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cid methyl ester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4초

Gas Chromatography에 의(依)한 미강유(米糠油)의 지방산분석(脂肪酸分析) (Analysis of Fatty Acid in Rice Bran Oil by Gas Chromatography)

  • 정태명;신종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9권
    • /
    • pp.29-33
    • /
    • 1968
  • 1. 미강유중(米糠油中)의 함존지방산(含存脂肪酸)은 Oleic acid, Linoleic acid, Palmitic acid의 순(順)으로 함량(含量)이 많으며 이상(以上) 3종(種) 지방산(脂肪酸)이 주성분(主成分)을 이루고 있다. Stearic acid, myristic acid와 Linolenic acid는 극소량(極少量) 함유(含有)되어 있을 뿐이며 $C_{12}$ 이상(以上)의 산(酸)은 그 흔적(痕迹)이 보이지 않았다. 2. 표준(標準) 지방산(脂肪酸) Methyl로서 구(求)한 보정계수(補正係數)는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에 있어서 $C_{18}$까지는 탄소수(炭素數)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커지고 또 동일탄소수(同一炭素數)의 지방산(脂肪酸)에 있어서는 이중결합(二重結合)의 수(數)에 따라 커지고 있다. 3. 지방산(脂肪酸) Methyl Ester의 Retention time의 대수치(對數値)는 포화산(飽和酸)의 탄소수(炭素數), 또는 같은 탄소수(炭素數)의 지방산(脂肪酸)에 있어서 그 이중결합(二重結合)의 수(數)와의 사이에 직선관계(直線關係)가 있다는 것을 확인(確認)했다.

  • PDF

초임계유체를 이용한 당 에스테르의 합성 및 분리정제

  • 서덕기;김우경;김광일;유인상;윤현희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05-708
    • /
    • 2001
  • 지방산제거방법으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하고자 지방산의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대한 용해도률 조사하였다. 추출온도와 압력을 실험변수로 하여 각 지방산의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35-50^{\circ}C$, 80-120atm의 범위에서 초임계추출이 이루어졌으며, oleic acid의 용해도는 약 1.7x10-4 mole/mole of $CO_2$이었다. 당 에스테르의 효소적합 성공정으로 초임계법을 적용하였는 바, 반응시간 24시간 후 약 67%의 전환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오리고기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Duck Meat)

  • 남현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1호
    • /
    • pp.34-37
    • /
    • 1977
  • 오리고기를 가식부(可食部)만을 n-Hexane으로 지방(脂肪)을 용출(溶出)하고 정제(精製)한 다음 methyl ester시켜 gas chromatography로 분석(分析)하고 몇가지 화학적(化學的) 성자(性資)를 시험(試驗)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오리고기의 일반성분(一般成分)은 수분(水分) 64.87%, 단백질(蛋白質) 19.06%, 조지방(粗脂肪) 17.3%, 회분(灰分) 1.12%로 닭고기에 비(比)하여 지방(脂肪)은 다소 많았다. 2. 용매(溶媒)의 종류에 따라 용출량(溶出量)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Ethylether에 79.57%, chloroform에 70.15%, n-Hexane에 72.35%로 나타났다. 3. n-hexane으로 용출(溶出)한 지방(脂肪)의 chemical constant는 산가(酸價) 5.01, 검화가 201.5, 요오드가(價)카 50.1, 카보널가(價) 4.5%를 나타냈다. 4. n-Hexane으로 용출(溶出)한 지방산(脂肪酸)을 gas chromatography에 의(依)하며 분석(分析)하여 오리고기(Leg portion)는 Myristic acid 0.12%, palmitic acid 17.2% , Stearic acid 3.1%, Oleic acid 45.9%, Linoleic acid 19.9%, Linolenic acid 1.6%를 나타냈고, 오리고기(Breast portion)는 Myristic acid 0.17%, Palmitic acid 17.1%, stearic acid 3.3%, Oleic acid 51.2%, Linoleic acid 17.2%, Linolenic acid 1.7%이었고, arachidonic acid는 측정되지 않았다. 5. 오리피의 cholesterol은 total 200mg%, Breast portion의 fat에 cholesterol의 total은 260mg%, Leg portion의 fat에 cholesterol의 tatal은 400mg% 이었다. $\divideontimes$ 본연구(本硏究)는 1976년도(年度) 광주서원전문학교(光州瑞元專門學校) 학술연구조성비에 의(依)하여 행(行)한 것입니다.

