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ive leave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5초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의 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Olive and Bay Leaves)

  • 이옥환;이희봉;이준수;손종연;이성갑;김현덕;김영찬;이부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03-508
    • /
    • 2005
  • 본 연구는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의 화학적 특성들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식품 소재화나 가공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의 수분함량은 각각 $3.95,\;8.50\%$이었다. 올리브 잎은 조단백질 $11.04\%$, 조지방 $7.45\%$, 조회분 $5.05\%$, 탄수화물 $76.46\%$이었고, 월계수 잎은 조단백질 $7.23\%$, 조지방 $7.21\%$, 조회분 $3.72\%$, 탄수화물 $81.84\%$이었다. 올리브 잎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1086.8\;mg\%)$와 aspartic acid$(918.8\;mg\%)$이었고, 월계수 잎은 glutamic acid$(621.2\;mg\%)$와 leucine$(558.6\;mg\%)$이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이었다. 올리브 잎의 주요 유리당은 sucrose$(1.55\%)$이었고, linolenic acid$(33.0\%)$, palmitic acid$(31.1\%)$가 조지방 중의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이었다. 월계수 잎에는 glucose$(1.54\%)$와 fructose$(0.99\%)$가 주요 유리당이었고, palmitic acid$(35.2\%)$와 linolenic acid$(17.8\%)$가 조지방중의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이었다. 무기질 함량은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 모두에서 Ca이 $929.6\;mg\%,\;836.2\;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A는 올리브 잎 5.10 mg/100 g, 월계수 잎 6.49 mg/100 g로 나타났고 비타민 C는 올리브 잎 36.64 mg/100 g, 월계수 잎 13.86 mg/100 g로 나타났다.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 모두에서 비타민 $B_1,\;B_2$, niacin이 소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B_6$$B_{12}$은 검출되지 않았다.

A modified electrode by a facile green preparation of reduced graphene oxide utilizing olive leaves extract

  • Baioun, Abeer;Kellawi, Hassan;Falah, Ahamed
    • Carbon letters
    • /
    • 제24권
    • /
    • pp.47-54
    • /
    • 2017
  • Different phytochemicals obtained from various natural plant sources are used as reduction agents for preparing gold, copper, silver and platinum nanoparticles. In this work a green method of reducing graphene oxide (rGO) by an inexpensive, effective and scalable method using olive leaf aqueous extract as the reducing agent, was used to produce rGO. Both GO and rGO were prepared and investigated by ultraviolet and visible spectroscopy, Fourier-transform infrar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tomic force microscopy, thermogravimetric analysis, cyclic voltammetry, X-ray photoelectron spectra,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and powder X-ray diffraction.

마늘과 향신료 첨가가 난황과 감람유 유화의 관능적 특성 (Effective of Extract Garlic, Spices of Emulsified with Egg-Yolk & Olive Oil)

  • 장혁래
    • 한국관광식음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관광식음료학회 2002년도 학술논문발표회
    • /
    • pp.112-122
    • /
    • 2002
  • 본 연구는 Egg yolk을 저온 세균(62.5$^{\circ}C$에서 4분)과 고온 세균(95$^{\circ}C$에서 30초) 하여 7$0^{\circ}C$-75$^{\circ}C$ Double bath pen에서 Hot sabayon cream으로 하여 Hot Clarified Olive oil을 서서히 첨가하며 Emulsify하여 유화한 다음 Extract spices 첨가하여 유화제품의 색도 차이를 분석하여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제조된 유화난황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Extract spices는 A군과 B.군으로 하였으며, A.군은 Garlic을 제외한 Extract였고 B.군은 Garlic을 첨가하였다. 결과는 Figure 1-5.과 같이 나타났다. \circled1 Sabayon Cream 관능검사 결과는 노랑자위 향이 감소 되었다. \circled2 Clarified Olive 관능검사 결과는 olive oily 향이 감소되고 고소한 맛이 났다. \circled3 Sabayon과 Clarified olive oil과의 Emulsified 관능검사 결과는 부드러워 졌다. \circled4 Extract Spices A.시료의 Hot Emulsified 관능검사 결과는 oily 하였다. \circled5 Extract Spices B.시료의 Hot Emulsified 관능검사 결과는 마늘의 향이 전체적 향을 부드럽게 하였으며, 전체적인 맛은 결정적으로 우수하였다. 즉 마늘 향이 첨가된 B시료가 효과와 특성이 있었다.

