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ive

검색결과 1,320건 처리시간 0.029초

양식넙치 멜라닌 농축 호르몬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Melanin-concentrating Hormone from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정인영;전정민;송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84-292
    • /
    • 2018
  • 멜라닌 농축 호르몬(melanin-concentrating hormone, MCH)은 17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환형의 시상하부 펩티드로 색소 침착의 조절인자로서 연어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포유동물의 MCH는 19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섭식 및 에너지 항상성을 조절하는데 관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식넙치의 다양한 조직에서 MCH 유전자의 발현 분포, 멜라닌 함유 세포의 집적, 포유동물 MCH 수용체와 양식넙치 MCH의 상호작용을 조사하였다. Real-time qPCR을 이용하여 뇌, 정소, 난소에서 MCH 유전자의 발현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수정 후 발달 단계에서도 MCH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합성된 연어 sMCH, 포유류 hMCH, 양식넙치 fMCH, dN-fMCH, dC-fMCH를 양식 넙치의 표피에 처리했을 때 다양한 농도에 따라 멜라닌 함유 세포의 집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연어 sMCH, 포유류 hMCH에 비해 양식넙치 fMCH의 멜라닌 함유세포의 집적도가 36~99.85%로 비역가를 나타났으나 양식넙치 dN-fMCH, dC-fMCH를 처리한 경우 양식넙치 fMCH에 비해 높은 농도에서 집적이 나타나고 짧은 시간에 분산되었다. 또한, 인간 MCH 수용체와 쥐 MCH 수용체가 발현된 포유동물의 세포주에 양식넙치 fMCH를 처리하여 각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어류에서 발현되는 MCH가 포유동물의 MCH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MCH 수용체에 대한 새로운 리간드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향후 어류의 MCH 수용체에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Control of Powdery and Downy Mildews of Cucumber by Using Cooking Oils and Yolk Mixture

  • Jee, Hyeong-Jin;Shim, Chang-Ki;Ryu, Kyung-Yul;Park, Jong-Ho;Lee, Byung-Mo;Choi, Du-Hoe;Ryu, Gab-He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80-285
    • /
    • 2009
  • Powdery and downy mildews caused by Sphaerotheca fusca and Pseudoperonospora cubensis are the most common and serious diseases of cucumber worldwide. In spite of the introduction of highly effective systemic fungicides, control of these diseases remains elusive. Henc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alternative method to chemicals in controlling the diseases by using different types of cooking oil. Egg yolk, which contains a natural emulsifier, lecithin, was selected as a surfactant to emulsify the oils. Among the different cooking oils used, soybean, canola (rape seed), safflower, sunflower, olive, and corn oils showed over 95% control values against powdery mildew of cucumber in a greenhouse test. In particular, 0.3% canola oil emulsified with 0.08% yolk (1 yolk and 60 ml canola in 20 l spray)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The treatment resulted in 98.9% and 96.3% control efficacies on powdery and downy mildews, respectively, of cucumber in the field. Canola oil exhibited direct and systemic effect, wherein powdery mildew of cucumber was suppressed only on treated leaves but not on non-treated leaves in a plant, while mycelia and conidia of the pathogen were severely distorted or destroyed by the treatment. The prospect of using the canola oil and yolk mixture as a natural fungicide is highly promising because of its effectiveness, availability, low cost, simple preparation, and safety to humans and the environment. The use of the canola oil and yolk mixture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fungicide for use in organic farming and home gardening.

산풍고삼환(散風苦蔘丸)이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npunggosamhwan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남봉수;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27
    • /
    • 2005
  • Objective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Sanpunggosamhwan(SGH) against Allergic Contact Dermatitis(ACD), the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change of cutaneous shape, anti-allergic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and the effect on skin barrier were observed. Methods: The 200g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5 rats. The first group is the Normal group which was applied Acetone olive oil only. The second group is the ACD group which has intentionally activat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by DNCB. The third group is the SGH group which was given medication of Sanpunggosamhwan extract after the induction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by DNCB. Each group of rats was observed after 24, 48 and 72 hours. Results: I. With the result of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at 24hours SGH group showed appreciably less ear swelling than ACD group. 2. Regarding general change of skin, SGH group showed less hyperplasia of epidermis, less damage of epidermis than ACD group. 3. Regarding the number of WBC, AC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than normal and SGH group at 72 hours. 4. Regarding the number of RBC in blood, ACD and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RBC than normal group at 24, 48, 72 hours. 5. Regarding the ratio of neutrophil in WBC, ACD and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percentage than normal group at 24, 48 hours. 6. Regarding the ratio of lymphocyte in WBC, ACD and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percentage than normal group at 48 hours. 7. Regarding the erythema,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erythema than normal and ACD group at 48 hours. 8. Regarding the melanin,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melanin than normal group at 24 hours.9. Regarding the skin hydration,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value than and ACD group at 72 hours. 10. Regarding the skin pH, AC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value than normal and SGH group af 24 hours. 11. Regarding the number of Total IgE, ACD and SGH group showed more Total IgE than normal. g개up at 24 hours. 12. At Electro microscope-morphologic changes of skin, the damage of epithelium was decreased and regeneration power of skin was increased in the SGH group. Conclusions: The Sanpunggosamhwan extract administration was effective on the mitigation of skin damage in rats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PDF

