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cid

검색결과 1,478건 처리시간 0.027초

In-silico and In-vitro based studies of Streptomyces peucetius CYP107N3 for oleic acid epoxidation

  • Bhattarai, Saurabh;Niraula, Narayan Prasad;Sohng, Jae Kyung;Oh, Tae-Jin
    • BMB Reports
    • /
    • 제45권12호
    • /
    • pp.736-741
    • /
    • 2012
  • Certain members of the cytochromes P450 superfamily metabolize polyunsaturated long-chain fatty acids to several classes of oxygenated metabolites. An approach based on in silico analysis predicted that Streptomyces peucetius CYP107N3 might be a fatty acid-metabolizing enzyme, showing high homology with epoxidase enzymes. Homology modeling and docking studies of CYP107N3 showed that oleic acid can fit directly into the active site pocket of the double bond of oleic acid within optimum distance of $4.6{\AA}$ from the Fe. In order to confirm the epoxidation activity proposed by in silico analysis, a gene coding CYP107N3 was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The purified CYP107N3 was shown to catalyze $C_9-C_{10}$ epoxidation of oleic acid in vitro to 9,10-epoxy stearic acid confirmed by ESI-MS, HPLC-MS and GC-MS spectral analysis.

돼지에 있어서 생식기관액 중 지방산 조성과 조성율 (Fatty Acid Constituents and Relative Compositions of Reproductive Tract Fluids in Sow)

  • 신원집;정진우;최광수;신수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7-145
    • /
    • 2000
  • To investigate fatty acid constituents and relative compositions in the fluid of the follicles, oviducts, uterine ho군 and uterine body in sows, the fluids of the reproductive tract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 The samples were taken from various reproductive tract of 21 sows slaughtered. 1. Caprylic acid(C8: 0), capric acid(C10:0), lauric acid(C12:0),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plamitolele acid(C16:1), stearic acid(C18:0),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 and arachidonic acid(C20:4) were found in the reproductive tracts of the sows, which made 10 kinds of fatty acid intotal. 2. Two kind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noleic acid and archidonic acid were found inthe reproductive tracts. 3. Palmitic acid among saturated fatty acids and oleic acid among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the hihgest level in all of the reproductive tracts. 4. Palmitic acid, oleic acid and stearic acid showed higher rate with 44.89%, 23.69% and 14.36%, respectively, and lauric acid, capric acid, palmitoleic acid, arachidonic acid ad myristic acid showed lower rate with 0.62%, 1.13%, 1.65%, 1.97% and 2.24%, respectively in the reproductive fluid. 5. The highest level of arachidonic acid was found in the uterine horn. 6. The sum of the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were 66.91%, 70.41%, 66.14% and 73.36% in the fluid of follicle, oviduct, uterine horn and uterine body, respectively. 7. The relative composition of arachidonic acid was higher during the follicular stage than during the luteal phase in the fluid of oviduct and uterine. 8. The long chain fatty acids such as the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showed higher relative compositions during the follicular phase(93.18%∼96.83%) than during the luteal phase(82.56%∼88.37%). 9. Caprylic acid, luric acid and palmitoleic acid were undetected in the fluid of all of the reproductive tracts during the follicular phase. Low relative compositions of capric acid, myristic acid andarachidonic acid were found during the follicular phase, while the low relative compositions (<5%)of capric acid, lauric acid, myristic acid, plamit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were found during the luteal phase.

  • PDF

자소자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Perillae semen)

  • 권용주;김충기;김용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1-385
    • /
    • 1998
  • 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r seme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 Perillae semen oil were analyzed for the use as an edible oil.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Perillae semen were 7.5% moisture, 33.2% crude fat, 16.3% crude protein, 2.8% crude ash, 6.5% crude fiber, and 33.7% nitrogen free extract. The major amino acids of Perillae semen were glutamic acid(66.9mg%), aspartic acid (32.5mg%), histidine(21.6mg%), and phenylaanine (20.1mg%).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was 41.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eed oil were 0.915 specific gravity, 1.4808 refractive index, 3.6 acid value, 181.7 iodine value, and 194.0 saponification value. Composition of major lipid of the oil fractionated by silicic acid chromatography was 94.2% neutral lipids and 5.8% polar lioids.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oil were linolenic, linoleic and oleic acid. Neutral lipids consisted of 59.9% linolenic acid, 15.6% oleic acid, 6.6% palmitic acid, and 2.5% stearic acid. Polar lipids consisted of 58.5% linolenic acid, 18.1% linoleic acid, 12.7% oleic acid, 7.7% palmitic acid, and 3.0% stearic acid.