  • PDF

Fatty Acid and Volatile Oil Compositions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e

  • Youn, Kumju;Kim, Ji-Young;Yeo, Hyelim;Yun, Eun-Young;Hwang, Jae-Sam;Jun, Mir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310-314
    • /
    • 2012
  • Thirty-two different volatile oils were identified from Allomyrina dichotoma (A. dichotoma) larva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were 2,2,4-trimethyl-3-carboxyisopropyl pentanoic acid isobutyl ester (5.83%), phenol,2,6-bis(a,a-dimethyl ethyl)-4-(1-methyl-1-phenylethyl) (5.72%), heptacosane (5.49%) and phenol,2,4-bis(1-methyl-1-phenylethyl) (5.47%). The composition of the fatty acids in A. dichotoma larvae was also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fourteen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Oleic acid (19.13%) wa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followed by palmitic acid (12.52%), palmitoleic acid (3.71%) and linoleic acid (2.08%) in 100 g of A. dichotoma larvae on a dry weight basis. The quantity of unsaturated fatty acids (64.00%) were higher than that of saturated ones (36.00%). The predominant fatty acids in A. dichotoma consist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57.70%) such as oleic acid, myristoleic acid and palmitoleic acid, followed by saturated fatty acids (36.00%)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6.50%). In particular, the presence of essential fatty acids, such as linoleic (5.30%) and linolenic acid (0.40%) give A. dichotoma larvae considerable nutritional and functional value and it may be a useful source for food and/or industrial utilization.

콘택트렌즈 관리방법에 의한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의 지방침전물 제거효과 (Evaluation of Contact Lens Care Regimens in Removing Tear Lipids on Silicone Hydrogel Lens)

  • 강유선;이군자;주은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47-353
    • /
    • 2010
  • 목적: 소프트콘택트렌즈 관리용액에 의한 bala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에 부착된 지방 침전물 제거효과를 비교하였다. 방법: Bala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실험실 조건에서 oleic acid, oleic acid methyl ester, cholesterol이 포함된 식염수에 담가 24시간 동안 오염시켰다. 오염된 콘택트렌즈는 식염수로 헹구어준 후 계면활성세척액, 알콜 성분이 포함된 세척액 및 다목적용액으로 각각 세척하였고, 반복적인 오염과 세척효과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오염과 세척과정을 14회 반복하였다. 초음파의 지방침전물 세척 효과를 관찰하기 위하여 오염된 렌즈에 초음파처리를 한 후 처리하지 않은 렌즈와 비교하였다. 지방침전물은 methanol:chloroform (1:1, v/v) 용액으로 추출하고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정량하였다. 결과: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지방세척효과는 알콜성분을 함유한 세척액이 계면활성세척액 및 다목적용액보다 높았으며, 초음파를 함께 처리해준 경우에는 세척 효과가 상승하였다.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으로 세척한 후에도 지방침전물은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오염과 세척을 반복한 경우 지방 침전물의 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결론: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에 부착되는 지방 침전물에 대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용 관리용액의 세척효과는 만족할 수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지방 침전물 제거에 적합한 세척액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목본 유지식물 종자의 지방산 조성 및 바이오디젤 특성 분석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s and Biodiesel Properties of Seeds of Woody Oil Plants in Korea)

  • 김광수;이영화;장영석;최인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28-635
    • /
    • 2013
  • 국내에 자생하는 기름생산이 가능한 목본식물의 바이오디젤 원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해 기름함량, 지방산 조성 및 전이에스테르화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목본 기름식물의 종자 내 기름함량은 15.1 ~ 70.3%로 다양하였으며, 지방산조성은 주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 등 이였으며 올레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모든 식물에서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많았다.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산화안정성은 2.25 ~ 8.62 hours/$110^{\circ}C$로 나타났고, 요오드가는 때죽나무 기름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른 식물 종보다 높기 때문이다. 저온 필터막힘점은 $0^{\circ}C$ to $-13^{\circ}C$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팝나무 지방산메틸에스테르가 저온유동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기름함량, 지방산조성, 바이오디젤 특성 등을 종합하였을 때 동백나무, 이팝나무 및 때죽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기름이 바이오디젤로의 이용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산 잣기름이 콜레스테롤 첨가식이로 사육한 토끼의 혈장 총지방산 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 of Korean Pinenut Oil on Plasma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in Cholesterol-fed Rabbits)