전침자극(電針刺戟)에 의한 흰쥐 중추신경계(中樞神經系)내 대사활성(代謝活性) 변화(變化)의 영상화(映像化) 연구(硏究) (2-DG Autoradiographic Imaging of Brain Activity Patterns by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in Awake Rats)

  • 손영주;원란;정혁상;김용석;박영배;손낙원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56-68
    • /
    • 2001
  • Objective : Functional brain mapping study on acupuncture stimulation using the [14C]2-deoxyglucose([14C]2-DG) autoradiography provides quantitative data and visualized pathway in central nervous system(CNS). We aimed to investigate the neural pathwa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etabolic activity elicited in CNS on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using [14C]2-DG autoradiography. Methods :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stimulation times. 45-mins stimulation group according to Sokoloffs method, 5-mins stimulation group according to Duncun's method, and 15-mins stimulation group. ;A venous catheter was equipped into right jugular vein. The rats (Sprague-Dawley rats, 230-260g) were kept fastened loosely on a holding platform without anesthesia.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5 ms, 2 Hz, 1~3 mA) were applied on the left Zusanli (ST36) acupoint and [14C]2-DG ($25{\mu}Ci/rat$) injection was performed through the catheter. After sacrifice, the brain and the spinal cord were made to sections for film image. The film images were digitalized as the isotope concentration based upon comparison of optical densities with that of the standards and normalized by the optical density of corpus callosum. Results : 1. 15-mins stimulation group was most effective among 3 experiments. 2. On 15-mins stimulation group, medial geniculate nucleus, intetpeduncular nucleus intermedius, ventral periolivary nucleus, caudal periolivary nucleus, medial superior olive, lateral paragigantocellular nucleus, including hypothalamic arcuate nucleus were increased by more than 25% (at least, p<0.05) by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3. Especially, the metabolism in hypothalamic arcuate nucleus was increased by 90% (p<0.05). 4. The fact that arcuate nucleus of hypothalamus might play a role of interconnection area between ascending and descending pathway of acupuncture stimulation was demonstrated visually. Conclusions : Advanced study on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elicited significant increase of metabolic activity in various nuclei of hypothalamus will provide the important experimental basis in researc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and internal visceral functions.

  • PDF

경사지(傾斜地) 농업기술(農業技術) 개량(改良)을 위한 효과적(效果的)인 토양보전공법(土壤保全工法) 개발(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Development of the Better Soil Conservation Measures with Special References to Yam Hillside Farming)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60-67
    • /
    • 1981
  • 경사지(傾斜地)에서 얌(yam)증산(增産)을 위한 농업기술(農業技術) 체계(體系)를 확립(確立)하고 보다 효과적(效果的)인 토양보전(土壤保全) 공법(工法)을 개발(開發)하기 위한 시험연구(試驗硏究)가 자메이카국(國)의 트리로운리에 위치한 토양보전(土壤保全)센터에서 수행되고 있다. 이 시험장(試驗場)은 표고(標高) 약 820 m의 $20^{\circ}$ 경사지(傾斜地)에서 8개의 유수유토(流水流土) 시험구(試驗區)(4처리(處理) 2반복(反覆))와 기타의 시험시설(試驗施設)로서 구성되었다. 각(各) 시험구(試驗區)의 크기는 $40m^2$($2.7m{\times}15.8m$ 사면장(斜面長))이며 서북향(西北向)으로 향(向)한 경사지(傾斜地)였다. 시험(試驗) 제(第) 1차년도(次年度)(1980년(年) 4월(月)~1981년(年) 3월(月))중에 일강우량(日降雨量)과 유수유토량(流水流土量)(11회(回))을 측정분석(測定分析)하였다. 총(總) 강우량(降雨量)은 1,295mm이었으며 최대일(最大日) 강우량(降雨量)은 116.2mm이었다. 4처리중(處理中)에서 토양유실량(土壤流失量)은 제(第) 1처리구(處理區)에서 182 tons/ha, 제(第) 2처리구(處理區)에서 105 tons/ha, 제(第) 3처리구(處理區)에서 50 tons/ha, 그리고 제(第) 4처리구(處理區)에서 43 tons/ha으로 각각 조사(調査)되었다. 이 시험결과(試驗結果)에 의한 효과적(效果的)인 경사지(傾斜地) 얌(재배(栽培)) 방법(方法)은 Hillside ditch 또는 Grass buffer strip 처리(處理)에 Contour mounds farming 이라고 분석(分析)된다.

