

  • 강명진;김호;박정원;양승범;윤준서;박대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577-1585
    • /
    • 2022
  • 최근 4차산업혁명과 함께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메타버스를 구축하는 멀티 에지 기반의 구조가 제시된다. 메타버스는 멀티 에지 시스템에서 많은 양의 영상처리와 데이터 전송을 통해 디지털 의사와 같은 시스템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구조이다. 하지만 에지는 부족한 연산능력이라는 제약이 있으므로, 런타임 스트리밍이 가능한 서비스제공을 위해서는, 에지에서만 이루어졌던 영상처리와 데이터 전송을 에지-클라우드 협동을 통해 처리하여 저전력 시스템을 구축해야한다. 많은 에지들이 연결되는 시스템에서는, 그 무엇보다도 에지 경량화를 통해 효율적인 전체 시스템의 경량화 및 소모전력의 감소를 이루어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영상 처리방법과 Region of Interest (RoI) 기법을 사용하여, AI 소프트웨어의 저전력 런타임 스트리밍이 가능해지는, 에지-클라우드 협동 메타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에지-클라우드 협동 메타버스의 구조는 PC와 임베디드 보드를 사용하여 구현하였으며, 본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에지의 시간 감소와 그에따른 전력 소모, 네트워크 통신량 감소를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