  • PDF

폐경 후 여성의 지방산 섭취실태와 혈청 지질농도와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Fatty Acid Intake and Serum Lipids in Postmenopausal Women)

  • 이보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2권4호
    • /
    • pp.437-447
    • /
    • 1999
  • The intake of fatty acids, and the effects of fatty acid intake patterns on serum lipid concentrations was investigated in 112 postmenopausal women. Dietary intakes of fatty acids were assessed by means of a semi-quantitative food questionnaire with food models and other measuring tools. The intakes of saturated fatty acid(SFA), monounsaturated fatty acid(MFA)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PUFA) were 10.85g, 11.89g and 12.09g, respectively. The ratios of P/M/S and $\omega$6/$\omega$3 fatty acid were 1.19 : 1.10 : 1 and 6.65 ; 1, respectively. Serum lipid concentrations were adjusted for age, menopausal period, BMI, stress scores, exercise habit and energy intak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tty acid intake and serum lipids was measur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etary intake of SFA (p<0.10), MUFA(p<0.05), palmitic acid(p<0.10), stearic acid(p<0.05), oleic aicd(p<0.05), and arachidonic acid(p<0.10). Serumk L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UFA(p<0.10), oleic acid(p<0.10), oleic acid(p<0.10), and arachidonic acid (p<0.10).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rachidonic acid(p<0.10). However, serum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y fatty acids.

  • PDF

유채의 지방산조성개량육종에 관한 연구 -제V보 유채재배시기이동에 따른 종실유의 지방산조성변화- (Breeding for Improvement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V. Change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Rapeseed Oil by the Different Seasonal Planting-)

  • 이정일;지하민부;고류겸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78-82
    • /
    • 1975
  • 1. 재배시기이동에 따른 유채종자유에 따른 지방산조성은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함량이 높은 Erucic acid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함량이 적은 지방산의 변동은 적었다. 2. 추파재배한 유채종자가 춘파재배한 것보다 Erucic acid함량이 높은데 대해서 Oleic acid와 Linoleic acid함량은 반대로 낮었다. 이들 차이는 1%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3. 추파재배된 유채종자가 Erucic acid함량이 높았으며 이는 등숙기간의 적산온도가 낮고 강수량이 많은데 있다. 이들 기상조건과 Erucic acid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단쇄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의 증감경향은 항상 정상관관계가 있으며 장쇄지방산인 Erucic acid와는 부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 PDF

은행종실(銀杏種實)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Ginkgo Nut)

  • 정안석;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9-123
    • /
    • 1978
  • 은행의 종실 및 잎중에서 추출 정제한 유지에 대한 지방질의 구성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선한 종실 및 잎중의 정제한 총지방질의 함량은 각각 1.32% 및 2.24%였다. 2) 종실중의 총지방질중에는 중성지질이 약 89%, 복합지질이 약 10% 함유되어 있는데 반하여 잎중에는 중성지질이 약 28%, 복합지질이 약 72% 함유되어 있었다. 3) 종실중의 중성지질의 구성분은 다른 식물성 유지와 같이 triglyceride가 주성분으로 약 86%함유되어 있었으며, esterified sterol이 약 9%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그러나 잎중에는 esterified sterol이 약 53%로 가장 많았고 triglyceride는 약 18%에 불과하였다. 4) 종실중의 총지방질의 주요한 구성지방산은 oleic acid(37.5%) 및 linolenic aicd(44.5%)이고, 잎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45.2%) 및 palmitic acid(25.1%)였다. 또 종실과 잎중의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은 서로 비슷하고, oleic, linoleic 및 palmit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다. 그리고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조성은 종실에는 oleic 및 linoleic acid의 함량이 잎보다 많은데 비하여 linolenic acid의 함량은 잎이 종실보다 훨씬 많았다. 인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조성은 종실과 잎이 모두 당지질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 PDF

SMP종자 전처리에 의한 담배 종자 발아과정의 지방산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during Germination by Seed Pretreatment, SMP, in Tobacco)