  • PDF

마우스를 이용한 공액리놀레산 함유 디글리세라이드 조성물에 대한 소핵시험 (The Micronucleus Test of the Diglyceride Preparation with Conjugated Linoleic Acid by Using Mice)

  • 홍순기;정신교;현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53-857
    • /
    • 2008
  • 시험물질 공액리놀렌산이 함유된 디글리세라이드 식용유지 조성물의 마우스에 대한 소핵유발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물질 500, 1,000, 2,000 mg/kg의 용량과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인 Mitomycin C 2 mg/kg 투여군을 설정한 후, 음성대조군과 시험물질군은 경구투여 하였고, 양성대조군은 복강투여 하여 최종 투여 후 24시간 후에 대퇴골로부터 골수세포를 채취, 도말하였다. 골수검체는 5% Giemsa액으로 염색하며 소핵유발빈도를 검경하였다. 시험결과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 모든 시험물질군의 다염성적혈구(Polychromatic erythrocyte, PCE) 중 소핵다염성적혈구(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 MNPCE)의 출현율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증가는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양성대조군의 다염성적혈구 중 소핵다염성적혈구의 출현율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한 증가가 인정되었다. PCE/(PCE+NCE)의 비는 시험물질군과 음성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음성대조군 및 양성대조군의 소핵유발빈도는 historical control date의 정상범위에 있었기 때문에 본시험은 적절한 조건하에서 실시되었음이 확인 되었다. 따라서 본 시험 조건하에서 시험물질인 공액리놀렌산이 함유된 디글리세라이드 조성물은 마우스 골수세포의소핵유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중금속(Pb, Cr, As)이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수정란 부화율에 미치는 독성 영향 (Toxic Effects of Heavy Metal (Pb, Cr, As) on the Hatching Rates of Fertilized Eggs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박종수;박승윤;황운기
    • 환경생물
    • /
    • 제30권3호
    • /
    • pp.238-244
    • /
    • 2012
  •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수정란의 부화율을 이용하여 중금속(Pb, Cr, As)의 독성 영향을 조사하였다. Pb, Cr, 및 As (0, 10, 100, 500, 1,000, 2,500, 5,000 ppb)에 수정란을 48 h 노출시킨 후, 정상 부화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중금속을 포함하지 않는 대조구에서는 정상 부화율이 80% 이상을 나타냈으나, 중금속 농도가 증가할수록 정상 부화율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정상 부화율은 Pb, Cr, 및 As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각각 100, 100, 500 ppb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 olivaceus의 정상 부화율에 대한 Pb, Cr 및 As의 반수 영향농도($EC_{50}$)를 이용한 독성은 Cr>As>Pb 순으로 나타났다. Pb와 As의 NOEC와 LOEC 각각 100 ppb와 500 ppb로 유사한 값을 나타냈으며, Cr에 대한 NOEC는 10 ppb, LOEC는 100 ppb를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자연생태계 내에서 Pb과 As의 농도는 100 ppb, Cr 농도는 10 ppb를 초과할 경우 P. olivaceus 수정란의 정상 부화율은 독성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P. olivaceus의 정상 부화율을 이용한 생물학적 평가방법은 중금속과 같은 유해물질에 대한 해양생태계의 영향을 판단하기 위한 시험방법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체계적 문헌 고찰을 통한 인지기능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사 관리에 대한 연구 (Criteria for diet pattern and meal management to improve cognitive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 박영숙;이현정;최귀정;허림;남예림;김윤하;김민지;신원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50-45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인지기능과 식사중재 프로그램의 관련 효과를 확인하고자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2019년 데이터베이스 검색, 선별을 통해 총 21편의 연구를 비뚤림 평가하였다. 고혈압 예방 식사인 대시 식단(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1편, 지중해 식단(Med diet) 8편, 마인드 식단(Mediterranean-DASH Intervention for Neurodegenerative Delay, MIND diet) 2편이었다(Table 1). 그리고 그 외의 식이중재는 10편이였다(Table 2). 인지 기능 개선을 위해 대표되는 식단 대시 식단(DASH diet), 지중해 식단(Med diet), 마인드 식단(MIND diet) 비교해 본 결과 공통적으로 야채류, 너트류를 권장하고 붉은 육류는 제한한다. 전세계적으로 각 나라마다 고령자의 인지 개선을 위한 연구가 실행되고 있으며 중재 식사관리는 지중해 식단과 비슷한 식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결과 식이교육, 식이중재 시 인지 개선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식이패턴과 식사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고 인지기능 개선에 높은 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치매의 치료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므로 치매의 진행을 예방하고 발병을 지연시키기 위해 식단 구성시 정제되지 않은 통곡물, 야채, 과일, 베리류, 생선, 올리브유, 너트류, 콩류 섭취를 권장한다. 이 고찰을 통해 인지기능 개선을 위해 단일 영양소, 단일 식품의 섭취의 한계를 확인하였고 한국 고령자에게 맞는 맞춤형 식사교육을 통한 식사관리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식사관리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방류용 수산종묘의 질병 관리에 대한 고찰 (Aquatic animal health management in stock enhancement)