  • 윤태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6
    • /
    • 1994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atheroscleorotic New Zealend white(NZW) rabbit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Korean pinenut oil, on plasma total fatty acid composition. In study I, NZW rabbits were fed 10 weeks on a commercial chow diet supplemented with 5% of energy as fats(soybean oil or pinenut oil) or 10% of energy as fats(soybean oil or pinenut oil) with the addition of 1% cholesterol to the diet. Nineteen fatty acids ranged from myristic acid (14:0) to cervonic acid (22:6 ${\omega}3$) were identified in all the samples. The c5, c9, $c12{\sim}18$ : 3 acid was not reported in the fatty acid methyl ester profiles of each group because it was included in the linoleic acid peak. The major constitutent fatty acids in the chow diet group were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In the cholesterol group,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palmitic acid were the major fatty acids. In plasma of cholesterol-fed animals, the levels of 16:1 ${\omega}$ 7 and 18:1 1 ${\omega}$ 9 were increased. Linoleic acid was the major fatty acid in soybean oil/cholesterol and pinenut oil/cholesterol groups. Plasma linoleic acid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sed from 4 to 6% by the supplementation of 5% soybean or 5% pinenut oil in the cholesterol diet for 5 weeks, compared to cholesterol group. Plasma 16 : 1 ${\omega}$ 7 levels in animals fed with 5 or 10% pinenut oi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ose fed cholesterol for 5 weeks. After 10 weeks on the soybean oil and pinenut oil die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In study II, the fatty acid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the types or levels of oils supplemented for 5 weeks. After 10 weeks on the oil diets 16:1 ${\omega}$ 7 and 18:1 ${\omega}$ 9 were decreased in 10% soybean in oil/cholesterol and 10% pinenut oil/cholesterol groups, compared to cholesterol group.

플레싱 스크랩으로부터 유지 회수 방법이 산가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way of fat recovery from fleshing scrap on the acid value and fatty acid composition)

  • 신수범;민병욱;양승훈;박민석;양영곤;백두현;김해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7-353
    • /
    • 2007
  • Fleshing scrap is a kind of wastes produced during leather making process and used in the test of manufacturing biodiesel. The early step of manufacturing biodiesel is fat recovery from fleshing scrap. Hence,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way of fat recovery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We used three different recovery ways, that is chemical method by protein decomposition with acid/fat recovering, physical method by protein denaturalization with heat and vacuum/fat pressing, and biodiesel method by protein decomposition/fat recovering. The biological method yielded the best results in terms of appearance transparency. It was most effective to lower acid value. Also the recovered fat by biological method would be favorable methyl-ester reaction raw material for biodiesel because it contains more than 5% of oleic acid among unsaturated fatty acid.

Amberlyst-15 촉매의 존재 하에서 올레산과 메탄올의 에스테르화 반응 속도식 연구 (A Kinetic Study on the Esterification of Oleic Acid with Methanol in the Presence of Amberlyst-15)

  • 김영주;김덕근;이영우;박순철;이진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5호
    • /
    • pp.621-626
    • /
    • 2005
  • Amberlyst-15 고체 산 촉매를 사용하여 올레산을 메탄올과 반응시켜 바이오 디젤의 성분이 되는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로 전환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시료의 산가를 측정하고 전환율을 구함으로써 반응 온도, 메탄올 대 올레산의 몰 비 및 촉매의 양이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험 범위 내에서 반응 온도가 $20^{\circ}C$ 상승할 때에 반응 속도는 약 2배씩 증가하였다. 그리고 메탄올 대 올레산의 몰 비가 증가 될 때는 최종 전환율은 증가하였지만, 반응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촉매 역시 반응에 중요한 변수로써, Amberlyst-15의 양을 2배로 증가시켰을 때, 반응속도는 1.2-1.3배 빨라졌다. 실험 데이터를 정량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동역학식 연구를 하였으며 모사 균일 혼합물 모델(pseudo-homogeneous model)을 이용한 2차 반응 속도식을 전개하였다.

Comparison of Promoters Suitable for Regulated Overexpression of $\beta$-Galactosidase in the Alkane-Utilizing Yeast Yarrowia lipolytica

  • Thomas Juretzek;Hui-Jie wang;Nicaud, Jean-Marc;Stephan Mauersberger;Gerold Barth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5권5호
    • /
    • pp.320-326
    • /
    • 2000
  • Promoters of the genes G3P, ICL1, POT1, POX1, POX2 and POX5 of the yeast Y. lipolytica were studied in respect to their regulations and activities during growth on different carbon sourc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lect suitable promoters for high expression of heterologous genes in this yeast. For this purpose the promoters were fused with the reporter gene lacZ of E. coli and integrated as single copies into the genome of Y. lipolytica strain PO1d. The measurement of expressed activities of ${\beta}$-galactosidase revealed that pICL1, pPOX2 and pPOT1 are the strongest regulable promoters available for Y. lipolytica, at present. pPOX2 and pPOT1 were highly induced during growth on oleic acid and were completely repressed by glucose and glycerol. pICL1 was strongly inducible by ethanol besides alkanes and fatty acids, however, not completely repressible by glucose or glycerol. Ricinoleic acid methyl ester appeared as a very strong inducer for pPOT1 and pPOX2, in spite of that it inhibited growth of Y. lipolytica transform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