  • 신주식;김영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56-16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발아력향상을 위해 담배품종 Nicotiana tabacum cv. KF109와 cv. KB108 종자에 종자전처리방법 중 하나인 solid matrix priming (SMP)처리를 하여 전처리효과를 알아보고 전처리과정 중 담배종자 발아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지방산의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아래와 같다. 1. 발아시험결과 전처리에 의한 처리간 발아율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발아세, T50은 KF109의 경우 9일처리, KB108의 경우 7일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2. 종자내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 처리기간동안 함량의 변화가 큰 지방산의 종류는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elaidic acid, linoleic acid+linolelaidic acid, $\alpha-linolenic$ acid였다. 3. 지방산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각 지방산의 함량은 KF109의 경우 8일 또는 9일에서, KB108의 경우 6일 또는 7일까지 증가하였가 이후 감소하였다. 4. 특히 지방산 중 oleic acid+elaidic acid와 linoleic acid+linolelaidic acid 함량의 변화가 가장 컸으며 다른 지방산에 비하여 함량도 높았는데 KF109와 KB108품종의 경우 8일과 6일처리까지 각각 증가하여 최고에 이른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종자전처리 진행과정을 확인하는 데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쌀눈 유지의 저장중 변화와 지방산 구성 (Changes during Storage of Rice Germ Oil and Its Fatty Acid Composition)

  • 신동화;정종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7-81
    • /
    • 1998
  • 쌀눈 및 쌀겨에 함유된 유지를 추출, 온도별 저장 안정성과 지방산조성을 비교하였다. 쌀눈 및 쌀겨유지를 $40^{\circ}C$$60^{\circ}C$에 31일간 저장 중 유지의 산가는 큰 차이가 없었고 과산화물가는 저장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크게 상승하였는데, $40^{\circ}C$저장 31일에는 건조처리한 쌀눈의 유지가 가장 높아 146.2 meq/kg이었고 정제유는 15.1 meq/kg 이었으며, $60^{\circ}C$저장 24일에는 정제유는 219.6 meq/kg, 건조쌀눈유지는 151.7meq/kg 이었다. 쌀눈과 쌀겨유지 중 주 지방산은 쌀눈은 linoleic acid (39.0%)와 oleic acid (34.7%)이었고 쌀겨는 oleic acid (40.1%)와 linoleic acid (38.1%)였으며, 저장 중 주 지방산의 조성은 쌀눈의 건조처리나 저장온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linolenic acid의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유채(油菜) 발아중(發芽中) 아미노산과 지방산 조성(組成)의 변화(變化) (Changes in Amino Acid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during Germination of Rapeseed)

  • 조병미;윤석권;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371-376
    • /
    • 1985
  • 내한유채를 $25^{\circ}C$에서 60시간동안 발아시켜 건물량, 뿌리신장도, 아미노산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채의 건물량은 발아30시간에서 비교적 급격한 감소를 나타냈고 그 이후는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며, 우리는 15시간까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발아30시간이후는 일정한 속도의 신장도를 나타낸다. 유채는 발아함에 따라 수분, 조회분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조지방 조단백질은 감소하였으며 조섬유는 증가하였다. 유채의 아미노산은 Glu, Lys, Asp가 많고 lie, Met가 적었으며 제 1제한 아미노산은 Ile 이었다. 유채의 아미노산은 발아함에 따라 Lys, His, Arg, Asp, Thr, Ser, Ala, Val, lie, Leu는 증가하였지만 Clu, Met Tyr, Phe은 감소하여 발아함에 따라 Met이 제 1제한아미노산이 되었다. 지방산은 oleic acid (49.3%). linoleic acid(22.0%), eicosenoic acid (10.5%), Palmitic acid(5.9%), linolenic acid(5.7%), stearic acid(3.2%), erucic acid(2.8%)가 검출되었는데. 발아에 따라 oleic acid는 감소하였으며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발아중기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감소하였고 linolenic acid eicosenoic acid 및 erucic acid는 발아중기까지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는 증가하였다.

  • PDF

유색미의 품종별 화학성분의 조성 (Chemical Composition of Pigmented Rice Varieties)

  • 하태열;박성희;이창호;이상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36-341
    • /
    • 1999
  • 유색미의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유색미를 품종별로 수집하여 색도, 일반성분, 지방산, 무기질, 비타민, 식이섬유 등 주요 화학성분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색미의 색도는 L값은 일반현미>적미>흑미의 순으로 낮았고 a값은 적미>일반현미>흑미의 순이었다. 단백질 함량은 $8.4{\sim}11.0%$의 범위를 나타내어 시료에 따른 차이가 컸고 그중 수원 415 흑미가 가장 높았으며 지방함량은 $2.7{\sim}3.3%$의 범위로 큰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B_{1},\;B_{2}$의 함량도 일반현미에 비하여 유색미가 현저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식이섬유의 함량도 유색미가 일반현미에 비하여 높았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추청과 동진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의 조성 비율이 비슷하였으나 흑미는 oleic acid보다는 linoleic acid의 비율이 높았고 적미는 반대로 linoleic acid보다 oleic acid의 조성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Fe, Zn, Mn을 제외한 대부분의 무기질 함량은 유색미가 일반현미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흑미가 가장 높았다.

  • PDF