  • PDF

사료내 녹차 첨가가 넙치 유어기의 면역성 및 세균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Inclusion of Various Sources of Green Tea on Immune System and Challenging Test of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조성환;이상목;박범희;지성춘;권문경;김이청;이종하;박상언;한형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84-89
    • /
    • 2006
  • 사료내 다양한 녹차 원료 첨가에 따른 넙치 유어기의 성장, 면역성 및 세균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차엑기스를 첨가한 사료를 공급한 실험구에서 어체중증가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녹차 생잎, 건조잎 또는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녹차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의 사료전환효율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녹차 생잎, 건조잎 또는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녹차 건조잎과 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Iysozyme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녹차 생잎과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Iysozyme 활성이 나타났다. 3시간에서의 세균 살해능은 녹차 건조잎과 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살해능이 녹차 생잎과 부산물 또는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6시간에서의 세균 살해능은 녹차 엑기스, 건조일, 생잎, 부산물 및 대조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 대조구에 비하여 엑기스, 건조잎 및 생일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세균 공격실험 결과, 복강 주사 2일째부터 넙치의 폐사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4일 동안 폐사는 계속되었으며 녹차 생잎과 부산물을 첨가한 실험구에서의 누적폐사율은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녹차 건조잎과 엑기스를 첨가한 실험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누적폐사율을 보였으나 실험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녹차엑기스와 건조잎의 사료내 첨가는 넙치의 면역성 향상과 세균공격성에 내성 향상 면에 있어서 아주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타내었고 $25^{\circ}C$ 실험구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AT에서는 수온 스트레스 직후 10 및 $25^{\circ}C$ 실험구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간의 지남에 따라 회복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15^{\circ}C$ 실험구의 경우에는 6 h째에 가장 높은 CAT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 후 차츰 회복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30^{\circ}C$ 실험구의 경우에는 시간의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활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SP70 mRNA의 발현은 대조군($20^{\circ}C$)과 비교하여 $25^{\circ}C$ 48 h째 실험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20^{\circ}C$에서 순치된 시볼트전복은 급격한 수온 스트레스에 대해 많은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온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학적 방어 기작이 분자 레벨인 HSP70 mRNA에서는 신속히 발현되어 스트레스에 대처하지만, SOD나 CAT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은 다소 늦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간의 지남에 따라 $5^{\circ}C$ 내외의 스트레스와 저수온 스트레스의 경우에는 비교적 안정화되는 것으로 보여지며, $10^{\circ}C$ 이상의 고수온에 노출되었을 경우에는 생리학적 방어기작이 한계점에 이르러 더

마늘과 향신료 첨가가 난황과 감람유 유화의 관능적 특성 (Effective of Extract Garlic, Spices of Emulsified with Egg-Yolk & Olive Oil)

  • 장혁래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9-127
    • /
    • 2002
  • 본 연구는 Liquid egg yolk sabayon을 만들 때 버터 대신에 올리브오일과 마늘 첨가량을 달리하여 관능적 평가를 실시하여 조리표준화의 예시를 제시하고자 한다. 1, 맛에서는 마늘 10g 첨가에서 5.61로 대조군의 5.13보다 좋았다. 2. 색에서는 마늘 20g 첨가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마늘 30g가 나쁘게 나타났다. 3. 향에서는 마늘 10g 첨가가 대조군 보다 좋았고 마늘 첨가군 모두가 대조군 보다 좋았다. 4. 종합적인 면에서도 마늘 10g첨가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Liquid egg yolk sabayon을 만들 때 적당량의 마늘을 첨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 PDF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 평가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Olea europaea L.) Fractions)

  • 최남영;이재환;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7-2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호주산과 스페인산 올리브 잎의 이화학적 특성중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 항산화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력을 측정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호주산과 스페인산 모두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2.7, 23.9%으로 가장 높았으며 전체적으로는 물 분획물(1.5% 내외)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도 부탄올 분획물(18% 내외)이 가장 높았으며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과 물 분획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높은 페놀함량을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능은 0-36.08%의 범위이었으며 모든 추출물 및 분획물에서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활성도가 증가하였고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이 36.08%로 활성이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제거활성은 호주산 올리브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63.3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와 함께 시료를 처리하여 지질과산화를 억제하는 정도는 호주산 올리브 잎 분획물은 시간 경과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산화억제활성이 나타난 반면 스페인산 올리브 잎의 경우 몇몇 분획물에서 약한 산화억제활성을 나타냈을 뿐 산화억제활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발암물질인 nitrosamine 생성의 원인물질인 nitrite 제거활성을 확인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부탄올 분획물은 nitrite 제거활성이 65.70, 73.10%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헥산과 물 분획물은 제거능력이 없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균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Fractions)

  • 이옥환;이희봉;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4-210
    • /
    • 2004
  • 올리브 잎의 식품 가공 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올리브 잎 80%에탄을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총 페놀, 페놀성 화합물, AC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능, 항균활성 등을 측정, 비교하였다. 올리브 잎 80% 에탄을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81%이었고 총 페놀함량은 14.8%이었다. 부탄올층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49%로 에틸아세테이트 층(7.13%)과 함께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헥산층이 1.50%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에도 부탄올층에서 17.5%로 가장 높았고 헥산층(3.4%)과 클로로포름층 (4.3%)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올리브 잎의 주요 페놀성 물질은 oleuropein 이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층, 에틸아세테이트층의 oleuropein의 함량은 각각 102.11$\pm$0.02, 173.35$\pm$0.03, 152.71$\pm$0.03mg/100g으로 부탄올층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항균력은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층,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하여 강한 항균력을 보인 반면 헥산층과 클로로포름층에서는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다.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과 각각의 분획물에 대한 ACE 저해효과는 매우 약하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80%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각각 72.8%, 76.0%와 75.4%이었고 헥산, 클로로포름 및 물층은 각각 45.8, 43.9, 47.8%의 효과를 보여 유의적으로 낮은 효과를 보였다.