  • 서장우;조미영;김진우;박경현;지보영;최동림;박명애;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5-98
    • /
    • 2010
  • 농림수산식품부와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2009년도 방류 품종 (해면 품종 22종과 내수면 품종 11품종)을 대상으로 수산동물전염병의 감염 여부를 검사하였다. 총 12개 지방자치단체에 서 방류를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도 및 충청남도는 해면 품종을 주로 방류하였으며, 경기도, 전라북도 및 충청북도는 내수면 품종을 많이 방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품종중에서 해산품종으로는 전복이 24.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해삼(15.2%), 넙치 (11.5%), 감성돔과 조피볼락(6.8%), 꽃게 (5.6%), 돌돔 (5.1%), 볼락 (4.6%), 붉은쏨뱅이 (4.5%)로 나타났다. 내수면 품종 중에서는 붕어가 19.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뱀장어 (17.0%), 동자개 (12.3%), 다슬기 (12.0%), 메기 (8.4)의 순으로 검사 실적이 많았다. 총 33종의 품종을 대상으로 1,080회의 검사가 의뢰되었으며, 검사항목별로 2,066건의 검사를 실시한 결과 19건에서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koi herpesvirus (KHV) 또는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와 같은 병원체가 검출되어 불합격 처리되었다.

양식 넙치의 육질에 관한 연구 (Muscle Quality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경희;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48-452
    • /
    • 1997
  • 양식넙치의 식감을 검토하고자 천연어와 비교하여 일반성분, 관능검사, 물성측정, 정미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식넙치는 수분, 지질, 단백질 함량에 천연어와 차이가 없었다. 2. 기호검사에서 양식어는 생육, 가열육 모두 Texture, 맛, 종합적 선호도에서 천연어보다 유의적으로 선호되지 않았고, 식별검사에는 생육은 경도, 탄력성, 맛의 강도가 낮았고, 가열육은 천연어보다 매우 단단하고 건조하며 맛의 강도가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투명감, 광택, 비린내는 두어종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물성측정의 결과도 생육은 천연어보다 경도, 탄력성이 낮게, 가열육은 경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 관능검사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4. 어육의 정미성분으로서 맛과 관련있는 유리아미노산은 Alanine이 양식어 7.0mg%, 천연어 7.4mg%로 가장 많았고, Glutamic acid, Proline, Methionine, Glycine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 아미노산들의 함유량 합계는 차이가 없었다. 핵산관련물질은 ATP가 양식어 3.4 $\mu$mole/g, 천연어 6.2 $\mu$mole/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IMP, ADP, AMP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합계량은 양식어가 6.7 $\mu$mlole/g, 천연어가 9.4 $\mu$mole/g으로 천연어에 비해 낮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