제주도 올리브 과원에 발생하는 해충 종류 (Olive Pests in Jeju, Korea)

  • 최경산;고상욱;오현석;김효중;김소라;안정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03-107
    • /
    • 2023
  •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제주도 올리브(olive, Olea europaea)에서 발생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총 15종의 해충이 확인되었다. 이중 나방류와 노린재류의 발생과 과실 피해가 매우 심했다. 나방류는 수수꽃다리명나방(Palpita nigropunctalis), 큰점애기잎말이나방(Aterpia circumfluxana), 차잎밀아나방(Homona magnanima),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honmai)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나방류 해충은 주로 잎을 가해했지만, 수수꽃다리명나방은 과실피해도 심하게 유발하였다. 노린재류로는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풀색노린재(Chinavia hilaris)가 주로 발생하여 과실 피해를 유발하였다. 깍지벌레류인 갈색깍지벌레(Chrysomphalus bifasciculatus)와 뽕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entagona)는 무방제 시 과실에도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진딧물과 해충은 국내 미기록종인 올리브면충(신칭, Prociphilus oleae)만이 발생하였고, 갈색나무매미충(Ricania shantungensis)도 올리브에 처음 발생이 확인되었다. 국내 미기록종인 올리브철모깍지벌레(신칭, Saissetia olea)은 발견되었으나 방제후 더이상 발생하지 않았다. 이외 천공성 해충이 올리브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였으나, 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상업용 올리브 잎 추출물의 화합물 특성과 이들의 oleuropein 함량 비교분석 (Characterization of compound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oleuropein in commercial olive leaf extracts)

  • 박미현;김두영;알판 대니 아르비안토;김정희;이성미;류형원;오세량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2호
    • /
    • pp.113-119
    • /
    • 2021
  • 올리브 (Olea europaea L.) 잎은 풍부한 폴리 페놀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항산화, 항균, 항 바이러스, 항암 활성을 연관시키고 혈소판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다. 올리브 잎은 건강기능성식품 및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강상의 이점은 올리브 잎의 주요 생리활성 물질인 oleuropein와 관련이 있다. Oleuropein은 항산화, 항노화, 항염증, 항암, 항미생물, 항바이러스, 항죽상동맥혈증, 지질 저하 효과, 혈당 저하 효과, 피부 보호 효과가 보고되어 있다. oleuropein이 올리브 잎의 중요한 화합물 임에도 불구하고 상업용 제품에서 oleuropein 함량을 밝히는 정량적 접근 방법은 아직 없다. 본 연구에서는 UPLC-QTof/MS, PDA, CAD로 개발된 방법을 이용하여 10개의 상업용 올리브 잎 추출물의 성분 및 oleuropein 함량을 분석 하였다. Iridoids (1, 3, 4, 14, and 16-18), coumarin (2), phenylethanoids (5, 9, and 11), flavonoids (6-8, 10, 12, and 13), lignan (15)을 포함한 총 18종의 화합물이 올리브 잎에서 예상되었다. 총 10종의 올리브 잎 추출물 분석은 3종의 제품(A, G, H)에서 제품에서 제시한 oleuropein 함량보다 높게, 5종의 제품(B, E, H, I, J)에서 5-10%의 오차범위로 나타났고 C, D에서 함량 미달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oleuropein의 함량분석이 올리브 잎의 품질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판단하였다.

Scolicidal Effects of $Olea$ $europaea$ and $Satureja$ $khuzestanica$ Extracts on Protoscolices of Hydatid Cysts

  • Zibaei, Mohammad;Sarlak, Amanallah;Delfan, Bahram;Ezatpour, Behrouz;Azargoon, Alirez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0권1호
    • /
    • pp.53-56
    • /
    • 2012
  • Treatment of hydatid disease is mainly surgical, with medical treatment being reserved as a coadjuvant treatment. Use of effective scolicidal agents during surgery of cystic echinococcosis is essential to reduce the recurrence rat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 vitro scolicidal effects of hydroalcoholic extracts of $Satureja$ $khuzestanica$ leaves and aqueous extracts of $Olea$ $europaea$ leaves on hydatid cyst protoscolices. $Echinococcus$ $granulosus$ protoscolices were collected from the liver of sheep infected with the hydatid cyst. Various concentrations of plant extracts were used in different exposure times for viability assay of protoscolices. Among the olive leaf extracts tested, 0.1% and 0.01% concentrations had strong scolicidal effects in 120 min. $S.$ $khuzestanica$ 0.1% had very strong scolicidal effects in 30, 60, and 120 min of exposure times and the mortality rate decreased with the lower concentration. The finding have shown that the scolicidal activity of $S.$ $khuzestanica$ against cystic echinococosis protoscolices were more effective, while the $O.$ $europaea$ extract showed less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